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정안면석비 비문

제목| 정안면석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6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제목|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2장과 A4용지 5장으로 이면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등록번호|50001156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제목|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기록을 검토하여 보니 남호는 영기 스님의 아호이고, 완당이 서거했던 1856년에는 봉은사의 주지였다.…

등록번호|5000115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도선생안, 읍선생안 으로 구분지어 세부자료명을 함께 기재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1875년 3월 발행된 예조입안문

제목| 1875년 3월 발행된 예조입안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광서 원년(1875년) 3월 예조입안문의 번역문이다. 이 내용에 따르면 연풍현감 이용필의 후사를 마련하기 위하여 같은 성씨의 육촌 형제인 이용주의 셋째 아들 이대중을 후사로 삼고자 장계를 올렸고, 이에 조정에서 허락되어 예조에서 입안을 내린 것이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예조입안을 번역하고 국한문을 혼용하여 메모한 것으로…

등록번호|50001155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 관련문헌목록 및 이두표현에 대한 메모

제목|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 관련문헌목록 및 이두표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에 관한 문건 목록을 메모한 것이다. 윤광안은 공주에서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인물이기도 하다. 한편 전면의 중반부부터는 이두식 표현에 대한 메모와 한자 어휘에 대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으며, 후면 또한 이두식 표현에 대한 설명과 한자 어휘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이두식 표현을 공부하기 위하여…

등록번호|50001155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문헌 속 '공주' 관련사항에 대한 메모

제목| 문헌 속 '공주' 관련사항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지역 문헌에 대하여 정리한 기록이다. 본문에 언급된 문헌은 동국여지승람(공주목편)과 공주승람,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 웅진당기, 조선지지략,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이다.

등록번호|50001155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산초비기(公山剿匪記)에 관한 메모

제목| 공산초비기(公山剿匪記)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갑오년(1894년)의 동학군 토벌 당시의 상황을 담고 있는 문헌 '공산초비기'에 대하여 자필로 요약한 메모이다. 메모에는 1. 이인전투, 2. 효포전투, 3. 우금치전투로 구분지어 기재하였다. 그런데 마지막 우금치전투는 별록(別錄)한다고 하며 기재하지 않았다.

등록번호|50001155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병학지남(兵學指南)에 수록된 기고정법(旗鼓定法)에 관한 메모

제목| 병학지남(兵學指南)에 수록된 기고정법(旗鼓定法)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병학지남(兵學指南)의 기고정법(旗鼓定法) 관련 기록이다. 병학지남은 조선 정조대에 장용영에서 명나라 척계광의 기효신서에서 군대의 조련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역하여 1787년에 판찬한 군서이다. 윤용혁 교수는 충청도의 진관체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위 서책을 살피고, 권1에 대하당하는 기고정법의 내용 일부를 메모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1155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조선시대 충남도내의 병제(兵制), 가휴 조익,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에 관한 메모

제목| 조선시대 충남도내의 병제(兵制), 가휴 조익,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조선시대 병제로 충남도내에 위치한 육군과 수군에 대한 내용, 가휴 조익 선생,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 공주 역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5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유구역(維鳩驛) 관련 메모

제목| 유구역(維鳩驛)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유구역(維鳩驛) 관련 기록이다. 유구역은 현 공주시 유구읍 소재지인 석남리 부근에 있던 역원이다. 이 메모에 담긴 내용은 유구역에 대한 간략한 이력과 당시 유구역 부근에 낙향하였던 문극겸의 시를 함께 기재해 놓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역 - 석남리 창촌(창말), 고려 의종 때 사신이나 관리가 지방에 왕래할 때 역마와…

등록번호|50001155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대통사 및 수원사에 대한 메모

제목| 대통사 및 수원사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대통사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대통사 뿐만 아니라 수원사지에 대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제목|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도산십곡, 우암 선생은 화양구곡이 유명하다. 그 가운데 공주의 구곡은 금란구곡(문천리, 대산리 일부, 마곡사)과 용산구곡(반포면…

등록번호|50001154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정안면석비 비문

정안면석비 비문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1875년 3월 발행된 예조입안문

1875년 3월 발행된 예조입안문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광서 원년(1875년) 3월 예조입안문의 번역문이다. 이 내용에 따르면 연풍현감 이용필의 후사를 마련하기 위하여 같은 성씨의 육촌 형제인 이용주의 셋째 아들 이대중을 후사로 삼고자 장계를 올렸고, 이에…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 관련문헌목록 및 이두표현에 대한 메모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 관련문헌목록 및 이두표현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에 관한 문건 목록을 메모한 것이다. 윤광안은 공주에서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인물이기도 하다. 한편 전면의 중반부부터는 이두식 표현에 대한 메모와 한자 어휘에 대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으며,…
문헌 속 '공주' 관련사항에 대한 메모

문헌 속 '공주' 관련사항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지역 문헌에 대하여 정리한 기록이다. 본문에 언급된 문헌은 동국여지승람(공주목편)과 공주승람,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 웅진당기, 조선지지략,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이다.
공산초비기(公山剿匪記)에 관한 메모

공산초비기(公山剿匪記)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갑오년(1894년)의 동학군 토벌 당시의 상황을 담고 있는 문헌 '공산초비기'에 대하여 자필로 요약한 메모이다. 메모에는 1. 이인전투, 2. 효포전투, 3. 우금치전투로 구분지어 기재하였다. 그런데 마지막 우금치전투는…
병학지남(兵學指南)에 수록된 기고정법(旗鼓定法)에 관한 메모

병학지남(兵學指南)에 수록된 기고정법(旗鼓定法)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병학지남(兵學指南)의 기고정법(旗鼓定法) 관련 기록이다. 병학지남은 조선 정조대에 장용영에서 명나라 척계광의 기효신서에서 군대의 조련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역하여 1787년에 판찬한 군서이다. 윤용혁 교수는…
조선시대 충남도내의 병제(兵制), 가휴 조익,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에 관한 메모

조선시대 충남도내의 병제(兵制), 가휴 조익,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조선시대 병제로 충남도내에 위치한 육군과 수군에 대한 내용, 가휴 조익 선생,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 공주 역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유구역(維鳩驛) 관련 메모

유구역(維鳩驛)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유구역(維鳩驛) 관련 기록이다. 유구역은 현 공주시 유구읍 소재지인 석남리 부근에 있던 역원이다. 이 메모에 담긴 내용은 유구역에 대한 간략한 이력과 당시 유구역 부근에 낙향하였던 문극겸의 시를 함께…
대통사 및 수원사에 대한 메모

대통사 및 수원사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대통사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대통사 뿐만 아니라 수원사지에 대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제목| 정안면석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6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2장과 A4용지 5장으로 이면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등록번호|50001156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기록을 검토하여 보니 남호는 영기 스님의 아호이고, 완당이 서거했던 1856년에는 봉은사의 주지였다.…

등록번호|5000115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도선생안, 읍선생안 으로 구분지어 세부자료명을 함께 기재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875년 3월 발행된 예조입안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광서 원년(1875년) 3월 예조입안문의 번역문이다. 이 내용에 따르면 연풍현감 이용필의 후사를 마련하기 위하여 같은 성씨의 육촌 형제인 이용주의 셋째 아들 이대중을 후사로 삼고자 장계를 올렸고, 이에 조정에서 허락되어 예조에서 입안을 내린 것이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예조입안을 번역하고 국한문을 혼용하여 메모한 것으로…

등록번호|50001155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 관련문헌목록 및 이두표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반호 윤광안(盤湖 尹光顔)에 관한 문건 목록을 메모한 것이다. 윤광안은 공주에서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인물이기도 하다. 한편 전면의 중반부부터는 이두식 표현에 대한 메모와 한자 어휘에 대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으며, 후면 또한 이두식 표현에 대한 설명과 한자 어휘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이두식 표현을 공부하기 위하여…

등록번호|50001155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문헌 속 '공주' 관련사항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지역 문헌에 대하여 정리한 기록이다. 본문에 언급된 문헌은 동국여지승람(공주목편)과 공주승람,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 웅진당기, 조선지지략,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이다.

등록번호|50001155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산초비기(公山剿匪記)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갑오년(1894년)의 동학군 토벌 당시의 상황을 담고 있는 문헌 '공산초비기'에 대하여 자필로 요약한 메모이다. 메모에는 1. 이인전투, 2. 효포전투, 3. 우금치전투로 구분지어 기재하였다. 그런데 마지막 우금치전투는 별록(別錄)한다고 하며 기재하지 않았다.

등록번호|50001155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병학지남(兵學指南)에 수록된 기고정법(旗鼓定法)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병학지남(兵學指南)의 기고정법(旗鼓定法) 관련 기록이다. 병학지남은 조선 정조대에 장용영에서 명나라 척계광의 기효신서에서 군대의 조련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역하여 1787년에 판찬한 군서이다. 윤용혁 교수는 충청도의 진관체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위 서책을 살피고, 권1에 대하당하는 기고정법의 내용 일부를 메모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1155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조선시대 충남도내의 병제(兵制), 가휴 조익,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조선시대 병제로 충남도내에 위치한 육군과 수군에 대한 내용, 가휴 조익 선생, 호서양사재거접절목 등 공주 역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5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역(維鳩驛)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유구역(維鳩驛) 관련 기록이다. 유구역은 현 공주시 유구읍 소재지인 석남리 부근에 있던 역원이다. 이 메모에 담긴 내용은 유구역에 대한 간략한 이력과 당시 유구역 부근에 낙향하였던 문극겸의 시를 함께 기재해 놓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역 - 석남리 창촌(창말), 고려 의종 때 사신이나 관리가 지방에 왕래할 때 역마와…

등록번호|50001155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대통사 및 수원사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대통사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대통사 뿐만 아니라 수원사지에 대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도산십곡, 우암 선생은 화양구곡이 유명하다. 그 가운데 공주의 구곡은 금란구곡(문천리, 대산리 일부, 마곡사)과 용산구곡(반포면…

등록번호|50001154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