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굿과 민간신앙 - 길가로 내려 온 부처

    굿당이 늘어나면서 길 가 큰 바위 사이에도 부처를 모셨다.

  • 굿과 민간신앙 - 망자 한풀이 천

    굿에서 망자가 생전에 맺힌 한을 풀어주는 흰 천이다. 나비모양으로 곱게 접었다가 무당이 천을 흔들어 한을 풀어준다. 굿이 끝나면 속옷과 양말을 함께 태워 액을 멀리 보낸다.

  • 굿과 민간신앙 - 박수무당

    계룡산 주변 굿당에서 굿의 시작에 앞서 촬영한 박수무당의 모습이다. 뒷 배경의 모습은 종이를 오려 악귀를 물리치는 설위설경의 모습이다.

  • 굿과 민간신앙 - 밤나무 굿당의 굿 1

    계룡산 아래 양화리 밤나무 굿당에서 굿을 진행하는 장면이다. 통돼지를 제물로 올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속 밤나무 굿당은 신원사 가는 길에서 산속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이 부근에는 밤나무 굿당 외에도 수많은 굿당이 존재한다.

  • 굿과 민간신앙 - 밤나무 굿당의 굿 2

    계룡산 아래 양화리 밤나무 굿당에서 굿을 진행하는 장면이다. 통돼지를 제물로 올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통돼지의 주둥이에는 돌이 물려져있고, 징을 치는 무속인과 쉼 없이 절을 올리는 여인에게서 한을 풀고자하는 간절함을 엿 볼 수 있다.

  • 굿과 민간신앙 - 백제청풍 비석

    신식 굿당에 비석을 설립한 모습이다. 비석의 머리에는 '백제청풍'이라는 글귀를 새겼다.

  • 굿과 민간신앙 - 백호기

    오방기 중 서쪽의 백호 그림이다.

  • 굿과 민간신앙 - 복을 기원하는 돌탑

    굿당에 세운 돌탑으로 꼭대기에는 '福'을 새기고 칠을 했다.

  • 굿과 민간신앙 - 산신령과 호랑이

    굿당은 대체로 큰 바위 밑에 설치한다. 그 이유는 큰 바위에도 신기가 있어 산신령을 모시기에 적당하다고 일컬어지기 때문이다. 산신령과 호랑이는 같이 모시는데 호랑이를 산신으로 모시는 풍습에 연유한다.

  • 굿과 민간신앙 - 설위설경 1

    악귀를 물리치기 위한 설위설경의 모습으로 이는 충청도 굿의 특징을 보여준다.

  • 굿과 민간신앙 - 설위설경 2

    굿에 사용하는 설위설경은 악귀를 물리치는 전법이다.

  • 굿과 민간신앙 - 실내 제물상

    정석으로 차린 실내 제물상의 모습 중 하나로 야외 제물상보다 가짓수도 많고 떡과 전, 과자 등을 더 채운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