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현대 50622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적은 공주향교중수기 해석문 초안이다. 메모지에는 중수기의 원문을 해석한 내용을 기재하고, 수정 및 오탈자 등의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공주향교중수기는 공산지에 수록된 것으로, 1813년 충청도관찰사 원재명이 향교전체를 중수하면서 쓴 것이다. 등록번호50001158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연혁에 대한 메모이다. 1988년 3월 5일부터 시작된 웅진문화연구회의 간략한 연혁과 당면과제 등에 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8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메모로, 충청도관찰사 윤광안이 지은 공주목 견역청 절목의 본문이다. 윤여헌 교수는 절목의 원문을 줄선 메모지에 옮겨 적고, 연도를 표기하거나 한자의 뜻풀이를 메모하고, 'v'자로 띄어쓰기를 표시해 두었다. 메모의 후반부에는 해석을 함께 추기해 두었다. 한편, 견역청절목 원문은 공산지에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8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주 향토사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직전의 기록이 있는듯 하나, 이 메모에서는 일련번호 3번의 일부가 누락된 상태에서 본문 내용의 기재가 시작되고 있다. 기재된 메모사항은 3. 인조 파천과 관련된 전설 4. 향토문화 활동 가운데 어려운 점 5. 인절미 유래 6. 기네스 북 등재 7. 앞으로의 계획 으로 정리되었다. 등록번호50001158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무령왕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관련 메모이다. 무령왕의 출신과 왕통에 대한 사료 검증과 일본서기와의 교차 검증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김재붕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는데, 메모의 앞장에 김재붕: 무령왕과 스미다하치만궁(신사)이라고 쓰여 있다. 한편, 메모지에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에서 제작한 메모지로, 상단부에 공주시 CI가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1157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낙수(落穗)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메모이다. 메모의 제목으로 '낙수(落穗)'라고 쓰고, 공주의 역사문화와 관련된 사항을 기재해 두었다. 낙수란 농사지은 것을 거두어간 뒤 땅에 흘리고 쳐진 나머지 낟알 등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평소 윤여헌 교수가 생각해 왔던 바로잡아야 할 공주역사문화나 추가연구가 필요한 사항들이 아직 정리되지 못한 것들에 대한 의미를 담아 메모의… 등록번호50001157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인조파천 및 공주 역사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1624년 2월 8일부터 시작하는 인조의 공주파천 행렬경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624년 2월 8일: 명정문을 나와 기마로 남하, 양재 → 과천 → 수원→ 직산. 천안(12일) 토적 소식을 들음, 닭이 울리기 전(새벽)에 공주로 방향을 전환 2월 13일:… 등록번호50001157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견사(淸見寺)의 종소리 본문이다. 청견사는 일본에 있는 절로서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 조일 관계가 맺어지면서 통신사가 이 절에 종종 참배를 하였다고 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종소리가 나의 생각을 좇아 몇 번 울리니 아름답고나. 산과 물, 거짓 없고 시기하지 않고 미워하지 않고 다투지 않는구나, (한편) 인간은 생사의… 등록번호50001157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십곡병화제(十曲屛畵題)에 대한 메모이다. 첫번째 쪽에는 원문이 3수까지 기재되어 있으며, 두번째 쪽에서는 1수부터 9수까지 기재되어 있다. 각 원문을 기록하며, 한자의 뜻과 의미를 부기하였다. 등록번호50001157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의 해석본이다. 첫번째 쪽 말미에 기재된 '진주인 유당 정현보'를 보아 진주에서 활동하였던 근대 서예가인 정현보의 작품인 것으로 보이며, 열 수의 시가 기재된 것으로 미루어 보건대 십폭병풍의 본문을 옮겨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두번째와 세번째 쪽은 각기 본문의 해석이 기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한시는 모두 작자가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7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천황봉 지명 변경 이유에 관한 메모이다.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고지도에는 표시가 없지만 삼불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천황봉이 아닌 천왕봉으로 추정 2. 충북 속리산의 천왕봉의 명칭은 대동여지도 및 팡도군현지도 등에 기재되어 있으나 1918년에 제작된 조선총독부지도부터 천황봉으로… 등록번호50001156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한자 어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재직시절 사용하였던 서류봉투로, 당시 학과의 주소와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한시 금강승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 금강승의 본문이다. 실제로 알려진 본문의 글자와 다소한 차이가 있으나 대략적으로는 내용이 일치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재학시절 사용하였던 시험 답안지이다. 등록번호50001156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당나라 시인 이백의 한시 월하독작의 본문이다. 그 하단에는 한시의 간략한 연원과 한시와 관련된 일화를 기록해두었으며, 후면에는 일문으로 그와는 무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이다. 그런데 메모의 서두부분에 적힌 메모의 제목에 박호병의 이름을 박병호(朴秉豪)로, 그리고 호의 한자도 '豪'로 잘못 기입해 두었다. 메모의 원문을 적고, 일부 한자의 음과 뜻을 별도로 기입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현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김집의 한시 의 본문과 해석에 대한 메모이다. 백마강 뿐만 아니라 각 후면에는 다른 한시 부벽루와 김창수의 수북정, 최현원의 귀래정원운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정안면석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6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2장과 A4용지 5장으로 이면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등록번호50001156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기록을 검토하여 보니 남호는 영기 스님의 아호이고, 완당이 서거했던 1856년에는 봉은사의 주지였다.… 등록번호5000115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도선생안, 읍선생안 으로 구분지어 세부자료명을 함께 기재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적은 공주향교중수기 해석문 초안이다. 메모지에는 중수기의 원문을 해석한 내용을 기재하고, 수정 및 오탈자 등의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공주향교중수기는 공산지에 수록된 것으로, 1813년 충청도관찰사…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연혁에 대한 메모이다. 1988년 3월 5일부터 시작된 웅진문화연구회의 간략한 연혁과 당면과제 등에 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다.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메모로, 충청도관찰사 윤광안이 지은 공주목 견역청 절목의 본문이다. 윤여헌 교수는 절목의 원문을 줄선 메모지에 옮겨 적고, 연도를 표기하거나 한자의 뜻풀이를 메모하고, 'v'자로 띄어쓰기를 표시해…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직전의 기록이 있는듯 하나, 이 메모에서는 일련번호 3번의 일부가 누락된 상태에서 본문 내용의 기재가 시작되고 있다. 기재된 메모사항은 3. 인조 파천과 관련된 전설 4.…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관련 메모이다. 무령왕의 출신과 왕통에 대한 사료 검증과 일본서기와의 교차 검증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김재붕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는데, 메모의 앞장에 김재붕: 무령왕과… |
![]() |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메모이다. 메모의 제목으로 '낙수(落穗)'라고 쓰고, 공주의 역사문화와 관련된 사항을 기재해 두었다. 낙수란 농사지은 것을 거두어간 뒤 땅에 흘리고 쳐진 나머지 낟알 등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평소 윤여헌…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인조파천 및 공주 역사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1624년 2월 8일부터 시작하는 인조의 공주파천 행렬경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624년 2월 8일: 명정문을 나와 기마로 남하,… |
![]() |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견사(淸見寺)의 종소리 본문이다. 청견사는 일본에 있는 절로서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 조일 관계가 맺어지면서 통신사가 이 절에 종종 참배를 하였다고 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종소리가 나의 생각을 좇아…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십곡병화제(十曲屛畵題)에 대한 메모이다. 첫번째 쪽에는 원문이 3수까지 기재되어 있으며, 두번째 쪽에서는 1수부터 9수까지 기재되어 있다. 각 원문을 기록하며, 한자의 뜻과 의미를 부기하였다. |
![]() |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의 해석본이다. 첫번째 쪽 말미에 기재된 '진주인 유당 정현보'를 보아 진주에서 활동하였던 근대 서예가인 정현보의 작품인 것으로 보이며, 열 수의 시가 기재된 것으로 미루어 보건대 십폭병풍의 본문을 옮겨적은…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천황봉 지명 변경 이유에 관한 메모이다.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고지도에는 표시가 없지만 삼불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천황봉이 아닌 천왕봉으로 추정 2. 충북… |
![]() |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재직시절 사용하였던 서류봉투로, 당시 학과의 주소와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
![]() |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 금강승의 본문이다. 실제로 알려진 본문의 글자와 다소한 차이가 있으나 대략적으로는 내용이 일치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재학시절 사용하였던 시험 답안지이다. |
![]() |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당나라 시인 이백의 한시 월하독작의 본문이다. 그 하단에는 한시의 간략한 연원과 한시와 관련된 일화를 기록해두었으며, 후면에는 일문으로 그와는 무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
![]() |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이다. 그런데 메모의 서두부분에 적힌 메모의 제목에 박호병의 이름을 박병호(朴秉豪)로, 그리고 호의 한자도 '豪'로 잘못 기입해 두었다.… |
![]() |
윤여현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김집의 한시 의 본문과 해석에 대한 메모이다. 백마강 뿐만 아니라 각 후면에는 다른 한시 부벽루와 김창수의 수북정, 최현원의 귀래정원운이 기재되어 있다. |
![]() |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
![]() |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
![]() |
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
500011585 공주향교중수기 해석문 초안 |
|
500011584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연혁에 관한 메모 |
|
500011583 공주목견역청절목 해석문 초안 |
|
500011582 공주 향토사 관련 메모 |
|
500011578 무령왕 관련 메모 |
|
500011577 낙수(落穗) 메모 |
|
500011576 인조파천 및 공주 역사 관련 메모 |
|
500011574 청견사(淸見寺)의 종소리 |
|
500011572 추사 김정희 십곡병화제(十曲屛畵題)에 관한 메모 |
|
500011571 유당 정현보 십폭병풍 외 메모 |
|
500011569 천황봉 지명 변경 이유에 관한 메모 |
|
500011568 한자 어휘 관련 메모 |
|
500011567 한시 금강승 관련 메모 |
|
500011566 이백의 시 월하독작(月下獨酌) 원문 외 |
|
500011565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 |
|
500011564 김집이 지은 한시 <백마강> 등을 기록한 메모 |
|
500011563 정안면석비 비문 |
|
500011562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메모 |
|
500011561 완당화제 매화병에 대하여 |
|
500011560 공주향교 문서에 대한 메모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적은 공주향교중수기 해석문 초안이다. 메모지에는 중수기의 원문을 해석한 내용을 기재하고, 수정 및 오탈자 등의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공주향교중수기는 공산지에 수록된 것으로, 1813년 충청도관찰사 원재명이 향교전체를 중수하면서 쓴 것이다.
등록번호50001158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연혁에 대한 메모이다. 1988년 3월 5일부터 시작된 웅진문화연구회의 간략한 연혁과 당면과제 등에 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8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메모로, 충청도관찰사 윤광안이 지은 공주목 견역청 절목의 본문이다. 윤여헌 교수는 절목의 원문을 줄선 메모지에 옮겨 적고, 연도를 표기하거나 한자의 뜻풀이를 메모하고, 'v'자로 띄어쓰기를 표시해 두었다. 메모의 후반부에는 해석을 함께 추기해 두었다. 한편, 견역청절목 원문은 공산지에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8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향토사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직전의 기록이 있는듯 하나, 이 메모에서는 일련번호 3번의 일부가 누락된 상태에서 본문 내용의 기재가 시작되고 있다. 기재된 메모사항은 3. 인조 파천과 관련된 전설 4. 향토문화 활동 가운데 어려운 점 5. 인절미 유래 6. 기네스 북 등재 7. 앞으로의 계획 으로 정리되었다.
등록번호50001158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무령왕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관련 메모이다. 무령왕의 출신과 왕통에 대한 사료 검증과 일본서기와의 교차 검증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김재붕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는데, 메모의 앞장에 김재붕: 무령왕과 스미다하치만궁(신사)이라고 쓰여 있다. 한편, 메모지에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에서 제작한 메모지로, 상단부에 공주시 CI가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1157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낙수(落穗)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자필메모이다. 메모의 제목으로 '낙수(落穗)'라고 쓰고, 공주의 역사문화와 관련된 사항을 기재해 두었다. 낙수란 농사지은 것을 거두어간 뒤 땅에 흘리고 쳐진 나머지 낟알 등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평소 윤여헌 교수가 생각해 왔던 바로잡아야 할 공주역사문화나 추가연구가 필요한 사항들이 아직 정리되지 못한 것들에 대한 의미를 담아 메모의…
등록번호50001157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인조파천 및 공주 역사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1624년 2월 8일부터 시작하는 인조의 공주파천 행렬경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624년 2월 8일: 명정문을 나와 기마로 남하, 양재 → 과천 → 수원→ 직산. 천안(12일) 토적 소식을 들음, 닭이 울리기 전(새벽)에 공주로 방향을 전환 2월 13일:…
등록번호50001157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견사(淸見寺)의 종소리 본문이다. 청견사는 일본에 있는 절로서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 조일 관계가 맺어지면서 통신사가 이 절에 종종 참배를 하였다고 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종소리가 나의 생각을 좇아 몇 번 울리니 아름답고나. 산과 물, 거짓 없고 시기하지 않고 미워하지 않고 다투지 않는구나, (한편) 인간은 생사의…
등록번호50001157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십곡병화제(十曲屛畵題)에 대한 메모이다. 첫번째 쪽에는 원문이 3수까지 기재되어 있으며, 두번째 쪽에서는 1수부터 9수까지 기재되어 있다. 각 원문을 기록하며, 한자의 뜻과 의미를 부기하였다.
등록번호50001157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의 해석본이다. 첫번째 쪽 말미에 기재된 '진주인 유당 정현보'를 보아 진주에서 활동하였던 근대 서예가인 정현보의 작품인 것으로 보이며, 열 수의 시가 기재된 것으로 미루어 보건대 십폭병풍의 본문을 옮겨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두번째와 세번째 쪽은 각기 본문의 해석이 기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한시는 모두 작자가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7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천황봉 지명 변경 이유에 관한 메모이다.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고지도에는 표시가 없지만 삼불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천황봉이 아닌 천왕봉으로 추정 2. 충북 속리산의 천왕봉의 명칭은 대동여지도 및 팡도군현지도 등에 기재되어 있으나 1918년에 제작된 조선총독부지도부터 천황봉으로…
등록번호50001156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자 어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재직시절 사용하였던 서류봉투로, 당시 학과의 주소와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시 금강승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 금강승의 본문이다. 실제로 알려진 본문의 글자와 다소한 차이가 있으나 대략적으로는 내용이 일치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대학교 재학시절 사용하였던 시험 답안지이다.
등록번호50001156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당나라 시인 이백의 한시 월하독작의 본문이다. 그 하단에는 한시의 간략한 연원과 한시와 관련된 일화를 기록해두었으며, 후면에는 일문으로 그와는 무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추당 박호병 묵죽도(秋堂 朴好秉 墨竹圖) 화제 원문에 대한 메모이다. 그런데 메모의 서두부분에 적힌 메모의 제목에 박호병의 이름을 박병호(朴秉豪)로, 그리고 호의 한자도 '豪'로 잘못 기입해 두었다. 메모의 원문을 적고, 일부 한자의 음과 뜻을 별도로 기입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현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김집의 한시 의 본문과 해석에 대한 메모이다. 백마강 뿐만 아니라 각 후면에는 다른 한시 부벽루와 김창수의 수북정, 최현원의 귀래정원운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6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정안면석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정안면 석비의 본문 내용이다. 기록은 다른 규격의 종이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장 모두 본문의 내용이 동일하나 각주와 메모는 다소 상이하다.
등록번호50001156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기록이다. 윤여헌 교수는 동학혁명으로 명명하였으며, 배경과 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전문은 모두 일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 CI가 적힌 메모지 2장과 A4용지 5장으로 이면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등록번호50001156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추사 김정희의 매화병 화제에 대하여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매화도의 말미의 화제에 보면 매화는 남호가 그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남호는 누구인가? 완당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기록을 검토하여 보니 남호는 영기 스님의 아호이고, 완당이 서거했던 1856년에는 봉은사의 주지였다.…
등록번호5000115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도선생안, 읍선생안 으로 구분지어 세부자료명을 함께 기재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