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가장행렬의 모습이다. 사진 속 거리는 지금의 농협은행 공주시지부(중동 180번지) 앞 웅진로이며, 작은사거리 쪽으로 행진하고 있는 모습이다.
1997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신문방송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필름사진 스캔본이다. 2000년대 초반 사범대 교육주간 행사 현수막을 촬영한 사진이다.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충청남도 교육청 교육감인 강복환 교육감이 모교인 공주고등학교를 방문했을 당시를 촬영하였다. 교육감이 학생과 인사를 하고있고, 뒤쪽으로 학생들이 대기하고 있다.
공산성에서 열린 백제문화제, 축제 백제오왕추모제 모습이다.
수촌리 고분군 2지점 1호 토광목곽묘 발굴 당시 출토된 금동식리와 유개청자호의 노출장면이다.
교동초등학교 옆 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기증자와 친구의 모습이다. '웅진 산제당 전설'이 얽힌 곳으로 마을의 액운을 막아주는 산신령과 관련된 내용이다.
새마을운동 이대로는 안된다!
1990년 12월 6일부터 8일까지 진행된 제7회 영명고등학교 미술작품전시회의 모습이다. 학생들이 그림을 감상하고 있다.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0200&parkNavGb=epil_photo&menuNo=7020086
공주시 계룡면에 위치한 계룡 갑사 대웅전의 모습이다.
1971년 무령왕릉 발굴 작업 진행 중 묘실 내부에 다양한 부장품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계룡산 갑사 입구에 위치한 현재의 수정산장(舊 녹수장) 리모델링 공사 장면이다.
일자 2001.5.이며 공주를 방문한 일본인들을 위한 소개 및 안내서이다. 윤여헌 교수의 환영글을 필두로 1)역사 2)백제인들의 항쟁 3)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와 웅진의 호칭(呼稱) 4)무령왕릉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5)공주지방의 사찰과 불적: 대통사, 수원사,…
1990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장이 서해만에게 수여한 제173652호 수료증이다. 내면 좌측에는 ‘우리의 생활신조’가, 우측에는 새마을교육 핵심 지도자 공직자과정을 이수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상단 가장자리에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의 도장이, 하단에는…
2013년 백제문화학교 체험프로그램 활동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