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2년 공주고등학교에서 발행한 졸업장으로 오재은 학생에게 수여하였다. 본교 3개년의 전과정을 졸업하여 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세부행사추진계획을 수록함
국제대회 93년도 개최계획, 92년도 개최실적 및 주요인사 초청 파견계획제출 외 3건
1998년 공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의 등교와 하교 편의를 도모하고 면학여건 등을 조성하기 위해 통학버스 운영을 도입했다. 본 자료는 해당 통학버스가 각 코스별로 통과하는 예상 시간표와 구간별 요금표를 수록한 안내문이다.
1934년 정안공립보통학교에서 본 학년간 정근한 2학년 전병옥 군을 표창하며 부상과 함께 수여한 상장이다.
1993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학교 간 경기 공주시.군 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박화영 학생이 여국부 800m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이다. 학생 성명 하단에는 지도교사명도 기재되어 있다.
1960년대 공주고등학교 재학생의 본가인 공주 계룡면 유평리로 학교에서 직접 발송한 우편이다. 보호자에게 금액을 영수하는 내용이 적혀있다.
1975.09.29부터 6일간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요리 및 분식대강습회 안내문이다. 혼분식과 감자요리가 장려된 당대의 문화가 반영된 요리교실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아가 전면에는 '미원'의 광고가 수록되어 있다.
계룡국민학교 제40회 졸업생 소병열님의 졸업장이다. 본교 6개년 과정을 졸업하여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1962년 2월 9일자로 발행되었다.
2001년 12월 6일 문예회관대강당에서 진행하는 충남정신발양 시민교육 행사 계획 문서이다. 행사 일시, 장소, 대상, 주최, 후원, 식순, 사업비 등이 적혀있다.
기증자가 한국학논집 제17집에 수록된 김창식 '임제 시의 풍격'을 발췌한 것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서론
2. 시인의 기질 및 취향과 문학
3. 작품의 풍격분석
4. 결론
1963년 반포국민학교에서 4학년 2반 남신현 학생을 학년 간 부급장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의 임명장이다.
1984년 배양환님이 군생활 중 지급받은 병기 M60 기관총에 사용한 각종 물품의 자금내역이다.
도시샤 대학과 조선총독부 발표자 김태성'이라고 적혀있다.
1992년도 6월 월례회의자료(5차)
1971.04.08,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된 제26차 이사회 속기록과 참석확인서이다. 당시 이사회에서는 신임 이사장을 선출했다.
공감톡!행복톡! 행복교실만들기'프로젝트에서 2018년 반포초등학교 6학년 1반이 깨끗하고 아름다운 교실로 선정되어 수여받은 상장이다.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메모이다. 메모의 제목이 없어 어떤 목적으로 기재한 것인지, 언제 작성한 것인지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 메모의 구성을 살펴보면 앞면에는 총 3가지 사항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다. 먼저 일본인 아메미아히로스케의 공주 관련 변천 정보가 기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