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28건 산제당
목차
1. 마을 개관
2. 공주 교동 산신제
①산제당의 형태와 시기
②산제당의 산신탱화와 유래
③산신제 제의 절차
④교동 산신제 축문
3. 태봉 구일제
4. 농기의 유래
5. 어사 박문수 깃발
6. 박문수 깃발, 충남역사박물관에 기증
목차
1. 세동리 산신각 산신도의 관심
2. 세동리 가는 길
3. 세동리와의 인연
4. 구경도 못한 산신제
5. 공주 세동리 상세동 산신도
(1) 산신도의 제작
(2) 산신도의 내용
(3) 산신도의 의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산성 산성마을에 있던 산제당으로 금줄을 둘러 잡인의 출입을 금하였다.
교동초등학교 옆 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기증자와 친구의 모습이다. '웅진 산제당 전설'이 얽힌 곳으로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산신령과 관련된 내용이다.
교동초등학교 옆 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기증자와 친구의 모습이다. '웅진 산제당 전설'이 얽힌 곳으로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산신령과 관련된 내용이다.
교동초등학교 옆 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기증자와 친구의 모습이다. '웅진 산제당 전설'이 얽힌 곳으로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산신령과 관련된 내용이다.
2000년대 초까지 계룡산 곳곳에는 무속인이 산제당을 설치해 놓고 있었다. 현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무분별한 무속행위를 단속하여 사진과 같은 산제당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다.
2004년 14월 공주시 사곡면 회학리 산제당의 모습이다.
여자 제주 여추하(56)씨와 시어머니(뒤). 진주 강씨 시조인 강감찬 장군의 영정이 벽에 걸려 있는 모습이 보인다.
마지막 산제를 지내고 제주인 강석순(69· 대동계 회장)씨 집에서 음복하는 주민들. 김태헌(52), 성열상(29), 김종윤(55), 최길남(68· 대동계 총무), 김동찬(78)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