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1679건
1920년대 일제강점기 정안초등학교에서 일본어 교재로 사용한 교과서이다.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고전무용 공연이 진행되고 있다.
공주새마을운동 - 농촌종합개발 시범지역 경영개선교육(4)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목차
권두언(장곡)
사상의 고향(사희수)
법석을찾아서(신도성)
시(나태주)
불교와 문학(사재동)
소부리 논단(윤광봉)
사비마당(대원스님)
우리얼 우리문화(이희재)
부여삼백리(박종일)
나의 불교 인연(김생호)
시주자명단
백유경(운미)
대장경(묘진공)
1987년 제33회 백제문화제 당시 전야제 행사로 진행된 농악놀이이다. 농악놀이가 진행되고 있는 곳은 중동사거리이다.
1988년 반포초등학교 마암분교장 제3회 졸업생들의 기념사진이다. 담임선생님과 학생들이 교정의 계단에 앉아 정답게 사진을 촬영하였다.
장애인성공사례 및 사랑의 실천사례발표로 오전10시~12시에 중앙극장에서 진행
1954년 공산성 앞 금강에 발을 담군 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마곡국민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시상식 후의 모습이다. 각 학급 별로 수상학생들이 선생님과 함께 단체사진을 촬영하였다. 본교 건물에는 '반공'이라는 글자와 함께 '튼튼한 몸 바른 마음, 나라사랑앞장서자'라는 문구가 걸려 있어 시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98년 7월 13일 제3대 공주시의회 개원식 모습이다. 공주 시민들이 참관하는 가운데 공주시의회 개원을 진행하고 있다.
1972년 문교부 장관 명의로 발행된 교원자격증이다. 자격증에는 교육공무원법 소정의 자격기준에 의하여 국민학교 1급 정교사 자격이 있음을 인정하고 증서를 수여한다고 적혀있다. 자격증에는 검정종별, 해당자격기준 및 교원의 성명과 생년월일 등이 적혀있다.
1889년 6월 23일 열린 89년 공주시새마을지도자성공사례발표대회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1965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공산성 공북루 근처 언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6.03.19,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37차 이사회 및 총회 속기록과 참석확인서이다. 당시 회의를 통해 1975년도 사업실적보고와 감사보고, 세입세출 결산서를 심의의결했으며, 1976년도 사업계획서와 세입세출 예산안도 심의했다.
2005년 5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