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공주 정안면과 경북 울진 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세로줄로 하루일과를 작성하였다. 일지의 뒷부분에는 신문스크랩과 가족들의 사진을 부착하고 기록하였으며, 부록편으로서 연도변로 선행과 악행의 내역, 연도별 지역동선내역, 본인의 생애, 가계부, 꿈의 내용, 우편송수신내역, 특기사항, 방명록 등을 기입하였다. 등록번호500010733 생산일자197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쓴 보덕일지로, 이천 협천, 공주 정안에 있을 때 쓴 일지이다. 백지에 칸 없이 하루 일과를 기재하였다. 특히 하루 일과와 관련된 장소를 서두부분에 함께 기재하여 일지를 기록한 당일에 어느 곳을 다녀왔는지 상세히 알 수 있다. 일지의 뒷 부분에는 수입지출내역과 각 연도별 동정표, 선행과 악행 내역, 꿈 내용표,… 등록번호500010732 생산일자1968.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4년 4월부터 1966년 5월까지 쓴 보덕일지로, 울진과 대구에 있을 때 쓴 것이다. 백지에 수기로 일지의 각 칸을 직접 만들어 내용을 기입하였다. 일지의 첫 부분에는 친구와 지인의 사진,측량활동기간의 사진 등도 수록되어 있으며, 년간 달력을 별도로 오려 붙여 작성하고 지인과 가족들의 생일과 기일을 빼곡히 기재하였다. 일지의 말미에는… 등록번호500010731 생산일자196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63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3년 쓴 보덕일지이다. 이때는 성주와 공주를 비롯해 남한 곳곳을 일주하며 일지를 적었다. 기성품으로 제작된 일기에 일지를 작성하여 왼쪽으로 책장을 넘기는 구조이다. 앞부분에는 하루일과를 기록하였으며, 뒷부분이 부록에는 가계부와 남궁씨종친회원명단 등이 있다. 등록번호500010730 생산일자1963.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62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41세에 작성한 1962년 보덕일지이다. 공주와 성주 일대에서 작성하였다. 기성품의 일기장을 활용하였는데, 앞부분에는 하루일과를 기입하였고, 뒷부분에는 일기장에 마련된 부록내용에 따라 비망기, 방명록, 독서일지, 영화상영일지를 기입하였다. 등록번호500010729 생산일자1962.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61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61년 남궁화의 나이 40세가 되던 해에 공주, 대전, 안동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앞부분에는 그 해의 월간동정표와 신문에서 스크랩한 당대의 월별 물가내역 등이 있다. 그 뒤로 우편 송수신내역이 있고, 그 뒤로 당해년도의 월별특기사항, 독서기록 등 부록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 뒤로 하루일과를 비롯해 가계부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728 생산일자1961.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60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60년 남궁화의 나이 39세가 되던 해에 공주 일대에서 작성한 일지이다. 첫장을 넘기면 신문스크랩내용과 음력절후표, 연령대조표와 월간동정표가 있다. 그 뒤로 하루일과를 기록하였으며, 부록으로 1일1언, 지인과 주고받은 술값이나 설탕량 등을 별도로 기록하였다. 또 가계부, 당해년 특기사항, 명언, 자연관찰내용, 수신보덕(修身保德)한 내용도 상세하게… 등록번호500010727 생산일자196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59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59년 남궁화가 38세 되던 해에 보령과 공주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독서기, 꿈내용, 우편송수신기록, 신문스크랩 등이 기록되었다. 등록번호500010726 생산일자1959.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57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57년에 대전, 서울, 보령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독서기, 꿈내용, 우편송수신기록, 신문스크랩 등이 기록되었다. 등록번호500010725 생산일자1957.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1955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보덕일지는 1955년 무릉동에 살았던 남궁화의 일지이다. 남궁화는 기증자 남궁운의 부친으로 일지명에 기록된 보덕은 그의 호(號)이다. 남궁화(南宮和, 1922∼1996)로 본명은 남궁향(南宮响)이며, 공주 무릉동(武陵洞)에서 태어나 자랐다. 22살에 옛 연기군 전의면에 사는 부인 김규화씨를 만나 결혼하였고, 슬하에 3남1녀를 두었다. 부친은 공주에서 학교를… 등록번호500010724 생산일자195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문광균의 글이다.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청구여지도」를 소개한 글이다. 등록번호10001910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신용희의 글이다. 목차는 공주 알밤축제 / 공주밤의 역사 / 평창의 천연기념물 밤나무 / 공주 최고령 밤나무 이야기 / 정안밤 지리적 표시제 / '정안월산 밤나무'로 부르자이다. 등록번호10001910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안연옥의 글로 제19회 무령왕 탄생제 참관기이다. 등록번호10001910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윤원갑의 글이다. 목차는 포항역에서 부산역까지 열차로 / 아들을 찾는 피켓 / 부산에서 월남 다낭 항까지 / 헬기장에서 대기 / 1중대 배치 / 고노이 섬 작전(1969.6.3.~6.31.) / 황룡(黃龍)작전(1970.3.1~4.30) / 귀국 전날/다시 돌아보면서이다. 등록번호10001910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금용명의 글이다. 목차는 1. 서 / 2. 공주의 역사와 공주교도소 / 3. 공주교도소사의 구성 / 4. 국내교정시설의 상황 / 5. 미래의 공주교도소 / 6. 결어이다. 등록번호10001910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
![]() |
제목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고순영의 글이다. 목차는 그 시작은 공주소방조(公州消防組)에서 / 조선인소방조의 차별로 공주소방조 분소, 그러나 다시 부흥 / 공주소방조의 화재 진압 활약 / 지역사회의 신망을 받은 공주소방조 / 광복이후 공주소방대의 발족과 공주의용소방대의 활약이다. 등록번호1000191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곽호영의 글이다. 목차는 1. 서언 / 2. 영천암 약사 / 3. 창건기와 창건기 번역문 / 4. 팔봉산 효심 깊은 며느리 / 5.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102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제목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이선자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는 말 / 1. 우리나라의 세시기 / 2. 세시기란 / 3.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 4. 동국세시기 월별 행사 / 5. 동국세시기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 6. 동국세시기에 나온 시절음식들 /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1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최석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 마곡사의 가람배치와 성보 이야기 / 3.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등록번호100019099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500010733; 500010733; 500010733; 500010733 1969-1970년 보덕일지 |
|
500010732; 500010732; 500010732; 500010732 1966-1968년 보덕일지 |
|
500010731; 500010731; 500010731; 500010731 1964-1965년 보덕일지 |
|
500010730; 500010730; 500010730; 500010730 1963년 보덕일지 |
|
500010729; 500010729; 500010729; 500010729 1962년 보덕일지 |
|
500010728; 500010728; 500010728; 500010728 1961년 보덕일지 |
|
500010727; 500010727; 500010727; 500010727 1960년 보덕일지 |
|
500010726; 500010726; 500010726; 500010726 1959년 보덕일지 |
|
500010725; 500010725; 500010725; 500010725 1957년 보덕일지 |
|
500010724; 500010724; 500010724; 500010724 1955년 보덕일지 |
|
100019108 (자료해설) 공주 평산신씨 소장 「청구여지도」 |
|
100019107 공주 정안면 월산리 최고령 밤나무 |
|
100019106 무령왕 연꽃이 활짝 핀 연못가에서의 탄생제 |
|
100019105 월남 전쟁터에서의 달빛편지-나의 월남전 참전기 |
|
100019104 공주교도소사' 발간의 의미와 과제 |
|
100019103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
|
100019102 영천암(靈泉庵) 창건기 소고(小考) |
|
100019101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
|
100019100 세계유산 한국의 산사, 태화산 마곡사 |
|
100019099 공주 공산성 만하루(挽河樓)에 대하여 |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공주 정안면과 경북 울진 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세로줄로 하루일과를 작성하였다. 일지의 뒷부분에는 신문스크랩과 가족들의 사진을 부착하고 기록하였으며, 부록편으로서 연도변로 선행과 악행의 내역, 연도별 지역동선내역, 본인의 생애, 가계부, 꿈의 내용, 우편송수신내역, 특기사항, 방명록 등을 기입하였다.
등록번호500010733
생산일자197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쓴 보덕일지로, 이천 협천, 공주 정안에 있을 때 쓴 일지이다. 백지에 칸 없이 하루 일과를 기재하였다. 특히 하루 일과와 관련된 장소를 서두부분에 함께 기재하여 일지를 기록한 당일에 어느 곳을 다녀왔는지 상세히 알 수 있다. 일지의 뒷 부분에는 수입지출내역과 각 연도별 동정표, 선행과 악행 내역, 꿈 내용표,…
등록번호500010732
생산일자1968.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4년 4월부터 1966년 5월까지 쓴 보덕일지로, 울진과 대구에 있을 때 쓴 것이다. 백지에 수기로 일지의 각 칸을 직접 만들어 내용을 기입하였다. 일지의 첫 부분에는 친구와 지인의 사진,측량활동기간의 사진 등도 수록되어 있으며, 년간 달력을 별도로 오려 붙여 작성하고 지인과 가족들의 생일과 기일을 빼곡히 기재하였다. 일지의 말미에는…
등록번호500010731
생산일자196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63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63년 쓴 보덕일지이다. 이때는 성주와 공주를 비롯해 남한 곳곳을 일주하며 일지를 적었다. 기성품으로 제작된 일기에 일지를 작성하여 왼쪽으로 책장을 넘기는 구조이다. 앞부분에는 하루일과를 기록하였으며, 뒷부분이 부록에는 가계부와 남궁씨종친회원명단 등이 있다.
등록번호500010730
생산일자1963.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62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41세에 작성한 1962년 보덕일지이다. 공주와 성주 일대에서 작성하였다. 기성품의 일기장을 활용하였는데, 앞부분에는 하루일과를 기입하였고, 뒷부분에는 일기장에 마련된 부록내용에 따라 비망기, 방명록, 독서일지, 영화상영일지를 기입하였다.
등록번호500010729
생산일자1962.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61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61년 남궁화의 나이 40세가 되던 해에 공주, 대전, 안동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앞부분에는 그 해의 월간동정표와 신문에서 스크랩한 당대의 월별 물가내역 등이 있다. 그 뒤로 우편 송수신내역이 있고, 그 뒤로 당해년도의 월별특기사항, 독서기록 등 부록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 뒤로 하루일과를 비롯해 가계부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728
생산일자1961.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60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60년 남궁화의 나이 39세가 되던 해에 공주 일대에서 작성한 일지이다. 첫장을 넘기면 신문스크랩내용과 음력절후표, 연령대조표와 월간동정표가 있다. 그 뒤로 하루일과를 기록하였으며, 부록으로 1일1언, 지인과 주고받은 술값이나 설탕량 등을 별도로 기록하였다. 또 가계부, 당해년 특기사항, 명언, 자연관찰내용, 수신보덕(修身保德)한 내용도 상세하게…
등록번호500010727
생산일자196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59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1959년 남궁화가 38세 되던 해에 보령과 공주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독서기, 꿈내용, 우편송수신기록, 신문스크랩 등이 기록되었다.
등록번호500010726
생산일자1959.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57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남궁화가 1957년에 대전, 서울, 보령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독서기, 꿈내용, 우편송수신기록, 신문스크랩 등이 기록되었다.
등록번호500010725
생산일자1957.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1955년 보덕일지
범위와내용보덕일지는 1955년 무릉동에 살았던 남궁화의 일지이다. 남궁화는 기증자 남궁운의 부친으로 일지명에 기록된 보덕은 그의 호(號)이다. 남궁화(南宮和, 1922∼1996)로 본명은 남궁향(南宮响)이며, 공주 무릉동(武陵洞)에서 태어나 자랐다. 22살에 옛 연기군 전의면에 사는 부인 김규화씨를 만나 결혼하였고, 슬하에 3남1녀를 두었다. 부친은 공주에서 학교를…
등록번호500010724
생산일자195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문광균의 글이다.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청구여지도」를 소개한 글이다.
등록번호10001910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신용희의 글이다. 목차는 공주 알밤축제 / 공주밤의 역사 / 평창의 천연기념물 밤나무 / 공주 최고령 밤나무 이야기 / 정안밤 지리적 표시제 / '정안월산 밤나무'로 부르자이다.
등록번호10001910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안연옥의 글로 제19회 무령왕 탄생제 참관기이다.
등록번호10001910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윤원갑의 글이다. 목차는 포항역에서 부산역까지 열차로 / 아들을 찾는 피켓 / 부산에서 월남 다낭 항까지 / 헬기장에서 대기 / 1중대 배치 / 고노이 섬 작전(1969.6.3.~6.31.) / 황룡(黃龍)작전(1970.3.1~4.30) / 귀국 전날/다시 돌아보면서이다.
등록번호10001910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금용명의 글이다. 목차는 1. 서 / 2. 공주의 역사와 공주교도소 / 3. 공주교도소사의 구성 / 4. 국내교정시설의 상황 / 5. 미래의 공주교도소 / 6. 결어이다.
등록번호10001910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제목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고순영의 글이다. 목차는 그 시작은 공주소방조(公州消防組)에서 / 조선인소방조의 차별로 공주소방조 분소, 그러나 다시 부흥 / 공주소방조의 화재 진압 활약 / 지역사회의 신망을 받은 공주소방조 / 광복이후 공주소방대의 발족과 공주의용소방대의 활약이다.
등록번호1000191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곽호영의 글이다. 목차는 1. 서언 / 2. 영천암 약사 / 3. 창건기와 창건기 번역문 / 4. 팔봉산 효심 깊은 며느리 / 5.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102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제목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이선자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는 말 / 1. 우리나라의 세시기 / 2. 세시기란 / 3.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 4. 동국세시기 월별 행사 / 5. 동국세시기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 6. 동국세시기에 나온 시절음식들 /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1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최석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 마곡사의 가람배치와 성보 이야기 / 3.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등록번호100019099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