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11년 일제는 신무일완 탄신기념으로 공주 곳곳에 대대적인 식목행사를 진행했다. 본 엽서는 현 금학동 경찰서 부근으로 추정된다. 엽서 상단에는 공주에 거주하는 내지인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자필이 남아있다. 자필에 의하면 엽서에 나온 마을에 본인이 거주하며, 근처에…
1973~1988년 공주문화원에 방문한 이들이 제각기의 감회를 적어놓은 방명록이다. 대만문화원 관계자와 정석모 국회의원, 서울신문 기자 등의 글귀를 확인할 수 있다.
2001년 2월 7일에 충남발전연구원에서 작성한 공주시 관련한 보고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제1장 일반현황
제2장 역사문화자원의 현황
제3장 역사문화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1996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공주목사 송흥주가 쓴 원문과 해석본이 수록되어 있다. 뒷 부분에는 공주산성 쌍수정기적비문의 원문과 해석본, 쌍수정 주필사적비 추기, 송흥주의 이력정보 개관 이외에 군산에 있는 애국지사 춘고 이인식이 동상비문도 수록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제9도시대왕에 관한 것이다.
1962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서로, 수업료 및 사친회비 일금 이천팔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 도수입원의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1,2월에 걸친 제1기분의 수업료 일금 1,000환과 1,2월에 걸친 제4기분의 사친회비 일금 1,800환이…
김흥남이 일본 정하당소장 허구서필 서선을 다루면서 허구서의 국적문제에 대해 적은 문서다.
1965.11.11, 공주문화원과 공주중학교가 공동으로 주최하여 공주사범대학 강당에서 진행된 이성종 독창회의 안내장이다. 공주중학교에 재직 중이던 이성종 선생의 높은 음악실력을 바탕으로 1차례의 휴식 후 총 14곡 정도를 연주했다.
기증자가 이어령 박사 인터뷰를 발췌한 것이다.
어떤 일을 통해서 한일의 차이를 느꼈습니까?,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한류'란? 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적혀있다.
1962.11.09, 공주문화원 주최로 다방 왕궁에서 진행한 제87회 음악감상회에 관한 안내문이다. 당시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과 차이코프스키의 '1812' 등이 연주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본 자료는 해당 청사 건축과정에서 발행한 공사비 중 미지불 공사금에 대한 지불계획서이다.
공주에 사는 전주이씨 덕천군파 후 참판공파 후손들이 사용하였던 승경도이다.
1964년 한글날을 맞이하여 진행할 제3회 한글백일장 및 제4회 서도경서대회 개최 안내 공문이다. 백일장은 공주박물관 정원에서 개최될 예정이고, 서도경서대회는 중동초등학교 강당에서 진행한다고 명시했다.
장학사인 기증자를 초등학교 교장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임용기간이 기재되어 있고 하단에 대통령 직인이 찍혀있다.
졸업증명서 : 제4027호 숭문중학교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중아함경'에 관한 것이다.
1973.06.24 진행된 제2회 공주문화원 아마추어 바둑대회의 참가신청서 양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