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현대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

제목|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이다. 메모에 따르면 웅진당은 웅주의 고을 서쪽으로 삼리 솔밭 사이에 있는 나루터 언덕에 있었다고 하며, 그곳에서 곰나루 당제를 지내었다고 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A4이면지로, 뒷면에는 '금강시대' 신문 창간 사업계획서 요약문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충청)감영고에 관한 메모

제목| 공주(충청)감영고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충청)감영고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공주개영시기와 공주감영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글파일로 작성되기 전에 자필로 먼저 작성된 것이다. 후면에는 백제시대의 웅진과 인조대의 파천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

제목|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이다. 각 기록은 세 개의 명문으로 강희 2년(1663), 순치 8년(1651), 가경 15년(1810)의 전답 관련 사항을 담고 있다. 하단에 부기된 메모를 보았을 때 대천의 법률사무소에서 해석을 의뢰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래의 원문은 이두로 작성된 소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기록에서도…

등록번호|50001152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메모

제목|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기록이다. 동우수집은 공주갑부 김갑순의 회갑기념문집으로 각계 인사로부터 회갑축하문을 받아 옮긴 것이다. 메모의 상단에는 쇼와 7년(1932년) 정보가 기재되었고, 그 아래에는 동우수집 권하의 7언 절구 시 한 수가 적혀있다. 한편, 메모의 하단에는 기증품목의 명렬이 기재되어 있다. 뒷면에는 윤여헌 교수가…

등록번호|50001152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시 및 어휘 관련 메모

제목| 한시 및 어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의 해석과 한자 및 어휘 관련 메모이다.

등록번호|50001151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자, 어휘 및 수령칠사에 대한 메모

제목| 한자, 어휘 및 수령칠사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향토사 연구 목적으로 메모해둔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뒷면에는 반계수록의 권9 발췌 본문과 수령칠사의 각조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

제목|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이다. 위성공신, 익사공신, 정운공신, 형난공신까지 각 공신록에 책록된 대표 수공자들과 인원이 기재되어 있으며 개요가 약술되어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덕형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약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등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등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관련 메모이다. 좌측에는 금강과 웅진의 지명 어원에 대한 메모가 고구려 남진정책과 함께 적혀있으며, 그 하단에는 취리산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가 적혀있다. 우측에는 무령왕 묘지석의 원문과 일어 번역문이 기재되어 있다. 뒷면에는 성왕 시기의 양 무제로부터의 책봉과, 대통사 관련한 간략한 기록 또한…

등록번호|50001151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강화도의 역사와 정보에 대한 메모

제목| 강화도의 역사와 정보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강화도 역사개관 및 지역정보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강화도, 크고 작은 15개의 섬, 1개의 읍과 12개의 면 낙조봉(300m), 혈구산(466m), 별립산(400m) 진강산(443m) 마니산(468m) 고려 고종 19년(1232년)~46년(1259년) 28년간 몽고 침입으로 왕의 피난 / 대장경,…

등록번호|50001151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왜 무왕의 상표문에 대한 메모

제목| 왜 무왕의 상표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원문이다. 메모에 따르면 본문은 송나라 순제 승명 2년(478년)에 지어진 것으로 확인되며, 왜 무왕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송나라 순제에게 조공하며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글인데, 문장 말미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자신을 사지절도독 및 왜, 신라, 임나, 가라, 진한, 모한 육국제군사 안동대장군으로 호칭하였다.

등록번호|50001151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에 관한 메모

제목|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 관련사항을 메모한 것이다. 특히 택리지의 경우 '금강가에 있는 사송정, 금벽정, 독락정이 있는데, 사송은 사송정은 우리 집의 정자이고(四松卽吾家), 금벽정은 조상서의 정자(金碧爲趙尙書庄) 이며, 독락정은 임씨의 옛정자이다'라는 구절을 메모하며, 금강변 누정에 대한 자료로서 메모한…

등록번호|50001151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국근현대 역사 관련 메모

제목| 한국근현대 역사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국근현대사 관련 메모이다. 1876년 병자수호조약부터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농민전쟁, 한일의정서, 한일병합조약 등의 중요사건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나당연합군 관련 메모

제목| 나당연합군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나당 연합군 시기의 역사 관련 메모이다. 660년 7월의 부여 함락부터 시작하여 663년 7천 병사 파견과 당군 장수 설인귀의 웅진 도착까지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성덕태자(쇼토쿠태자) 관련 메모

제목| 성덕태자(쇼토쿠태자)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일본 쇼토쿠 태자 관련 메모이다. 쇼토쿠태자의 생몰년 등 이력이 기재되었고, 이 외에 고대 일본의 율령 체제 확립과 중국풍의 법제 도입과 관련한 개략적인 역사가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시 관련 메모

제목| 한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 관련 메모이다. '타임' 잡지의 발송용 우편봉투 위에 작성되었다. 메모는 양면에 작성되었는데, 전면에는 후한말의 유길준의 저작 시가, 후면에는 청나라 관료 이홍장(후면)의 저작시를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1150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관련 메모

제목|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운영자문회의 관련 기록이다. 운영자문회의의 발족 일자(2009.1.13 9명)와 공주와 박물관의 기획 전시 일정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하단에는 양기훈과 최석환, 신위와 이광사 등 조선 후기, 말기 학자들의 명단과 생몰년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메모의 내용과 윤여헌 교수의…

등록번호|50001150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 등에 대한 메모

제목|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 등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관련한 역사 문화 콘텐츠 기록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로 수원사지, 향득, 대덕사, 제나회맹을 기재하고, 인조 파천이 남긴 것, 공주진우영, 봉황산, 계룡산, 용산구곡과 갑사구곡, 동학난 전적지, 김옥균 생가와 같은 내용이 메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0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수령칠사(守令七事)

제목| 수령칠사(守令七事)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의 수령들의 의무를 일곱가지로 요약한 '수령칠사(守令七事)'다. 수령칠사가 명문화된 경국대전에서 제시한 순서와는 일부 다르나 기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農桑盛(농사는 융성하게) 2. 學校興(유교를 흥하게) 3. 詞訟簡(소송을 간명하게) 4. 奸猾息(간사함을 없애고) 5. 軍政修(군기를 정비하고) 6. 戶口增(백성이…

등록번호|50001150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유동전(遊東田)

제목| 유동전(遊東田)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공주시에서 제작한 메모지에 자필로 옮겨적은 위진남북조 사람 사현위의 한시이며 제목은 유동전(遊東田, 동쪽 정원에서 노닐다)이다. 하단에는 연필로 인전 신덕성이라는 인물의 간략한 정보를 기술하였다. 한국 서예가인 신덕성이 본문의 한시를 휘호한 작품을 보고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戚戚苦無悰: 근심으로…

등록번호|50001150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대련(對聯) 관련 메모

제목| 대련(對聯)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나라 사람 막우지(莫友芝)의 대련구이다. 본문은 4자 운율로 4구씩 두 수로 총 32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원문과 해석이 모두 알려져 있지 않다. 첫번째 대련시에서는 글자 하나를 오기한 것으로 보이며, 두번째 대련시에서는 글자 둘을 확정하지 못하였으므로 원문을 추정하기 어렵다. 추정이 가능한 첫번째 대련시의 구절과 해석은…

등록번호|50001150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현대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이다. 메모에 따르면 웅진당은 웅주의 고을 서쪽으로 삼리 솔밭 사이에 있는 나루터 언덕에 있었다고 하며, 그곳에서 곰나루 당제를 지내었다고 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공주(충청)감영고에 관한 메모

공주(충청)감영고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충청)감영고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공주개영시기와 공주감영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글파일로 작성되기 전에 자필로 먼저 작성된 것이다. 후면에는 백제시대의 웅진과 인조대의 파천에…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이다. 각 기록은 세 개의 명문으로 강희 2년(1663), 순치 8년(1651), 가경 15년(1810)의 전답 관련 사항을 담고 있다. 하단에 부기된 메모를 보았을 때…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메모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기록이다. 동우수집은 공주갑부 김갑순의 회갑기념문집으로 각계 인사로부터 회갑축하문을 받아 옮긴 것이다. 메모의 상단에는 쇼와 7년(1932년) 정보가 기재되었고, 그 아래에는…
한시 및 어휘 관련 메모

한시 및 어휘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의 해석과 한자 및 어휘 관련 메모이다.
한자, 어휘 및 수령칠사에 대한 메모

한자, 어휘 및 수령칠사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향토사 연구 목적으로 메모해둔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뒷면에는 반계수록의 권9 발췌 본문과 수령칠사의 각조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이다. 위성공신, 익사공신, 정운공신, 형난공신까지 각 공신록에 책록된 대표 수공자들과 인원이 기재되어 있으며 개요가 약술되어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덕형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등에 대한 메모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등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관련 메모이다. 좌측에는 금강과 웅진의 지명 어원에 대한 메모가 고구려 남진정책과 함께 적혀있으며, 그 하단에는 취리산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가 적혀있다. 우측에는 무령왕…
강화도의 역사와 정보에 대한 메모

강화도의 역사와 정보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강화도 역사개관 및 지역정보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강화도, 크고 작은 15개의 섬, 1개의 읍과 12개의 면 낙조봉(300m), 혈구산(466m), 별립산(400m)…
왜 무왕의 상표문에 대한 메모

왜 무왕의 상표문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원문이다. 메모에 따르면 본문은 송나라 순제 승명 2년(478년)에 지어진 것으로 확인되며, 왜 무왕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송나라 순제에게 조공하며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글인데, 문장 말미에서 보이는…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에 관한 메모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 관련사항을 메모한 것이다. 특히 택리지의 경우 '금강가에 있는 사송정, 금벽정, 독락정이 있는데, 사송은 사송정은 우리 집의 정자이고(四松卽吾家), 금벽정은…
한국근현대 역사 관련 메모

한국근현대 역사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국근현대사 관련 메모이다. 1876년 병자수호조약부터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농민전쟁, 한일의정서, 한일병합조약 등의 중요사건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나당연합군 관련 메모

나당연합군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나당 연합군 시기의 역사 관련 메모이다. 660년 7월의 부여 함락부터 시작하여 663년 7천 병사 파견과 당군 장수 설인귀의 웅진 도착까지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성덕태자(쇼토쿠태자) 관련 메모

성덕태자(쇼토쿠태자)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일본 쇼토쿠 태자 관련 메모이다. 쇼토쿠태자의 생몰년 등 이력이 기재되었고, 이 외에 고대 일본의 율령 체제 확립과 중국풍의 법제 도입과 관련한 개략적인 역사가 기재되어 있다.
한시 관련 메모

한시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 관련 메모이다. '타임' 잡지의 발송용 우편봉투 위에 작성되었다. 메모는 양면에 작성되었는데, 전면에는 후한말의 유길준의 저작 시가, 후면에는 청나라 관료 이홍장(후면)의 저작시를 옮겨 적은 것으로…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관련 메모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운영자문회의 관련 기록이다. 운영자문회의의 발족 일자(2009.1.13 9명)와 공주와 박물관의 기획 전시 일정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하단에는 양기훈과 최석환, 신위와 이광사 등…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 등에 대한 메모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 등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관련한 역사 문화 콘텐츠 기록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로 수원사지, 향득, 대덕사, 제나회맹을 기재하고, 인조 파천이 남긴 것, 공주진우영, 봉황산, 계룡산, 용산구곡과 갑사구곡,…
수령칠사(守令七事)

수령칠사(守令七事)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의 수령들의 의무를 일곱가지로 요약한 '수령칠사(守令七事)'다. 수령칠사가 명문화된 경국대전에서 제시한 순서와는 일부 다르나 기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農桑盛(농사는 융성하게) 2.…
유동전(遊東田)

유동전(遊東田)

윤여헌 교수가 공주시에서 제작한 메모지에 자필로 옮겨적은 위진남북조 사람 사현위의 한시이며 제목은 유동전(遊東田, 동쪽 정원에서 노닐다)이다. 하단에는 연필로 인전 신덕성이라는 인물의 간략한 정보를 기술하였다. 한국 서예가인 신덕성이…
대련(對聯) 관련 메모

대련(對聯)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나라 사람 막우지(莫友芝)의 대련구이다. 본문은 4자 운율로 4구씩 두 수로 총 32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원문과 해석이 모두 알려져 있지 않다. 첫번째 대련시에서는 글자 하나를 오기한 것으로 보이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현대

제목|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당기(熊津堂記) 필사본이다. 메모에 따르면 웅진당은 웅주의 고을 서쪽으로 삼리 솔밭 사이에 있는 나루터 언덕에 있었다고 하며, 그곳에서 곰나루 당제를 지내었다고 한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한 종이는 A4이면지로, 뒷면에는 '금강시대' 신문 창간 사업계획서 요약문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충청)감영고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충청)감영고 관련 메모이다. 전면에는 공주개영시기와 공주감영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글파일로 작성되기 전에 자필로 먼저 작성된 것이다. 후면에는 백제시대의 웅진과 인조대의 파천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전답 관련 명문(明文) 해석 메모이다. 각 기록은 세 개의 명문으로 강희 2년(1663), 순치 8년(1651), 가경 15년(1810)의 전답 관련 사항을 담고 있다. 하단에 부기된 메모를 보았을 때 대천의 법률사무소에서 해석을 의뢰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래의 원문은 이두로 작성된 소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기록에서도…

등록번호|50001152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동우수집(東尤壽集) 관련 기록이다. 동우수집은 공주갑부 김갑순의 회갑기념문집으로 각계 인사로부터 회갑축하문을 받아 옮긴 것이다. 메모의 상단에는 쇼와 7년(1932년) 정보가 기재되었고, 그 아래에는 동우수집 권하의 7언 절구 시 한 수가 적혀있다. 한편, 메모의 하단에는 기증품목의 명렬이 기재되어 있다. 뒷면에는 윤여헌 교수가…

등록번호|50001152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시 및 어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의 해석과 한자 및 어휘 관련 메모이다.

등록번호|50001151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자, 어휘 및 수령칠사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향토사 연구 목적으로 메모해둔 한자, 어휘 관련 메모이다. 뒷면에는 반계수록의 권9 발췌 본문과 수령칠사의 각조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이다. 위성공신, 익사공신, 정운공신, 형난공신까지 각 공신록에 책록된 대표 수공자들과 인원이 기재되어 있으며 개요가 약술되어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덕형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약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등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어원 및 무령왕 묘지석 관련 메모이다. 좌측에는 금강과 웅진의 지명 어원에 대한 메모가 고구려 남진정책과 함께 적혀있으며, 그 하단에는 취리산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가 적혀있다. 우측에는 무령왕 묘지석의 원문과 일어 번역문이 기재되어 있다. 뒷면에는 성왕 시기의 양 무제로부터의 책봉과, 대통사 관련한 간략한 기록 또한…

등록번호|50001151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강화도의 역사와 정보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강화도 역사개관 및 지역정보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강화도, 크고 작은 15개의 섬, 1개의 읍과 12개의 면 낙조봉(300m), 혈구산(466m), 별립산(400m) 진강산(443m) 마니산(468m) 고려 고종 19년(1232년)~46년(1259년) 28년간 몽고 침입으로 왕의 피난 / 대장경,…

등록번호|50001151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왜 무왕의 상표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원문이다. 메모에 따르면 본문은 송나라 순제 승명 2년(478년)에 지어진 것으로 확인되며, 왜 무왕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송나라 순제에게 조공하며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글인데, 문장 말미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자신을 사지절도독 및 왜, 신라, 임나, 가라, 진한, 모한 육국제군사 안동대장군으로 호칭하였다.

등록번호|50001151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금행일기(錦行日記)와 택리지(擇里誌) 관련사항을 메모한 것이다. 특히 택리지의 경우 '금강가에 있는 사송정, 금벽정, 독락정이 있는데, 사송은 사송정은 우리 집의 정자이고(四松卽吾家), 금벽정은 조상서의 정자(金碧爲趙尙書庄) 이며, 독락정은 임씨의 옛정자이다'라는 구절을 메모하며, 금강변 누정에 대한 자료로서 메모한…

등록번호|50001151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국근현대 역사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국근현대사 관련 메모이다. 1876년 병자수호조약부터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농민전쟁, 한일의정서, 한일병합조약 등의 중요사건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나당연합군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나당 연합군 시기의 역사 관련 메모이다. 660년 7월의 부여 함락부터 시작하여 663년 7천 병사 파견과 당군 장수 설인귀의 웅진 도착까지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성덕태자(쇼토쿠태자)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일본 쇼토쿠 태자 관련 메모이다. 쇼토쿠태자의 생몰년 등 이력이 기재되었고, 이 외에 고대 일본의 율령 체제 확립과 중국풍의 법제 도입과 관련한 개략적인 역사가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1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한시 관련 메모이다. '타임' 잡지의 발송용 우편봉투 위에 작성되었다. 메모는 양면에 작성되었는데, 전면에는 후한말의 유길준의 저작 시가, 후면에는 청나라 관료 이홍장(후면)의 저작시를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1150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회의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운영자문회의 관련 기록이다. 운영자문회의의 발족 일자(2009.1.13 9명)와 공주와 박물관의 기획 전시 일정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하단에는 양기훈과 최석환, 신위와 이광사 등 조선 후기, 말기 학자들의 명단과 생몰년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메모의 내용과 윤여헌 교수의…

등록번호|50001150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 등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관련한 역사 문화 콘텐츠 기록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공주로 수원사지, 향득, 대덕사, 제나회맹을 기재하고, 인조 파천이 남긴 것, 공주진우영, 봉황산, 계룡산, 용산구곡과 갑사구곡, 동학난 전적지, 김옥균 생가와 같은 내용이 메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0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수령칠사(守令七事)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의 수령들의 의무를 일곱가지로 요약한 '수령칠사(守令七事)'다. 수령칠사가 명문화된 경국대전에서 제시한 순서와는 일부 다르나 기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農桑盛(농사는 융성하게) 2. 學校興(유교를 흥하게) 3. 詞訟簡(소송을 간명하게) 4. 奸猾息(간사함을 없애고) 5. 軍政修(군기를 정비하고) 6. 戶口增(백성이…

등록번호|50001150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동전(遊東田)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공주시에서 제작한 메모지에 자필로 옮겨적은 위진남북조 사람 사현위의 한시이며 제목은 유동전(遊東田, 동쪽 정원에서 노닐다)이다. 하단에는 연필로 인전 신덕성이라는 인물의 간략한 정보를 기술하였다. 한국 서예가인 신덕성이 본문의 한시를 휘호한 작품을 보고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戚戚苦無悰: 근심으로…

등록번호|50001150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대련(對聯)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청나라 사람 막우지(莫友芝)의 대련구이다. 본문은 4자 운율로 4구씩 두 수로 총 32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원문과 해석이 모두 알려져 있지 않다. 첫번째 대련시에서는 글자 하나를 오기한 것으로 보이며, 두번째 대련시에서는 글자 둘을 확정하지 못하였으므로 원문을 추정하기 어렵다. 추정이 가능한 첫번째 대련시의 구절과 해석은…

등록번호|50001150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