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1679건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2007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스팟재즈 (3)
현재 계룡면 중장공소 앞마당의 성모상을 축성하는 행사의 기념사진이다. 현재 성모상은 돔 형식의 감싸는 주변 조형물이 있는데 비해, 축성 당시에는 주변에 접근금지를 위한 조형물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장공소의 성모상은 대전의 박춘대 님의 희사로 도움을…
1993년 우금치동학혁명100주년기념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봉화대를 만들고 있다.
1977년 공주금학국민학교 애향단의 중학동 일원 환경정화 모습이다. '매년 1일, 15일은 애향단 청소의 날, 고사리 손들의 정성으로 내고장, 내강산 빛나리' '내집앞쓸기' 등의 메모가 있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1995년 3월 24일 백제큰길(제2백제대교) 기공식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1962년 공주문화원 개원 5주년 및 한글날을 기념하여 공산성 4.19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백일장 모습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쌍수정 앞 왕궁지 부근에서 마련된 진행본부의 모습이다. 당시 공주중동초등학교와 공주여자중고등학교에서 차양을 대여해준 것으로 보인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대북공연 (16)
충청남도 새마을회 지회장 및 사무국장 연석회의 회의자료 표지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이 사진은 일본 공주회 회원 마쯔바야시 토오시씨가 1990년 4월 공주를 방문하였을 때 직접 촬영한 것으로, 사진속의 모습은 공주봉황국민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1957년에 발급된 정안국민학교 졸업장이다. 정안초등학교는 1922년 5월 23일에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정안공립심상소학교와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정안초등학교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37년에 학생 수가 증가하여 문천간이학교가 개교하였는데, 1944년에…
교장선생의 업무사진이 좌측, 학생들이 학교깃발을 들고 서 있는 사진이 우측에 배치되어있음
마곡국민학교의 분교인 월가국민학교의 운동회 사진이다. 1992년 마곡국민학교 월가분교장이 승인되어 월가국민학교가 개교하였고, 1996년 월가분교장을 흡수하여 마곡국민학교로 통폐합되어 개칭하였다. 선생님들이 운동회에 참석하여 축구 경기를 하고 있다.
공주갑부 김갑순의 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