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203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8)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02

등록번호|500007991

생산일자|1981.10.1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7)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792

등록번호|500007990

생산일자|1981.09.07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6)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48

등록번호|500007989

생산일자|1982.03.04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5)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30

등록번호|500007988

생산일자|1982.01.09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4)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70

등록번호|500007987

생산일자|1982.09.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제목|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제목|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제목|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제목|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마곡사 설명문

제목| 마곡사 설명문

범위와내용|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마곡사 안내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금강논단-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제목| 금강논단-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범위와내용|효포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금강논단 게재글이다.

등록번호|50000751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문학,예술,언론>언론>주간신문>금강뉴스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1968년 영명학교 교가

제목| 1968년 영명학교 교가

범위와내용|1968년 공주영명고등학교 교가의 악보와 가사이다.

등록번호|500007510

생산일자|1968.00.00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고등학교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갑사 석등 엽서

제목| 갑사 석등 엽서

범위와내용|1960~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갑사 석등사진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03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범위와내용|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문서류
  • 문서류>서신
공주우편국

제목| 공주우편국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다리를 타고 전봇대에 오른 2명의 관인 모습과 우편국 입구 앞 2명의 꼬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9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203건
  • 형태분류  문서류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8)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02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7)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792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6)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48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5)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30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4)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70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마곡사 설명문

마곡사 설명문

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마곡사 안내문서이다.
금강논단-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금강논단-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효포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금강논단 게재글이다.
1968년 영명학교 교가

1968년 영명학교 교가

1968년 공주영명고등학교 교가의 악보와 가사이다.
갑사 석등 엽서

갑사 석등 엽서

1960~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갑사 석등사진 엽서이다.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공주우편국

공주우편국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203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203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203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8)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02

등록번호|500007991

생산일자|1981.10.1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7)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792

등록번호|500007990

생산일자|1981.09.07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6)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48

등록번호|500007989

생산일자|1982.03.04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5)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30

등록번호|500007988

생산일자|1982.01.09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보낸 서신(4)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6870

등록번호|500007987

생산일자|1982.09.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제목|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제목| 마곡사 설명문

범위와내용|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마곡사 안내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제목| 금강논단-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범위와내용|효포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금강논단 게재글이다.

등록번호|50000751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문학,예술,언론>언론>주간신문>금강뉴스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제목| 1968년 영명학교 교가

범위와내용|1968년 공주영명고등학교 교가의 악보와 가사이다.

등록번호|500007510

생산일자|1968.00.00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고등학교

  • 문서류
  • 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제목| 갑사 석등 엽서

범위와내용|1960~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갑사 석등사진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03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엽서

범위와내용|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우편국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에 있던 공주우편국의 모습이다. 본래 지금의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뒤편에 있었는데, 1913년 12월 반죽동으로 이전했다. 엽서 속 모습은 반죽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다리를 타고 전봇대에 오른 2명의 관인 모습과 우편국 입구 앞 2명의 꼬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9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문서류
  • 문서류>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