- 시대분류
-
-
- 현대 50622
-
![]() |
제목 朝鮮通信使, 百濟通信使 - 2018년 시즈오카 답사 범위와내용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에서 주최한 2018년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 관련 시즈오카 답사집이다. 등록번호100020598 생산일자201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기타
|
![]() |
범위와내용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등록번호100020536 생산일자1999.1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
![]() |
범위와내용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등록번호100019408 생산일자1999.1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
등록번호100016394 생산일자201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
등록번호100016151 생산일자20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조선후기 공주지역의 천주교 박해(迫害)와 신자(信者)들의 생활 등록번호100016072 생산일자1994.00.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범위와내용Ⅰ. 序論 Ⅱ. 河北慰禮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Ⅲ. 河南慰禮城·漢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배치 Ⅳ. 熊津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Ⅴ. 泗비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Ⅵ. 日本 아스카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Ⅶ. 結論 등록번호100012240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백제문화 제32집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등록번호100010999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총론(혼합)
|
|
제목 백제문화 제32집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등록번호100000500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총론(혼합)
|
|
![]() |
제목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이다. 등록번호10001909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제목 성신교린 조선통신사 발자취를 찾아: 공주에는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가 있다.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1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금강뉴스 대표 신용희 님의 원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조선통신사 유적지를 찾아 1)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조선통신사 2)성신교린(誠信交隣)의 정신, 조선통신사와 시즈오카 3)기타무라와 시즈오카 사찰의 현판 3)세이겐지와 김인겸 4)조선통신사 신유와 해사록 2. 조선통신사와 한/일 민간 교류 3. 타지역의… 등록번호100017931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지역개발,관광>지역개발>총론(혼합)
|
![]() |
제목 서파 오도일 소개 및 상지 이규상의 일몽고(一夢稿) 서문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 메모이다. 서두에는 서파 오도일의 이력이 기재되어 있다. 그 이후에는 조선후기 문인 이규상의 문집 '일몽고(一夢稿)'의 서문과 문원록 등의 원문이 담겨 있다. 문서는 모두 네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장: 일몽고의 서문, 송일본통신상사(送日本通信上使),… 등록번호5000115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연구 / 정해은 = 17,19,0 1. 들어가는 말 = 18,20,0 2. 무반 가문의 형성 = 21,23,0 3. 무반… 등록번호100000059 생산일자2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연구 / 정해은 = 17,19,0 1. 들어가는 말 = 18,20,0 2. 무반 가문의 형성 = 21,23,0 3. 무반… 등록번호100000058 생산일자2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 |
제목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각종 행사 푸짐 윤문공 등 참석 공주 공산성서 서막식 멀리 일본의 문화까지 계발시켰던 찬란한 백제의 얼을 재현하는 제19회… 등록번호100020905 생산일자1973.10.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개최된다. 특히 이번 백제문화제는 공주박물관 개관과 함께 무령왕릉 출토품도 전시될 예정이어서 한층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100020904 생산일자1973.10.1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10월 문화의 달을 맞아 펼쳐지는 백제문화제는 공주 부여지방에 국한된 행사가 아니라 백제인의 얼을 지녀 살아온 충청인 모두의… 등록번호100020903 생산일자1973.10.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여흥까지 마련했다는 것이다. 백제제는 이 고장에서 가장 큰 문화행사로 꼽는다. 비록 향토적인 잔치라곤 하지만 거국적인 규모로… 등록번호100020902 생산일자1973.09.2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제18회 백제문화제는 연 3일간 40만 공주·부여군민과 외래관광객들의 마음을 단풍처럼 물들인 후 마침내 막이 내려졌다. 깊어가는… 등록번호100020900 생산일자1972.10.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9일 대전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폐막’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폐막 부여·공주 궁녀제·관등놀이로 찬란한 문화 새기며 지난 15일부터 연 3일간 부여와 공주에서 열린 제18회 백제문화제는 부여여고생들의 궁녀제와 관등놀이 공주교대생들의 고전무용과 음악의 밤을 끝으로 17일 막을 내렸다. 지난 15일부터 개막 연 3일 동안 부여와… 등록번호100020899 생산일자1972.10.19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에서 주최한 2018년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 관련 시즈오카 답사집이다. |
![]() |
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
![]() |
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
![]() |
|
![]() |
|
![]() |
|
Ⅰ. 序論 Ⅱ. 河北慰禮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Ⅲ. 河南慰禮城·漢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배치 Ⅳ. 熊津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Ⅴ. 泗비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Ⅵ. 日本… |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
![]() |
성신교린 조선통신사 발자취를 찾아: 공주에는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가 있다. 웅진문화 제31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금강뉴스 대표 신용희 님의 원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조선통신사 유적지를 찾아 1)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조선통신사 2)성신교린(誠信交隣)의 정신, 조선통신사와 시즈오카 3)기타무라와… |
![]() |
서파 오도일 소개 및 상지 이규상의 일몽고(一夢稿) 서문 등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 메모이다. 서두에는 서파 오도일의 이력이 기재되어 있다. 그 이후에는 조선후기 문인 이규상의 문집 '일몽고(一夢稿)'의 서문과 문원록 등의 원문이 담겨 있다. 문서는 모두 네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
|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
|
![]() |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
![]() |
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
![]() |
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
![]() |
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
![]() |
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
![]() |
1972년 10월 19일 대전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폐막’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폐막 부여·공주 궁녀제·관등놀이로 찬란한 문화 새기며 지난 15일부터 연 3일간 부여와 공주에서 열린 제18회 백제문화제는 부여여고생들의 궁녀제와… |
100020598 朝鮮通信使, 百濟通信使 - 2018년 시즈오카 답사 |
|
100020536 민간신앙(民間信仰)으로 본 계룡산(鷄龍山) |
|
100019408 민간신앙(民間信仰)으로 본 계룡산(鷄龍山) |
|
100016394 김인겸이 이어주는 공주와 조선통신사 |
|
100016151 무왕(武王)의 서동설화(薯童說話) 연구 |
|
100016072 조선후기 공주지역의 천주교 박해(迫害)와 신자(信者)들의 생활 |
|
100012240 백제 도성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
|
100010999 백제문화 제32집 |
|
100000500 백제문화 제32집 |
|
100019096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
|
500011594 서파 오도일 소개 및 상지 이규상의 일몽고(一夢稿) 서문 등에 관한 메모 |
|
100000059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
|
100000058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
|
100020905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
|
100020904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
|
100020903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
|
100020902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
|
100020900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
|
100020899 백제문화제 폐막 신문 기사 |
제목 朝鮮通信使, 百濟通信使 - 2018년 시즈오카 답사
범위와내용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에서 주최한 2018년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 관련 시즈오카 답사집이다.
등록번호100020598
생산일자201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기타
범위와내용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등록번호100020536
생산일자1999.1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범위와내용계룡산의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촬영한 사진 화보집.
등록번호100019408
생산일자1999.1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제목 조선후기 공주지역의 천주교 박해(迫害)와 신자(信者)들의 생활
등록번호100016072
생산일자1994.00.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범위와내용Ⅰ. 序論 Ⅱ. 河北慰禮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Ⅲ. 河南慰禮城·漢城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배치 Ⅳ. 熊津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Ⅴ. 泗비 都城의 都市構造와 信仰遺蹟의 空間的 配置 Ⅵ. 日本 아스카의 도시구조와 신앙유적의 공간적 배치 Ⅶ. 結論
등록번호100012240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백제문화 제32집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등록번호100010999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총론(혼합)
제목 백제문화 제32집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등록번호100000500
생산일자20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총론(혼합)
제목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이다.
등록번호10001909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제목 성신교린 조선통신사 발자취를 찾아: 공주에는 조선통신사, 백제통신사가 있다.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1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금강뉴스 대표 신용희 님의 원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조선통신사 유적지를 찾아 1)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조선통신사 2)성신교린(誠信交隣)의 정신, 조선통신사와 시즈오카 3)기타무라와 시즈오카 사찰의 현판 3)세이겐지와 김인겸 4)조선통신사 신유와 해사록 2. 조선통신사와 한/일 민간 교류 3. 타지역의…
등록번호100017931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지역개발,관광>지역개발>총론(혼합)
제목 서파 오도일 소개 및 상지 이규상의 일몽고(一夢稿) 서문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 메모이다. 서두에는 서파 오도일의 이력이 기재되어 있다. 그 이후에는 조선후기 문인 이규상의 문집 '일몽고(一夢稿)'의 서문과 문원록 등의 원문이 담겨 있다. 문서는 모두 네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장: 일몽고의 서문, 송일본통신상사(送日本通信上使),…
등록번호5000115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연구 / 정해은 = 17,19,0 1. 들어가는 말 = 18,20,0 2. 무반 가문의 형성 = 21,23,0 3. 무반…
등록번호100000059
생산일자2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04 : 무인 기상 드높인 충의가문 진주류씨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3,0 화보 = 2,4,0 발간사 :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나태주 = 13,15,0 축사 : 나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길잡이 = 14,16,0 차례 = ,17,0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 연구 / 정해은 = 17,19,0 1. 들어가는 말 = 18,20,0 2. 무반 가문의 형성 = 21,23,0 3. 무반…
등록번호100000058
생산일자20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제목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각종 행사 푸짐 윤문공 등 참석 공주 공산성서 서막식 멀리 일본의 문화까지 계발시켰던 찬란한 백제의 얼을 재현하는 제19회…
등록번호100020905
생산일자1973.10.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개최된다. 특히 이번 백제문화제는 공주박물관 개관과 함께 무령왕릉 출토품도 전시될 예정이어서 한층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100020904
생산일자1973.10.1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10월 문화의 달을 맞아 펼쳐지는 백제문화제는 공주 부여지방에 국한된 행사가 아니라 백제인의 얼을 지녀 살아온 충청인 모두의…
등록번호100020903
생산일자1973.10.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여흥까지 마련했다는 것이다. 백제제는 이 고장에서 가장 큰 문화행사로 꼽는다. 비록 향토적인 잔치라곤 하지만 거국적인 규모로…
등록번호100020902
생산일자1973.09.2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제18회 백제문화제는 연 3일간 40만 공주·부여군민과 외래관광객들의 마음을 단풍처럼 물들인 후 마침내 막이 내려졌다. 깊어가는…
등록번호100020900
생산일자1972.10.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9일 대전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폐막’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폐막 부여·공주 궁녀제·관등놀이로 찬란한 문화 새기며 지난 15일부터 연 3일간 부여와 공주에서 열린 제18회 백제문화제는 부여여고생들의 궁녀제와 관등놀이 공주교대생들의 고전무용과 음악의 밤을 끝으로 17일 막을 내렸다. 지난 15일부터 개막 연 3일 동안 부여와…
등록번호100020899
생산일자1972.10.19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