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인조파천 관련 메모

제목| 인조파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적어놓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석송동천(암각서) 2. 우정(소물) 3. 인절미 4. 도루메기 5. 조왕동(지명)

등록번호|5000115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제목|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중 충신조에 보면 이렇게 소개되어 있다. "속성은 박씨요 계룡면 월암리 출생이며 갑사에 재적승으로서 고승 서산의 법사(법통을…

등록번호|5000115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

제목|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이다. 앞면과 뒷면에 모두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먼저 앞면에는 공주 계룡산 유적으로서 갑사와 신원사, 구룡사지, 신도내 유적명을 기재하고 위치와 간단한 설명을 해 두었다. 또 뒷면에는 상단부에 인조파천이라하여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공주에 오기까지의 여정에 관한 사항을 정리해…

등록번호|50001153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지도 및 천황봉 지명에 관련 메모

제목| 공주지도 및 천황봉 지명에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도와 천황봉 지명에 대한 자필 메모이다. 메모에 기재한 지도는 5만분의 1 축척에 해당하는 공주지도로, 대정 3년(1914년) 측량되었고, 소화 3년(1928년) 제2회 수정측량을 거친 지도였다. 그 아래 천황봉, 쌀개봉, 연천봉 등의 메모와 각 지명별 의미, 내력, 그리고 고시일자 등의 사항이 메모된 것으로 보아, 지도를…

등록번호|50001153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의 역사 및 고적지에 관한 메모

제목| 공주의 역사 및 고적지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역사와 고적에 관한 기록이다. 내용은 8개 항목으로 구분지었으며, 간략한 내용을 덧붙여 기록하였다. 그 8개 유적은 1. 상신리 용산구곡 2. 창벽 3. 갑사 4. 계룡 5. 효포 향덕비 6. 박물관, 산성공원 7. 왕릉 8. 곰나루 이다.

등록번호|50001153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지명작명시 주의사항, 정지산 발굴 등에 관한 메모

제목| 지명작명시 주의사항, 정지산 발굴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여러주제의 메모이다. 우선 첫번째 면에는 지명작명시 주의사항에 대해 기재해 두었다. 이에 대해 4가지를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일반인에게 숙지되어야 하고, 옛 지명을 가급적 복원해야 하며, 상징성이 있어야 하고, 가급적 우리말로 작명해야 한다고 기록해 두었다. 두번째 면에는 정지산 유적 발굴, 셋째 면에는 양직공도, 넷째 면에는…

등록번호|50001153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시 '목수(牧竪)'에 관한 메모

제목| 한시 '목수(牧竪)'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당나라 시인 최도융의 한시 의 본문과 그 주석이다. 우측에는 한시의 본문이 적혀있으며 좌측에는 그와는 무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시와 기록의 전문은 아래와 같다. 牧竪持蓑笠 목동은 도롱이와 삿갓을 걸쳤는데, 逢人氣傲然 사람을 만나면 그 기색이 당당하구나. 臥牛吹短笛 소 등에 누워 작은 피리를…

등록번호|50001153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도공 이삼평 기념비 건립에 관한 메모

제목| 도공 이삼평 기념비 건립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이삼평 기념비 건립을 앞두어 일고하며 자필로 적은 기록이다. 윤용혁 교수의 화두와 함께 이삼평은 과연 공주 사람인가에 대한 고증을 살폈다. 메모의 본문은 3개의 단락으로 구분되었는데, 1. 동기: 일 비문에 1990년 건립한 연기군 이풍용 씨 역사 왜곡 문제 2. 종래의 기념비의 문구는 수정하는 것이 최상이다. 3. 비문의 내용을 바꾸는…

등록번호|50001153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윤여헌의 공주지역사 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2)

제목| 윤여헌의 공주지역사 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2)

범위와내용|이 메모는 2016년 9월 간행된 윤여헌 교수의 공주지역사연구 회고록 책의 서문를 자필로 작성한 초고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이 글들은 우리 고장에 대하여 평소 필자가 발견했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우리고장 공주는 백제 웅진시대의 서울이었을 뿐 아니라, 고려조 조선조에 지방 행정의 중심지로서 애환을 같이 했었다. 그 가운데서도 삼대조에…

등록번호|500011532

생산일자|2016년(추정)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한시 &lt;웅진도&gt;, &lt;쌍수정&gt; 및 윤여헌의 공주지역사회고록 &lt;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gt;서문 초고 (1)

제목| 한시 <웅진도>, <쌍수정> 및 윤여헌의 공주지역사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1)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고려조 말기의 인물인 강호문의 한시 '웅진도'와 홍량호의 한시 '쌍수정'이다. 한시의 본문은 아래와 같다. [웅진도] 江水茫茫入海流 강물은 아득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靑山影裏一扁舟 청산의 그림자 가운데 일엽편주 가려지네. 百年南北人多事 백 년의 세월 남북으로 사람은 일이 많건마는, 只有沙鷗得自由 그저 모래톱의…

등록번호|500011531

생산일자|2016년(추정)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

제목|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이다. 같은 한시가 세 번 반복되어 적혀 있다. 본시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南湖泗沘此江流 남호의 사비는 이 강에 흐르고 있나니, 秀嶂奇岩別遠洲 솟아오른 산봉우리 기이한 바위는 별천지의 풍경일세. 瑤瑟無聲彩舞歇 고운 거문고는 소리 없이 춤사위를 채색하고, 獨憐孤月在渙舟 고독한 마음 외로운…

등록번호|50001153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

제목|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제1집 우성면 부전동, 제2집 국동리 산신제, 제4집 장기면 세천리, 제6집 계룡면 내흥리, 제8집 정안면 월산리가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영천사의 무릉동천, 영천복지, 곽영담과 같은 지명이 기록되어 있다. 후면에는 보림사, 와선대, 무릉동천, 영천복지, 곽영담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메모

제목|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정려에 대한 설명과 의의에 이어, 효자 향덕(向德)을 향덕이 아닌 상덕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제언이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백제삼서(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가 적혀있으며, 뒷면에는 일정표가 미완으로 남아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2001년…

등록번호|50001152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의 역사서 목록

제목| 공주의 역사서 목록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역사서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은데, 우선 메모의 중앙에 1. 공산지 을미(1859년)간행, 안사 김응근 서문 있음 2. 공산지 서병호 발행 1922(임술)간행 충남지사 서문 3. 충남향토지 1935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 간행 4. 공주군지, 이계철 편, 1957년 간행 5. 백제고도…

등록번호|50001152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감영의 이영(移營)에 관한 메모

제목| 공주감영의 이영(移營)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감영 이영 관련' 메모이다. 이 메모는 공주(충청)감영고 작성을 위해 초기단계에 작성한 메모로 추정된다. 기록은 총 6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2면에서는 이영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3면에서는 이영 사유를 다루고 있다. 4-5면에서는 포정사의 의의와 충청감사 유근이 재임하던 시기에 대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다. 6면은…

등록번호|50001152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

제목|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이다. 기록에서는 남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자기와 청자양형기, 전문도기를 제시하였으며, 웅진 백제시대에 남조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개략적으로 기록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2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취리산 삼국회맹지에 대한 메모

제목| 취리산 삼국회맹지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취리산 삼국회맹지 관련 메모이다. 삼국사기의 문무왕조를 인용하여 취리산에서 삼국이 회맹하였다는 사실을 적어두었으며, 후면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갈등 요인, 그리고 웅진도독부의 설치와 전후의 참상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에서 발행한 메모지로, 상단 중앙에 공주시 CI가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1152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인조파천 관련 메모

인조파천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이다. 앞면과 뒷면에 모두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먼저 앞면에는 공주 계룡산 유적으로서 갑사와 신원사, 구룡사지, 신도내 유적명을 기재하고 위치와 간단한…
공주지도 및 천황봉 지명에 관련 메모

공주지도 및 천황봉 지명에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도와 천황봉 지명에 대한 자필 메모이다. 메모에 기재한 지도는 5만분의 1 축척에 해당하는 공주지도로, 대정 3년(1914년) 측량되었고, 소화 3년(1928년) 제2회 수정측량을 거친 지도였다. 그…
공주의 역사 및 고적지에 관한 메모

공주의 역사 및 고적지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역사와 고적에 관한 기록이다. 내용은 8개 항목으로 구분지었으며, 간략한 내용을 덧붙여 기록하였다. 그 8개 유적은 1. 상신리 용산구곡 2. 창벽 3. 갑사 4. 계룡 5. 효포 향덕비 6.…
지명작명시 주의사항, 정지산 발굴 등에 관한 메모

지명작명시 주의사항, 정지산 발굴 등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여러주제의 메모이다. 우선 첫번째 면에는 지명작명시 주의사항에 대해 기재해 두었다. 이에 대해 4가지를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일반인에게 숙지되어야 하고, 옛 지명을 가급적 복원해야 하며, 상징성이 있어야…
한시 &#039;목수(牧竪)&#039;에 관한 메모

한시 '목수(牧竪)'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당나라 시인 최도융의 한시 의 본문과 그 주석이다. 우측에는 한시의 본문이 적혀있으며 좌측에는 그와는 무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시와 기록의 전문은 아래와 같다. 牧竪持蓑笠 목동은 도롱이와 삿갓을…
도공 이삼평 기념비 건립에 관한 메모

도공 이삼평 기념비 건립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이삼평 기념비 건립을 앞두어 일고하며 자필로 적은 기록이다. 윤용혁 교수의 화두와 함께 이삼평은 과연 공주 사람인가에 대한 고증을 살폈다. 메모의 본문은 3개의 단락으로 구분되었는데, 1. 동기: 일 비문에 1990년…
윤여헌의 공주지역사 회고록 &lt;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gt;서문 초고 (2)

윤여헌의 공주지역사 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2)

이 메모는 2016년 9월 간행된 윤여헌 교수의 공주지역사연구 회고록 책의 서문를 자필로 작성한 초고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이 글들은 우리 고장에 대하여 평소 필자가 발견했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우리고장 공주는…
한시 &lt;웅진도&gt;, &lt;쌍수정&gt; 및 윤여헌의 공주지역사회고록 &lt;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gt;서문 초고 (1)

한시 <웅진도>, <쌍수정> 및 윤여헌의 공주지역사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1)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고려조 말기의 인물인 강호문의 한시 '웅진도'와 홍량호의 한시 '쌍수정'이다. 한시의 본문은 아래와 같다. [웅진도] 江水茫茫入海流 강물은 아득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靑山影裏一扁舟 청산의…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이다. 같은 한시가 세 번 반복되어 적혀 있다. 본시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南湖泗沘此江流 남호의 사비는 이 강에 흐르고 있나니, 秀嶂奇岩別遠洲 솟아오른 산봉우리 기이한…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제1집 우성면 부전동, 제2집 국동리 산신제, 제4집 장기면 세천리, 제6집 계룡면 내흥리, 제8집 정안면 월산리가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영천사의…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메모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정려에 대한 설명과 의의에 이어, 효자 향덕(向德)을 향덕이 아닌 상덕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제언이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공주의 역사서 목록

공주의 역사서 목록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역사서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은데, 우선 메모의 중앙에 1. 공산지 을미(1859년)간행, 안사 김응근 서문 있음 2. 공산지 서병호 발행 1922(임술)간행…
공주감영의 이영(移營)에 관한 메모

공주감영의 이영(移營)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감영 이영 관련' 메모이다. 이 메모는 공주(충청)감영고 작성을 위해 초기단계에 작성한 메모로 추정된다. 기록은 총 6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2면에서는 이영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3면에서는…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이다. 기록에서는 남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자기와 청자양형기, 전문도기를 제시하였으며, 웅진 백제시대에 남조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개략적으로 기록해 두었다.
취리산 삼국회맹지에 대한 메모

취리산 삼국회맹지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취리산 삼국회맹지 관련 메모이다. 삼국사기의 문무왕조를 인용하여 취리산에서 삼국이 회맹하였다는 사실을 적어두었으며, 후면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갈등 요인, 그리고 웅진도독부의 설치와 전후의 참상에 대한…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220건
  • 시대분류  현대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인조파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적어놓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석송동천(암각서) 2. 우정(소물) 3. 인절미 4. 도루메기 5. 조왕동(지명)

등록번호|5000115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중 충신조에 보면 이렇게 소개되어 있다. "속성은 박씨요 계룡면 월암리 출생이며 갑사에 재적승으로서 고승 서산의 법사(법통을…

등록번호|5000115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계룡산 유적 목록 및 인조파천 등에 관한 메모이다. 앞면과 뒷면에 모두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먼저 앞면에는 공주 계룡산 유적으로서 갑사와 신원사, 구룡사지, 신도내 유적명을 기재하고 위치와 간단한 설명을 해 두었다. 또 뒷면에는 상단부에 인조파천이라하여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공주에 오기까지의 여정에 관한 사항을 정리해…

등록번호|50001153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지도 및 천황봉 지명에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도와 천황봉 지명에 대한 자필 메모이다. 메모에 기재한 지도는 5만분의 1 축척에 해당하는 공주지도로, 대정 3년(1914년) 측량되었고, 소화 3년(1928년) 제2회 수정측량을 거친 지도였다. 그 아래 천황봉, 쌀개봉, 연천봉 등의 메모와 각 지명별 의미, 내력, 그리고 고시일자 등의 사항이 메모된 것으로 보아, 지도를…

등록번호|50001153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의 역사 및 고적지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역사와 고적에 관한 기록이다. 내용은 8개 항목으로 구분지었으며, 간략한 내용을 덧붙여 기록하였다. 그 8개 유적은 1. 상신리 용산구곡 2. 창벽 3. 갑사 4. 계룡 5. 효포 향덕비 6. 박물관, 산성공원 7. 왕릉 8. 곰나루 이다.

등록번호|50001153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지명작명시 주의사항, 정지산 발굴 등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여러주제의 메모이다. 우선 첫번째 면에는 지명작명시 주의사항에 대해 기재해 두었다. 이에 대해 4가지를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일반인에게 숙지되어야 하고, 옛 지명을 가급적 복원해야 하며, 상징성이 있어야 하고, 가급적 우리말로 작명해야 한다고 기록해 두었다. 두번째 면에는 정지산 유적 발굴, 셋째 면에는 양직공도, 넷째 면에는…

등록번호|50001153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시 '목수(牧竪)'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당나라 시인 최도융의 한시 의 본문과 그 주석이다. 우측에는 한시의 본문이 적혀있으며 좌측에는 그와는 무관한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는데 한시와 기록의 전문은 아래와 같다. 牧竪持蓑笠 목동은 도롱이와 삿갓을 걸쳤는데, 逢人氣傲然 사람을 만나면 그 기색이 당당하구나. 臥牛吹短笛 소 등에 누워 작은 피리를…

등록번호|50001153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도공 이삼평 기념비 건립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이삼평 기념비 건립을 앞두어 일고하며 자필로 적은 기록이다. 윤용혁 교수의 화두와 함께 이삼평은 과연 공주 사람인가에 대한 고증을 살폈다. 메모의 본문은 3개의 단락으로 구분되었는데, 1. 동기: 일 비문에 1990년 건립한 연기군 이풍용 씨 역사 왜곡 문제 2. 종래의 기념비의 문구는 수정하는 것이 최상이다. 3. 비문의 내용을 바꾸는…

등록번호|50001153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윤여헌의 공주지역사 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2)

범위와내용|이 메모는 2016년 9월 간행된 윤여헌 교수의 공주지역사연구 회고록 책의 서문를 자필로 작성한 초고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이 글들은 우리 고장에 대하여 평소 필자가 발견했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우리고장 공주는 백제 웅진시대의 서울이었을 뿐 아니라, 고려조 조선조에 지방 행정의 중심지로서 애환을 같이 했었다. 그 가운데서도 삼대조에…

등록번호|500011532

생산일자|2016년(추정)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한시 <웅진도>, <쌍수정> 및 윤여헌의 공주지역사회고록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서문 초고 (1)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고려조 말기의 인물인 강호문의 한시 '웅진도'와 홍량호의 한시 '쌍수정'이다. 한시의 본문은 아래와 같다. [웅진도] 江水茫茫入海流 강물은 아득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靑山影裏一扁舟 청산의 그림자 가운데 일엽편주 가려지네. 百年南北人多事 백 년의 세월 남북으로 사람은 일이 많건마는, 只有沙鷗得自由 그저 모래톱의…

등록번호|500011531

생산일자|2016년(추정)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석하 김창수(石霞 金昌洙)의 한시이다. 같은 한시가 세 번 반복되어 적혀 있다. 본시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南湖泗沘此江流 남호의 사비는 이 강에 흐르고 있나니, 秀嶂奇岩別遠洲 솟아오른 산봉우리 기이한 바위는 별천지의 풍경일세. 瑤瑟無聲彩舞歇 고운 거문고는 소리 없이 춤사위를 채색하고, 獨憐孤月在渙舟 고독한 마음 외로운…

등록번호|50001153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전설마을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제1집 우성면 부전동, 제2집 국동리 산신제, 제4집 장기면 세천리, 제6집 계룡면 내흥리, 제8집 정안면 월산리가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영천사의 무릉동천, 영천복지, 곽영담과 같은 지명이 기록되어 있다. 후면에는 보림사, 와선대, 무릉동천, 영천복지, 곽영담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2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정려에 대한 설명과 의의에 이어, 효자 향덕(向德)을 향덕이 아닌 상덕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제언이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백제삼서(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가 적혀있으며, 뒷면에는 일정표가 미완으로 남아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2001년…

등록번호|50001152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의 역사서 목록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의 역사서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은데, 우선 메모의 중앙에 1. 공산지 을미(1859년)간행, 안사 김응근 서문 있음 2. 공산지 서병호 발행 1922(임술)간행 충남지사 서문 3. 충남향토지 1935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 간행 4. 공주군지, 이계철 편, 1957년 간행 5. 백제고도…

등록번호|50001152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감영의 이영(移營)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감영 이영 관련' 메모이다. 이 메모는 공주(충청)감영고 작성을 위해 초기단계에 작성한 메모로 추정된다. 기록은 총 6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2면에서는 이영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3면에서는 이영 사유를 다루고 있다. 4-5면에서는 포정사의 의의와 충청감사 유근이 재임하던 시기에 대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다. 6면은…

등록번호|50001152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웅진백제의 중국남조와의 관계에 관한 메모이다. 기록에서는 남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자기와 청자양형기, 전문도기를 제시하였으며, 웅진 백제시대에 남조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개략적으로 기록해 두었다.

등록번호|50001152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취리산 삼국회맹지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취리산 삼국회맹지 관련 메모이다. 삼국사기의 문무왕조를 인용하여 취리산에서 삼국이 회맹하였다는 사실을 적어두었으며, 후면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갈등 요인, 그리고 웅진도독부의 설치와 전후의 참상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공주시에서 발행한 메모지로, 상단 중앙에 공주시 CI가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1152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개인
  • 문서류
  • 현대
  • 문서류>메모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