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463
-
- 형태분류
-
-
- 문서류 463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초혼사의 모습이다. 초혼사는 일제를 위해 죽은 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로 초혼제를 열었다. 실제로 1926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10월 21일 충남의 순직경관을 위한 초혼제를 앵산공원 초혼각에서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모노를 차려입은 사람 앞에 두 손을 모으고 차렷 자세로 주눅든 조선인 아이의 모습이… 등록번호50000810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산성정 일대의 대로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대로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과 함께 당시 산성정에 위치한 석유창고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00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시내 일원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서 일제 순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작업을 감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099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등록번호50000809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09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현재의 3.1중앙공원 유관순 동상 부근에서 내려 본 공주시가지의 풍경을 담은 파노라마엽서이다. 나무로 일부가 가려졌지만 시가지를 빼곡하게 채운 광공서와 상점, 민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충남도청 포정사와 감영길을 중심으로 왼편으로 6.25 한국전쟁으로 무너진 2층의 공주금융조합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19년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09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옛 충령탑 부근에 위치한 정수장 배수탑의 모습이다. 공주의 상수도시설은 1923년 완공되어 동년 4월 1일부터 급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수돗물을 이요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5명 중 1명 정도만 집에서 식수를 공급받았다. 정수장에서는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탁수로 인해 식수난을 격었던… 등록번호50000809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범위와내용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09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와 교사를 맞바꿔 1934년부터 1949까지 이곳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한편,… 등록번호50000809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범위와내용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 등록번호50000809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등록번호500008091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각지 실황엽서 중 공주의 실황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1914년 11월 공주 중심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공주 봉황산 아래의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잇는 욱정거리로 바뀌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으로… 등록번호500008090 생산일자1914.11.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교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교가 악보와 가사집이다. 등록번호500008089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등록번호5000078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785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853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쉽게 금강을 건널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기도 하여 나무로 가설한 목교가 설치되었다. 엽서… 등록번호50000785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시장이 들어서 성안마을이 형성되었다. 초가지붕이 켜켜이 조성된 마을의 모습이 옛 고성과 일상생활의 대비를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785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8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초혼사의 모습이다. 초혼사는 일제를 위해 죽은 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로 초혼제를 열었다. 실제로 1926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10월 21일 충남의 순직경관을 위한 초혼제를 앵산공원… |
![]() |
1911년 공주 산성정 일대의 대로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대로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과 함께 당시 산성정에 위치한 석유창고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 |
1911년 공주시내 일원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서 일제 순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작업을 감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 |
현재의 3.1중앙공원 유관순 동상 부근에서 내려 본 공주시가지의 풍경을 담은 파노라마엽서이다. 나무로 일부가 가려졌지만 시가지를 빼곡하게 채운 광공서와 상점, 민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충남도청 포정사와 감영길을 중심으로 왼편으로… |
![]() |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옛 충령탑 부근에 위치한 정수장 배수탑의 모습이다. 공주의 상수도시설은 1923년 완공되어 동년 4월 1일부터 급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수돗물을 이요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5명 중 1명…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
![]() |
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각지 실황엽서 중 공주의 실황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1914년 11월 공주 중심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공주 봉황산 아래의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
![]() |
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교가 악보와 가사집이다. |
![]() |
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
![]() |
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
![]() |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
![]() |
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
![]() |
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500008101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
|
500008100 제민천 일대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
|
500008099 제민천 일대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
|
500008098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
|
500008097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
|
500008096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
|
500008095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
|
500008094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
|
500008093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
|
500008092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
|
500008091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
|
500008090 1914년 공주시가지 사진그림엽서 |
|
500008089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교가 |
|
500007855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와 나룻배 엽서 |
|
500007854 일제강점기 공주 시가지 전경 엽서 4 |
|
500007853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
500007852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
|
50000785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
|
500007850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
|
500007849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초혼사의 모습이다. 초혼사는 일제를 위해 죽은 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로 초혼제를 열었다. 실제로 1926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10월 21일 충남의 순직경관을 위한 초혼제를 앵산공원 초혼각에서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모노를 차려입은 사람 앞에 두 손을 모으고 차렷 자세로 주눅든 조선인 아이의 모습이…
등록번호50000810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산성정 일대의 대로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대로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과 함께 당시 산성정에 위치한 석유창고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00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시내 일원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서 일제 순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작업을 감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099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등록번호50000809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09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현재의 3.1중앙공원 유관순 동상 부근에서 내려 본 공주시가지의 풍경을 담은 파노라마엽서이다. 나무로 일부가 가려졌지만 시가지를 빼곡하게 채운 광공서와 상점, 민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충남도청 포정사와 감영길을 중심으로 왼편으로 6.25 한국전쟁으로 무너진 2층의 공주금융조합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19년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09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옛 충령탑 부근에 위치한 정수장 배수탑의 모습이다. 공주의 상수도시설은 1923년 완공되어 동년 4월 1일부터 급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수돗물을 이요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5명 중 1명 정도만 집에서 식수를 공급받았다. 정수장에서는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탁수로 인해 식수난을 격었던…
등록번호50000809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범위와내용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09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와 교사를 맞바꿔 1934년부터 1949까지 이곳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한편,…
등록번호50000809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범위와내용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
등록번호50000809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등록번호500008091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각지 실황엽서 중 공주의 실황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1914년 11월 공주 중심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공주 봉황산 아래의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잇는 욱정거리로 바뀌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으로…
등록번호500008090
생산일자1914.11.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교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교가 악보와 가사집이다.
등록번호500008089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등록번호5000078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785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853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쉽게 금강을 건널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기도 하여 나무로 가설한 목교가 설치되었다. 엽서…
등록번호50000785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시장이 들어서 성안마을이 형성되었다. 초가지붕이 켜켜이 조성된 마을의 모습이 옛 고성과 일상생활의 대비를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785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8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