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공주시 25,000분의 1지도 일부분이다. 동학농민운동과 관련해 방축골, 우금고개 등이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1. 99년 사업실적 분석개요 / 2. 총괄부문별 사업실적통계표 / 3. 문화교육사업 / 4. 도서관사업 / 5. 시청각교육사업 / 6. 원사시설대외 활용실적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금년도 역점방향, 문화체육부 지정 전통 문화행사 종목, 행사종목 분류, 행사집행 조직구성 및 행사일정, 예산서, 행사 추진계획 일정표, 행사별 집행책임자 명단, 대외 혐조 요망사항, 연혁, 연도별 비교 평가분석, 삼대문화제 비교 평가분석
1961년 공주 계룡면 주민에게 발행된 조선일보 7월분 정기구독권에 대한 영수증이다. 영수증에 의하면 구독료 육백환이 청구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2001년 11월 2일 일본어 공부회를 다시 하게 되어서 반갑고 감사하다는 내용이 담긴 인사말이다.
1953년 공주경찰서 어린이학교에서 발행한 수료증이다. 수료증에 의하면, 1953년 8월 5일부터 4일간 실시한 학업을 수료하여 이를 증명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증서를 수여한 것은 공주경찰서 총장의 명의이다.
서류1 : 회의안내(종합발전계획을 위한 세미나 개최에 대한 토의, "공주대학 소식"지 발행계획 보고 및 토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쇼와 8년(1933년)에 작성된 공주시민 이준하, 이수준, 윤명재 3인에 대한 판결문이다. 주문과 공소 이유서 등 관련 서류가 포함되어 있다.
명함(2)
1980년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발행한 교사 표창장으로, 우성중학교에 근무하는 오재봉 씨에게 수여하였다. 무궁화, 은행나무 전시회 기술분야에서 풍부한 창의성과 왕성한 연구의욕을 발휘한 '국화만발'이라는 작품을 출품하여 입상하였기 때문에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원암 산신각에 소장된 '산신각중창기'에 관한 것이다.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신입생 모집을 위한 공고 중 실제 재학생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학교 홍보용지이다. 자료에는 학교의 위치와 건물이 소개되고 있으며, 학교가 소재한 공주에 대한 소개도 함께 담겨있다.
공주문화원 후원으로 진행된 무료요리강습회의 안내문이다. 가을요리 제조법과 각종 반찬 조리법 등을 교육했다.
백제문화제집행위원장 전준기가 백제문화제집행위원 전원에게 보내는 회의소집공문, 백제문화제를 백제문화재로 기재
제53회 백제문화제 행사 기간중 진행된 『어려운 이웃돕기 먹거리 장터』 운영 보조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신탄비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탄비는 땔나무와 숯의 구입에 지출되는 일종의 연료비용으로 일금 일만원을 영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