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3155
-
|
|
범위와내용1917년에 태어난 윤영태 선생의 유년시절 공산성에서 친구들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 5학년 때 촬영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5325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1935년 공산성을 찾은 현경섭과 오케레코드 단원 범위와내용1935년 3월 공주산성에서 찍은 오케레코드 연주단원들과 현경섭(玄景燮) 사진이다. 조선일보공주지국 후원으로 공주청년상회가 1935년 3월 9일, 10일 양일간 공주극장에서 예술가 초청 공연을 하였다. 이유선(李宥善), 김해송(金海松), 신불출(申不出), 신일선(申一仙), 이난영(李蘭影), 강남향(江南香), 나품심(羅品心), 김소군(金小君),… 등록번호200045323 생산일자1935.03.1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074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범위와내용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공주우편국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다리를 타고 전봇대에 오른 2명의 관인 모습과 우편국 입구 앞 2명의 꼬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9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39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739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1921년 10월 3층 양옥 벽돌 구조의 공주영명남학교를 건축했다. 미국에서 보내온 50,000원(약 25,000달러)으로… 등록번호500007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
|
1917년에 태어난 윤영태 선생의 유년시절 공산성에서 친구들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 5학년 때 촬영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
|
|
1935년 3월 공주산성에서 찍은 오케레코드 연주단원들과 현경섭(玄景燮) 사진이다. 조선일보공주지국 후원으로 공주청년상회가 1935년 3월 9일, 10일 양일간 공주극장에서 예술가 초청 공연을 하였다. 이유선(李宥善),… |
|
|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
|
|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
|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
|
|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
|
|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
|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
|
|
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
|
|
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
|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
|
|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
|
|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
|
|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
|
|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
|
|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
|
|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
|
|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
|
200045325 공주고등보통학교 5학년 재학 중 공산성에서(1) |
|
|
200045323 1935년 공산성을 찾은 현경섭과 오케레코드 단원 |
|
|
500007466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
|
|
50000746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
500007464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
|
500007463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
|
5000074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
|
500007461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
|
500007460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
|
500007459 선산계약 송사자료 |
|
|
500007458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
|
500007448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
|
500007447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
|
500007402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
|
|
500007401 공주우편국 |
|
|
500007400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
|
|
500007399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
|
|
500007396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
|
|
500007395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
|
|
500007394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
범위와내용1917년에 태어난 윤영태 선생의 유년시절 공산성에서 친구들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 5학년 때 촬영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5325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1935년 공산성을 찾은 현경섭과 오케레코드 단원
범위와내용1935년 3월 공주산성에서 찍은 오케레코드 연주단원들과 현경섭(玄景燮) 사진이다. 조선일보공주지국 후원으로 공주청년상회가 1935년 3월 9일, 10일 양일간 공주극장에서 예술가 초청 공연을 하였다. 이유선(李宥善), 김해송(金海松), 신불출(申不出), 신일선(申一仙), 이난영(李蘭影), 강남향(江南香), 나품심(羅品心), 김소군(金小君),…
등록번호200045323
생산일자1935.03.1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074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범위와내용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공주우편국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다리를 타고 전봇대에 오른 2명의 관인 모습과 우편국 입구 앞 2명의 꼬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9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39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739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1921년 10월 3층 양옥 벽돌 구조의 공주영명남학교를 건축했다. 미국에서 보내온 50,000원(약 25,000달러)으로…
등록번호500007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