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시 유구읍 추계리에 있는 고간원의 모습이다. 고려시대의 간신 문극겸을 기리기 위하여 '임금에게 옳지 않은 일을 고치도록 충언한 간신'이라는 의미에 '고간원'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사우이다.
공주시 봉정동에 위치한 계룡백일주 공장 전경이다. 공주의 연안이씨 문중의 가양주로서 시작하였는데 양조기간이 백일이 걸려 백일주라고 이름 붙였다. 연안이씨 문중의 이횡의 부인 지복남 여사가 기능보유자로서 있다.
계룡백일주의 홍보지이다.
계룡백일주의 홍보지이다.
탄천장승제가 치뤄지는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 입구에 자리한 장승이다. 주변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주변에 솟대도 세워져 있는 모습이다. 현재 탄천장승제는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탄천장승제가 치뤄지는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 입구에 자리한 장승이다. 주변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주변에 솟대도 세워져 있는 모습이다. 현재 탄천장승제는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에 전승되는 장승제이다. 현재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에 전승되는 장승제의 모습이다. 현재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에 전승되는 장승제의 모습이다. 현재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에 전승되는 장승제의 모습이다. 현재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초려 이유태가의 유물이다. 모두 23점으로 강경통, 인장, 옥관자, 표주박, 백자, 호패, 첨통 등이 있다.
사곡면 운암리의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연으로 세조가 마곡사에 타고 왔다가 두고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남쪽 문 진남루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남쪽 문 진남루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남쪽 문 진남루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남쪽 문 진남루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남쪽 문 진남루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의 쌍수정이다.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내려왔을때, 이곳에서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들어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누정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 광복루의 전경이다. 본래 공산성 중군영의 문루인 '해상루'였는데 이를 일제가 '웅심각'으로 바꾸었다. 그러다 광복이후 백범 김구가 공주를 방문하며 다시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이름을 지어 주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 광복루의 전경이다. 본래 공산성 중군영의 문루인 '해상루'였는데 이를 일제가 '웅심각'으로 바꾸었다. 그러다 광복이후 백범 김구가 공주를 방문하며 다시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이름을 지어 주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