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이 아메미야(雨宮)에게 보내는 편지 초안문이다. 윤여헌은 편지에서 백제문화제 기간 중 아메미야가 입원 중이어 공주에 방문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 하였다. 그러면서 다음 세대에 이어 지속적인 교류를 위해서는 아메미야의 가교역할이 필요하다는 말을 전하였다. 건강을…
1998년 공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의 등교와 하교 편의를 도모하고 면학여건 등을 조성하기 위해 통학버스를 운영함을 알리는 안내문이다. 본 자료에는 대전과 청주, 부여, 천안으로 향하는 버스의 요금과 시간표가 적혀있다.
1990년 공주교육대학에서 주최한 '제1회 충청남도 대전직할시 내 아동미술실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5학년 노일환 학생이 입선하여 상을 받은 내용이다.
중국 남경(南京) 역사유적 답사 참가 안내문이다. 일정은 2007.11.9.~11.12.이다. 백제문화에 대한 이해와 무령왕과 백제를 매개로 한 국제교류를 통해 무령왕루트의 현재적 복원 도모가 목적이다. 일정은 공주~남경~진강~단양~남경~계명사~현무호~인천으로…
공주시 공문이다. 공주시 지명위원회 위촉계획, 공주시 지명위원회 조례, 위촉동의서 양식이 첨부되어있다.
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붐볐던 곳이다. 지금의 봉황초등학교…
1962년 공주문화원과 공주지방법원, 공주군 정도회 등 각계각층 기관장의 월관회 개최를 알리는 공문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시 오구니마치에 소재한 소국실과(小國實科) 고등여학교에 보낸 홍보지의 봉투이다. 봉투의 전면에는 공주우편국의 소인도 찍혀있고, 후면에는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이름도 인쇄되어있다. 수신처의 학교는 현재…
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공주군 장기면 제천리 새마을 창고의 양곡이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기록한 장부이다. 1974~1977년까지의 양곡보관 불출내역과 보관료 수령 내영이 기재되어 있고, 양곡보관증도 함께 붙어 있다. 내지 마지막 장에는 새마을 창고 결산서 및 건물 소재지가 기록되이 있다.…
1996년 7월 13일 저녁 8시부터곰나루 국민관광단지 내 특설무대에서 열린 공주시민을 위한 곰나루 한 여름밤 대축제 '시민화합한마당' 행사 안내장이다. 이 행사는 계룡문화예술회예술단에서 주최하고 공주시 생활정보지 사거리와 공주신문사에서 후원하였다. 이 안내장에는…
1996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공주시 학생음악경연대회'에서 공주금학초등학교 합창부가 금상을 받았다. 교명하단에는 지도교사명도 기재되어 있다.
1991년 공주고등학교 동문회 개최 알림장이다. 알림의 내용에 '91학년도 제 1학기를 마무리지으면서 공주고 동문회를 개최하고, 차량운행이 당일 대학본부 앞에서 출발한다는 내용으로 보아, 공주대학교 내 공주고등학교 출신만 모아 진행한 동문회로 추정된다. 동문회 일시는…
대학관련 교육개혁과제의 세부추진계획 수립 외
1951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농지세 영수증이다. 문서에 의하면 일금 삼천팔백원을 이모작(二毛作) 지세(地稅)로 영수하였다. 전표 상단에 '영수증'과 함께 지(地)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1963년 기증자의 부친이 장기면에 세금을 납부하고 수령한 영수증으로 추정된다.
공주군 이인면 오리(현 공주시 오곡동)에 사는 이건표가 이인면사무소에 세금을 내고 받은 납세고지서이다. 세종은 토지세로서 1958년 제2기분으로 1섬(石) 8되(升)를 냈다. 2叭에 1킬로그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이인면장은 박승식(朴承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