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101건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충남 공주군에서 관내모범 시범새마을부락 지정 때 부여한 시범도의 마을 간판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7418000000
1950년대 후반 공주대학교가 공주사범대학교일 시절 봉황산 밑 교정의 신 교사 건축을 위한 도면으로 추정된다.
1910년대 말에서 20년대 초 충청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일본인 화가 세가야(世外)가 그린 공산성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부여 부근의 백제유적분포도이다.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부근의 지도이다. 본 지도는 1913년 이전의 측량자료에 기초하여 제작한 지도로 추정된다. 공주시가지의 우편국의 위치가 1913년 반죽동으로 이전하기 전의 위치로 수록되어 있기에 본 지도는…
1960년 충청남도에서 발행한 도내 국보와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분포현황을 지도에 표기한 것이다.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반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공주시가지 항공사진이다. 금강 이북에 위치한 결핵병원과 당시 조성이 이뤄지던 공주사범대학 신관캠퍼스의 모습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2019년 공주 조선통신사 관련 지역브랜드로서의 가치를 조망하기 위한 학술세미나의 안내 포스터이다.
1980년대 충청남도 지역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내버스 경로승차권의 모습이다. 충청남도 지역에서 사용된 승차권 임에도 불구하고 배경에는 경복궁 경회루로 추정되는 장소가 삽입되어 있다.
1980년대 조치원과 공주를 오가는 버스의 차표이다. 공권과 회수권, 승차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따로 검표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비춰볼 때 구매 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내와 주요도로망이 담겨있는 지도이다.
1967년 정부의 발주로 진행한 전국단위 항공사진 촬영작업 중 1967년 11월 07일 12시 40분경 공주전경을 촬영한 모습이다. 당시 현재의 신관동 부근이 개발되기 이전의 모습이 담겨있으며, 제민천 하류의 미나리꽝 저습지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공주시내에…
1950년 6월 초순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행한 복권의 일종이다. 후생복표로 불리는 해당 자료는 금 200원짜리에 해당한다. 후면에 기증자가 적어놓은 기록으로보아 해당 복권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가치를 상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10월 26일 계룡산국립공원 지정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진행한 학술심포지엄의 안내 포스터이다.
2019년 8월 28일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공주목 복원정비에 관한 학술세미나 홍보 포스터이다. 학술세미나의 일정과 장소, 일시가 적혀있고, 배경에는 1910년대 말 공주시가지의 남쪽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가 삽입되어 있다.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에서 홍보용을 제작한 쇼핑백이다.
계룡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 계룡산의 깃대종 호반새를 디자인으로 제작한 종이 쇼핑백이다.
탄천국민학교에서 주최한 '국민학교 대항 400m 계주" 대회에서 이인국민학교가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우승기이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