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30925건
  • 출처분류  기관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6

생산일자|1988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5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4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등록번호|200048332

생산일자|198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등록번호|200048282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등록번호|200048278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4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4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2020 공주 문화재 야행, '근대' 새롭게 조명 | 김광섭((주)특급뉴스 대표)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함께 만들어가는 백제문화제 | (재)백제문화제재단 - (사)공주고도육성·세계유산관리주민협의회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2 공주의 美 (22) - 다시 보는 公州九龍寺址 | 문경호(공주대학교) 30 역사 속의 공주 인물(23) -…

등록번호|100020164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기획취재 02 2020 공주 문화재 야행, '근대' 새롭게 조명 | 김광섭((주)특급뉴스 대표)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함께 만들어가는 백제문화제 | (재)백제문화제재단 - (사)공주고도육성·세계유산관리주민협의회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2 공주의 美 (22) - 다시 보는 公九龍寺址 | 문경호(공주대학교) 30 역사 속의 공주 인물(23) - 제민천에 다리를 놓다, 백제의 동성왕 | 서정석(공주대학교 박물관장) 공주 이야기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제목|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州)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등록번호|2000550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기관
  • 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06 공주의 4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윤용혁 12 역사속의 공주 인물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 1430~1487) | 최명진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26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2 도쿄 간다마쓰리(東神祭유기준 고도보존과…

등록번호|100020166

생산일자|2022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46 나의 공주 70년 이장열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52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62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 이현숙

제목| 동복오씨 묵재 오백령 영당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0,1,0 표제지 = 0,3,0 화보 = 0,4,0 발간사 = 0,15,0 축사 = 0,16,0 목차 = 0,17,0 공주의 동복오씨와 월굴(月窟)/이해준 = 0,19,0 1. 머리말 = 0,20,0 2. 동복오씨의 공주 입향과정과 저명인물 = 0,21,0 3. 수촌 오시수의 신원 활동 = 0,41,0 4. 공주 동복오씨의 문중, 향촌활동 =…

등록번호|100000254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기관
  • 수촌공 휘 오시수 신도비문 = 0,162,0 4. 동복오씨 소장 고문서 목록 = 0,181,0 동북 오씨 집성촌 우성면 단지리(丹芝)/신용희 = 0,219,0 임원명단 = 0,224,0 판권지 = 0,225,0 [광고] = 0,226,0 뒤표지 = 0,227,0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1430~1487) / 최명진 = 12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도쿄 간다마쓰리(東京神田祭) /…

등록번호|100020820

생산일자|2022.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기타

  • 기관
  • = 34 공주 이야기 보따리 詩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 40 나의 공주 70년 / 이장열 = 46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 52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생' / 이현숙 = 62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1430~1487) / 최명진 = 12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도쿄 간다마쓰리(東京神田祭) /…

등록번호|100020819

생산일자|2022.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기타

  • 기관
  • = 34 공주 이야기 보따리 詩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 40 나의 공주 70년 / 이장열 = 46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 52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생' / 이현숙 = 62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기관
  •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덴시로우(岩下傳四)의 『대륙신사대관(大陸神社大観)』에서 이인면에 설치된 신사는 확인 할 수 없다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7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7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제3차문화도시지정・・・ 문화로 도시 발전 견인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8 고도 보존육성 정책을 중심으로 | 김용희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6 공주의 4 무령왕에의 기억, 사마산 | 윤용혁 30 역사속의 공주 인물 20 대나무 바람이 조선을 흔들다. 탄은 이정灘隱李霆)과 공주(公州) 최명진 세계의…

등록번호|100020165

생산일자|2022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기획취재 02 공주시, 제3차문화도시지정・・・ 문화로 도시 발전 견인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8 고도 보존육성 정책을 중심으로 | 김용희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6 공주의 4 무령왕에의 기억, 사마산 | 윤용혁 30 역사속의 공주 인물 20 대나무 바람이 조선을 흔들다. 탄은 이정灘隱李霆)과 공주(公) 최명진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8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이탈리아 역사도시 베로나(Verona)와

제목| 백제를 꿈꾸며 : 우재 안승주박사 추모문집

범위와내용|목차 머리말 : 그리고, 다시 열번째의 여름을 맞으며 = 20 추모시 조재훈/편지, 바람에 부치는 안부 = 21 우재 안승주박사 연보 및 연구업적 = 23 1장 백제를 찾아서 무령왕릉과 송산리6호분 = 31 공산성에 대하여 = 48 백제사회의 발전과 고분문화 = 59 백제사상의 웅진시대 = 66 백제문화 유적의 보존관리와 그 문제점 = 70 2장 공주의…

등록번호|100010148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기관
  • 추억하며 / 니시타니 타다시(西谷 正) = 284 공주, 백제, 그리고 안승주 선생님 / 도다 유지(戶田有) = 288 당신께 드립니다 / 도순성 = 291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제목|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각종 행사 푸짐 윤문공 등 참석 공주 공산성서 서막식 멀리 일본의 문화까지 계발시켰던 찬란한 백제의 얼을 재현하는 제19회…

등록번호|100020905

생산일자|1973.10.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제목|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개최된다. 특히 이번 백제문화제는 공주박물관 개관과 함께 무령왕릉 출토품도 전시될 예정이어서 한층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100020904

생산일자|1973.10.1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제목|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10월 문화의 달을 맞아 펼쳐지는 백제문화제는 공주 부여지방에 국한된 행사가 아니라 백제인의 얼을 지녀 살아온 충청인 모두의…

등록번호|100020903

생산일자|1973.10.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제목|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여흥까지 마련했다는 것이다. 백제제는 이 고장에서 가장 큰 문화행사로 꼽는다. 비록 향토적인 잔치라곤 하지만 거국적인 규모로…

등록번호|100020902

생산일자|1973.09.2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제목|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제18회 백제문화제는 연 3일간 40만 공주·부여군민과 외래관광객들의 마음을 단풍처럼 물들인 후 마침내 막이 내려졌다. 깊어가는…

등록번호|100020900

생산일자|1972.10.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30925건
  • 출처분류  기관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4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4호

기획취재 02 2020 공주 문화재 야행, '근대' 새롭게 조명 | 김광섭((주)특급뉴스 대표)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함께 만들어가는 백제문화제 | (재)백제문화제재단 - (사)공주고도육성·세계유산관리주민협의회 공주의…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기획취재 02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06 공주의 4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윤용혁 12 역사속의 공주 인물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

동복오씨 묵재 오백령 영당

목차 표지 = 0,1,0 표제지 = 0,3,0 화보 = 0,4,0 발간사 = 0,15,0 축사 = 0,16,0 목차 = 0,17,0 공주의 동복오씨와 월굴(月窟)/이해준 = 0,19,0 1. 머리말 = 0,20,0 2. 동복오씨의…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7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7호

기획취재 02 공주시, 제3차문화도시지정・・・ 문화로 도시 발전 견인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8 고도 보존육성 정책을 중심으로 | 김용희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6 공주의 4 무령왕에의 기억, 사마산 |…

백제를 꿈꾸며 : 우재 안승주박사 추모문집

목차 머리말 : 그리고, 다시 열번째의 여름을 맞으며 = 20 추모시 조재훈/편지, 바람에 부치는 안부 = 21 우재 안승주박사 연보 및 연구업적 = 23 1장 백제를 찾아서 무령왕릉과 송산리6호분 = 31 공산성에 대하여 =…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30925건
  • 출처분류  기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30925건
  • 출처분류  기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30925건
  • 출처분류  기관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6

생산일자|1988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5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4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등록번호|200048332

생산일자|198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등록번호|200048282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등록번호|200048278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4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2020 공주 문화재 야행, '근대' 새롭게 조명 | 김광섭((주)특급뉴스 대표)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함께 만들어가는 백제문화제 | (재)백제문화제재단 - (사)공주고도육성·세계유산관리주민협의회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2 공주의 美 (22) - 다시 보는 公州九龍寺址 | 문경호(공주대학교) 30 역사 속의 공주 인물(23) -…

등록번호|100020164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기획취재 02 2020 공주 문화재 야행, '근대' 새롭게 조명 | 김광섭((주)특급뉴스 대표)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함께 만들어가는 백제문화제 | (재)백제문화제재단 - (사)공주고도육성·세계유산관리주민협의회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2 공주의 美 (22) - 다시 보는 公九龍寺址 | 문경호(공주대학교) 30 역사 속의 공주 인물(23) - 제민천에 다리를 놓다, 백제의 동성왕 | 서정석(공주대학교 박물관장) 공주 이야기

제목|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州)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등록번호|2000550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기관
  • 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06 공주의 4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윤용혁 12 역사속의 공주 인물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 1430~1487) | 최명진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26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2 도쿄 간다마쓰리(東神祭유기준 고도보존과…

등록번호|100020166

생산일자|2022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46 나의 공주 70년 이장열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52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62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 이현숙

제목| 동복오씨 묵재 오백령 영당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0,1,0 표제지 = 0,3,0 화보 = 0,4,0 발간사 = 0,15,0 축사 = 0,16,0 목차 = 0,17,0 공주의 동복오씨와 월굴(月窟)/이해준 = 0,19,0 1. 머리말 = 0,20,0 2. 동복오씨의 공주 입향과정과 저명인물 = 0,21,0 3. 수촌 오시수의 신원 활동 = 0,41,0 4. 공주 동복오씨의 문중, 향촌활동 =…

등록번호|100000254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기관
  • 수촌공 휘 오시수 신도비문 = 0,162,0 4. 동복오씨 소장 고문서 목록 = 0,181,0 동북 오씨 집성촌 우성면 단지리(丹芝)/신용희 = 0,219,0 임원명단 = 0,224,0 판권지 = 0,225,0 [광고] = 0,226,0 뒤표지 = 0,227,0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1430~1487) / 최명진 = 12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도쿄 간다마쓰리(東京神田祭) /…

등록번호|100020820

생산일자|2022.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기타

  • 기관
  • = 34 공주 이야기 보따리 詩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 40 나의 공주 70년 / 이장열 = 46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 52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생' / 이현숙 = 62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8호

범위와내용|목차 기획취재 공주시, '2022 공주 문화재 야행' 개최 / 김광섭 = 2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공주의 美 ㉖ 공주 기독 복음의 터전, '제일교회' 예배당 / 윤용혁 = 6 역사속의 공주 인물 ㉗ 조선 의학계의 전설, 권찬(權攢, 1430~1487) / 최명진 = 12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도쿄 간다마쓰리(東京神田祭) /…

등록번호|100020819

생산일자|2022.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기타

  • 기관
  • = 34 공주 이야기 보따리 詩 작품에 투영된 公 / 신현보 = 40 나의 공주 70년 / 이장열 = 46 고도 공주, 우리 동네 이야기 자연 미술의 성지 연미산자연미술공원 / 고승현 = 52 국립대학교와 고도 공주 지역사회와 대학역사박물관의 '문화상생' / 이현숙 = 62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기관
  •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덴시로우(岩下傳四)의 『대륙신사대관(大陸神社大観)』에서 이인면에 설치된 신사는 확인 할 수 없다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2년 27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제3차문화도시지정・・・ 문화로 도시 발전 견인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8 고도 보존육성 정책을 중심으로 | 김용희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6 공주의 4 무령왕에의 기억, 사마산 | 윤용혁 30 역사속의 공주 인물 20 대나무 바람이 조선을 흔들다. 탄은 이정灘隱李霆)과 공주(公州) 최명진 세계의…

등록번호|100020165

생산일자|2022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관
  • 기획취재 02 공주시, 제3차문화도시지정・・・ 문화로 도시 발전 견인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8 고도 보존육성 정책을 중심으로 | 김용희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26 공주의 4 무령왕에의 기억, 사마산 | 윤용혁 30 역사속의 공주 인물 20 대나무 바람이 조선을 흔들다. 탄은 이정灘隱李霆)과 공주(公) 최명진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8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이탈리아 역사도시 베로나(Verona)와

제목| 백제를 꿈꾸며 : 우재 안승주박사 추모문집

범위와내용|목차 머리말 : 그리고, 다시 열번째의 여름을 맞으며 = 20 추모시 조재훈/편지, 바람에 부치는 안부 = 21 우재 안승주박사 연보 및 연구업적 = 23 1장 백제를 찾아서 무령왕릉과 송산리6호분 = 31 공산성에 대하여 = 48 백제사회의 발전과 고분문화 = 59 백제사상의 웅진시대 = 66 백제문화 유적의 보존관리와 그 문제점 = 70 2장 공주의…

등록번호|100010148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기관
  • 추억하며 / 니시타니 타다시(西谷 正) = 284 공주, 백제, 그리고 안승주 선생님 / 도다 유지(戶田有) = 288 당신께 드립니다 / 도순성 = 291

제목|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3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신문 기사 공주·부여는 온통 축제 무드 찬란했던 조상의 얼 되새겨 백제문화제 개막 민 지사, 전통적 문화유산 계승 발전 삼충제 등 각종 행사 푸짐 윤문공 등 참석 공주 공산성서 서막식 멀리 일본의 문화까지 계발시켰던 찬란한 백제의 얼을 재현하는 제19회…

등록번호|100020905

생산일자|1973.10.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제목|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12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문화제 임박’ 신문 기사 백제문화제 임박 11일 밤 공주서 성화 점화식 제19회 백제문화제가 11일 밤 공주에서 성화 점화식을 올림으로써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공주와 부여에서 개최된다. 특히 이번 백제문화제는 공주박물관 개관과 함께 무령왕릉 출토품도 전시될 예정이어서 한층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100020904

생산일자|1973.10.1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제목|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10월 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신문 기사 범충청인의 행사돼야 형식에 그친 백제문화제는 개선해야 한다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제19회 백제문화제가 공주 부여에서 열린다. 추색이 짙은 10월 문화의 달을 맞아 펼쳐지는 백제문화제는 공주 부여지방에 국한된 행사가 아니라 백제인의 얼을 지녀 살아온 충청인 모두의…

등록번호|100020903

생산일자|1973.10.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제목|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3년 9월 27일 충남일보에 게재된 ‘백제제는 흥겨웁게’ 신문 기사 백제제는 흥겨웁게 지금 공주지방에선 백제문화제 준비가 한창이라고 들린다. 예산은 2백만원에 불과하나 4왕 추모제를 비롯 불꽃놀이 등 24개 종목이나 되는 여흥까지 마련했다는 것이다. 백제제는 이 고장에서 가장 큰 문화행사로 꼽는다. 비록 향토적인 잔치라곤 하지만 거국적인 규모로…

등록번호|100020902

생산일자|1973.09.2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제목|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1972년 10월 14일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신문 기사 부여 공주서 재현된 백제문화제 찬란한 백제문화 되새겨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10월은 문화의 달로, 10월 20일은 문화의 날로 정해진 후 처음으로 맞았던 제18회 백제문화제는 연 3일간 40만 공주·부여군민과 외래관광객들의 마음을 단풍처럼 물들인 후 마침내 막이 내려졌다. 깊어가는…

등록번호|100020900

생산일자|1972.10.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