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1. 기본운영계획개요-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도표, 본원 이사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연혁, 본원 시설 현황, 탑의 노래(원가),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83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금년도…
1989년 5월 4일 공주문화원에서 열린 공주 고당 원로 간담회 모습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5_06_13_v0003_0690
신문사 기자를 지낸 송형섭이 수집한 1970년 생활상이 담긴 슬라이드 필름이다.
1960년대 상서국민학교 졸업식에서 남학생들과 선생님이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공주 충현서원 본당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금학국민학교에서는 1975년 제1회 상설새마을교실을 개강하여 멸공, 반공 및 새마을운동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새마을교실에서 어머니들의 합창 모습이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⑩ 저기 집이 보이는 곳이 옛날에 배가 다니던 나룻터이다. 곰나루와 연결된 곳이다.
1968.11.16~17 양일간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제1회 아마추어 바둑대회를 알려주는 중도일보 11/20 신문기사이다.
1974년 공주사범대학 화학교육과 졸업생의 모습이다. 사진 뒷편으로 보이는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앞 길의 상점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관국민학교 교사 곽호영이 교무 관련 사항 및 학생 지도 상황을 기록한 수첩
공주새마을운동 - 농민훈련 동력이앙기반 교육(13)
옛 공주문화원 청사 1층 복도 모습이다.
공주시 계룡면 영규대사로 459에 위치한 계룡초등학교의 81회 졸업앨범이다. 계룡초등학교는 1919년 3월 12일에 계룡보통공립학교로 인가를 받아, 그 해 6월 17일 갑사 진해당에서 개교하였으며 11월에 현 장소로 학교를 이전하였다. 교육령에 의해 1941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