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계룡산 굿당연구

    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1. '산악'으로서의 계룡산 =…

  • 공주지방의 민속신앙

    목차
    Ⅰ. 地理的・歷史的 背景 =31,32,6
    Ⅱ. 家祀 信仰 =37,38,3
    1. 家祀現況 =39,40,1
    2. 主要 經文 =40,41,1
    (1) 太乙保身經 =40,41,2
    (2) 不淨經 =41,42,1
    (3) 祝願文 =41,42,3
    (4) 六十甲子解怨經…

  • 굿과 민간신앙 - 굿당 내부의 모습

    우리나라 무속에는 불교의 미륵신앙이 합성된 성향을 보인다. 사진 속 굿당도 머리에 갓을 쓴 미륵불을 모신 것이 특징이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 조성 1

    우리나라에서 굿은 '미신'으로 천시받았다. 그럼에도 수 천 년을 이어온 민간신앙은 음지에서 이어졌다. 1975년과 1983년 두 차례의 계룡산 미신타파 정화작업으로 주춤하기도 했으나 전통문화의 활성화가 무속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1990년대 중반 계룡산 주변에는 이름없는…

  • 굿과 민간신앙 - 굿당 조성 2

    우리나라에서 굿은 '미신'으로 천시받았다. 그럼에도 수 천 년을 이어온 민간신앙은 음지에서 이어졌다. 1975년과 1983년 두 차례의 계룡산 미신타파 정화작업으로 주춤하기도 했으나 전통문화의 활성화가 무속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1990년대 중반 계룡산 주변에는 이름없는…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대수대명

    삼태동 굿당의 오방천과 대수대명이다. 대수대명에 몸이 아픈 사람의 이름을 적은 후 삼베천으로 싸서 오방천과 함께 나무에 매달아 놓으면 환자의 병이 나아 장수한다고 믿는 뜻을 지녔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산신령

    계룡산의 굿당 한켠에 모셔진 산신령의 모습이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산왕신

    계룡산 양화리와 하대리 등에는 수많은 굿당이 밀집해있다. 1975년과 1982년 두 차례의 정비작업으로 많은 수의 신흥종교 집단이 퇴출되었다. 그 후 1990년대 후반, 계룡산에는 서서히 상업적 성격의 굿당이 들어서 한 집 건너 굿당이 들어서 성업 중이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오방색 풍경

    굿당에는 오방색의 천을 두른 모습을 종종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것으로 우리 선조들은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색과 동물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굿을 시작하기 전 다섯 방위의 신들에게 굿을 진행하니 잘 받아달라는 뜻으로 오방신에게 신고하는 의미를…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용궁

    굿당은 대체로 큰 바위를 뒤에 두고 짓는다. 바위 사이로 흐르는 암각수를 용수라고 칭하며, 그곳을 용궁으로 일컫는다. 본 사진은 계룡산 양화리 계룡정사 용궁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