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조선 효자 이건두의 비석이다. 본 자료는 해당 비석 전면의 모습이다.
사곡면 운암리에 위치한 태화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공주군농촌지도소 이인지소 주최의 '겨울영농교육의 날' 행가사 이인면 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에서 관악대가 중동사거리에서 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8.15 광복절 행사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당시 공주고등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된 광복절 행사는 공주 관내 학교와 단체, 시민이 모두 참석한 공주 전체의 행사로 치뤄졌다.
1995년 4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컴퓨터 수업 사진으로, 학생들이 컴퓨터 화면에 열중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관골의 변화⑭ 건너편에 보이는 것들도 철거 대상이다.
자연보호운동의 일환으로 대통사지 주변환경의 정리를 진행하고 있다. 이인면,탄천면,계룡면,반포면 4-H 연합회가 참여하였다.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국사당 전경이다. 국사당은 자장율사, 지눌, 범일, 도선 같은 고승들의 영정을 모셔둔 곳이다.
현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 부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1707년 충청감영이 자리 잡은 이후로 1932년 대전으로 도청이 이전될 때까지 충청남도를 아우르는 광역의 도청역할을 하였다.
1961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교내 신교사에서 시가지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81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교내 반공그리기대회에서 상을 받은 작품들이 교내에 전시되어, 학생들이 관람하고 있는 모습이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2019년 7월 초순 금강교 남단의 모습을 현재기록화 한 것이다.
1971년 무령왕릉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금제과대이다.
금강교 부근에서 무성한 잡초를 베어내는 제초작 모습이다.
1960년대 초중엽 공산성 내 공북루의 모습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첫째날 양화1리 회관 건립식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