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10084
-
- 형태분류
-
-
- 사진류 10084
-
![]() |
범위와내용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시마의 항구에는 공주와 가카라시마의 16년간 교류를 상징하는 벽화가 항구에 그려져 있다. 가장 마지막에 그린것은 2016년으로 공주영명중학교 학생들과 가카라시마 학생들이 함께 그린 벽화가 있다. 등록번호200039904 생산일자2017.06.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의 사당이다. 등록번호200039903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의 사당이다. 등록번호200039902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901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900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9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8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7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6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5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4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3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2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위치한 '도공지비(陶工之碑)'의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1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세운 '도공지비(陶工之碑)이다. 여기서 자기를 만들었던 도공들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만들어졌다. 등록번호200039890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6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9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5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8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4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7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제목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3)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를 방문한 한국방문단이 ***의 설명을 듣고 있다. ***씨는 '일본 도자기의 신, 이삼평'이라는 소설을 쓴 요시지마 미키오씨인다. 필명은 쿠로가미 슈텐도이다. 등록번호200039886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제목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2)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를 방문한 한국방문단이 ***의 설명을 듣고 있다. ***씨는 '일본 도자기의 신, 이삼평'이라는 소설을 쓴 요시지마 미키오씨인다. 필명은 쿠로가미 슈텐도이다. 등록번호200039885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200039904 일본 가카라시마 항구의 벽화 (1) |
|
200039903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사당 (2) |
|
200039902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사당 (1) |
|
200039901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6) |
|
200039900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5) |
|
200039899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4) |
|
200039898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3) |
|
200039897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2) |
|
200039896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1) |
|
200039895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9) |
|
200039894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8) |
|
200039893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7) |
|
200039892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6) |
|
200039891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5) |
|
200039890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4) |
|
200039889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3) |
|
200039888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2) |
|
200039887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1) |
|
200039886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3) |
|
200039885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2) |
범위와내용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시마의 항구에는 공주와 가카라시마의 16년간 교류를 상징하는 벽화가 항구에 그려져 있다. 가장 마지막에 그린것은 2016년으로 공주영명중학교 학생들과 가카라시마 학생들이 함께 그린 벽화가 있다.
등록번호200039904
생산일자2017.06.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의 사당이다.
등록번호200039903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의 사당이다.
등록번호200039902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901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900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9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8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7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기려왔다. 그러다가 1959년 시라카와(白川)의 공동묘지에서 '월창정심거사(月窓淨心居士)'라는…
등록번호200039896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5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4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3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2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위치한 '도공지비(陶工之碑)'의 안내판이다.
등록번호200039891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세운 '도공지비(陶工之碑)이다. 여기서 자기를 만들었던 도공들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만들어졌다.
등록번호200039890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6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9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5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8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10,024톤이나 되는 도석이 채굴되기도 했다. 채굴방법은 주로 곡괭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등록번호200039887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제목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3)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를 방문한 한국방문단이 ***의 설명을 듣고 있다. ***씨는 '일본 도자기의 신, 이삼평'이라는 소설을 쓴 요시지마 미키오씨인다. 필명은 쿠로가미 슈텐도이다.
등록번호200039886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제목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유적 방문단 (2)
범위와내용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를 방문한 한국방문단이 ***의 설명을 듣고 있다. ***씨는 '일본 도자기의 신, 이삼평'이라는 소설을 쓴 요시지마 미키오씨인다. 필명은 쿠로가미 슈텐도이다.
등록번호200039885
생산일자2017.06.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