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346건 일제강점기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졸업앨범에 王陵이란 표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공주시내에 산재한 왕릉 중 하나를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1930년대의 공주시가지 모습으로 사진 우측에 공주고등학교 교사가 확인된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1930년대의 공주시가지 모습으로 사진 좌측에 공주고등학교 교사가 확인된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공주고등학교 교사의 복도 모습이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공주고등학교 교사의 복도 모습이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공주고등학교 교사 내부의 모습이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공주고등학교 교사의 모습이다.
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목차
발간사_삶이 축적된 역사를 차세대로 넘기는 '터' = 4
머리말_공간도 성쇠를 반복하며 바뀌어간다 = 6

제1장 근대 공주의 개관 = 14
제2장 외세외 근현대 공주의 변화 = 36
제3장 전통 기관의 변화 = 52
제4장 새로운 학교 터의 요구와 변화 =…
목차
발간사_삶이 축적된 역사를 차세대로 넘기는 '터' = 4
머리말_공간도 성쇠를 반복하며 바뀌어간다 = 6

제1장 근대 공주의 개관 = 14
제2장 외세외 근현대 공주의 변화 = 36
제3장 전통 기관의 변화 = 52
제4장 새로운 학교 터의 요구와 변화 =…
목차
-1부-
1. 우리암, 한국의 독립운동가 되다. = 15
2. 영명의 불씨가 된 푸른 눈의 선교사 = 31
3. 공주 3·1 운동, 독립운동의 변곡점에 서다. = 53
4. 우리암, 일제 감시대상자로 주목받다 = 81
5. 인도에서 만난 한국광복군과 함께 =…
미야모토요시타(宮本嘉太)가 보낸 공주마루쥬운송점 관련 사진 설명(写真のご説明) 의견서이다. 미야모토 요시타가 보낸 자료에는 조선자동차운수주식회사 마루쥬 운송점사진 3점과 회사 소유주의 사진이 수록되었다. 상단의 사진은 1939년 1월경 본정에 있는 마루쥬 운송점…
【1부, 근대기 공주의 화단】

주제1: 근대기 공주 전통화단 연구(김소연, 이화여자대학교)
/ 질의: 이안나(명지대학교)

주제2: 일제강점기 신문에 실린 이상범 휘호 작품 연구(최경현, 문화재청)
/ 질의:…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농촌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농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사이로 군복을 입고 지켜보는 교사의 모습이 눈에 띈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신사에 참배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당시에는 주 1~2회 강제로 신사참배를 하여야 했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나무로 만들어진 일본도(목검)로 군사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수업과 분열식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칠판에 쓰여 있는 일본어가 눈에 띄며, 분열식은 학생들이 각을 맞추어 걷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