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463
-
- 형태분류
-
-
- 문서류 463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8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7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6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5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1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22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현재의 중앙공원에서 내려다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등록번호500008218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마곡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등록번호500008216 생산일자1929.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재학생이 직접 자랑하는 모교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신입생 모집을 위한 공고 중 실제 재학생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학교 홍보용지이다. 자료에는 학교의 위치와 건물이 소개되고 있으며, 학교가 소재한 공주에 대한 소개도 함께 담겨있다. 등록번호500008214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제목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생도모집 공고(1941년 4월 입학대상)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1941년 4월 입학생을 대상으로한 신입생 모집 공고이다. 입학에 필요한 지원자격과 주의사항을 담고있다. 등록번호500008213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212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각 지역의 고등학교로 보낸 지원자 알선을 위한 협조 요청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1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시 오구니마치에 소재한 소국실과(小國實科) 고등여학교에 보낸 홍보지의 봉투이다. 봉투의 전면에는 공주우편국의 소인도 찍혀있고, 후면에는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이름도 인쇄되어있다. 수신처의 학교는 현재 구마모토 현립 소국고등학교로 개칭되어 운영 중이다. 등록번호500008210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등록번호500008209 생산일자1926.10.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등록번호5000082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
![]() |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 |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 |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
![]()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현재의 중앙공원에서 내려다본 사진그림엽서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
![]() |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 |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
![]() |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재학생이 직접 자랑하는 모교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신입생 모집을 위한 공고 중 실제 재학생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학교 홍보용지이다. 자료에는 학교의 위치와 건물이 소개되고 있으며, 학교가 소재한 공주에 대한 소개도 함께 담겨있다. |
![]() |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생도모집 공고(1941년 4월 입학대상)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1941년 4월 입학생을 대상으로한 신입생 모집 공고이다. 입학에 필요한 지원자격과 주의사항을 담고있다. |
![]() |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
![]() |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각 지역의 고등학교로 보낸 지원자 알선을 위한 협조 요청서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시 오구니마치에 소재한 소국실과(小國實科) 고등여학교에 보낸 홍보지의 봉투이다. 봉투의 전면에는 공주우편국의 소인도 찍혀있고, 후면에는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이름도… |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 |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
500008228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
|
500008227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
|
500008226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
|
500008225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
|
500008224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
|
500008223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
500008222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
500008220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
|
500008219 일제강점기 공주시가 중심지 엽서 |
|
500008218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
|
500008217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
500008216 마곡사 전경 엽서 |
|
500008214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재학생이 직접 자랑하는 모교 |
|
500008213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생도모집 공고(1941년 4월 입학대상) |
|
500008212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입학지원자 일문일답 |
|
500008211 1940년 공주여사범 입학지원자 알선의뢰 통지서 |
|
500008210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홍보지 봉투 |
|
500008209 일제강점기 유성천에서 바라본 계룡산 풍경 엽서 |
|
500008208 일제강점기 부강의 금강변 풍경 엽서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8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7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6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225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21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22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현재의 중앙공원에서 내려다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등록번호500008218
생산일자194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마곡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등록번호500008216
생산일자1929.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재학생이 직접 자랑하는 모교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신입생 모집을 위한 공고 중 실제 재학생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학교 홍보용지이다. 자료에는 학교의 위치와 건물이 소개되고 있으며, 학교가 소재한 공주에 대한 소개도 함께 담겨있다.
등록번호500008214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제목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 생도모집 공고(1941년 4월 입학대상)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1941년 4월 입학생을 대상으로한 신입생 모집 공고이다. 입학에 필요한 지원자격과 주의사항을 담고있다.
등록번호500008213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212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각 지역의 고등학교로 보낸 지원자 알선을 위한 협조 요청서이다.
등록번호500008211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시 오구니마치에 소재한 소국실과(小國實科) 고등여학교에 보낸 홍보지의 봉투이다. 봉투의 전면에는 공주우편국의 소인도 찍혀있고, 후면에는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이름도 인쇄되어있다. 수신처의 학교는 현재 구마모토 현립 소국고등학교로 개칭되어 운영 중이다.
등록번호500008210
생산일자1940.12.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등록번호500008209
생산일자1926.10.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등록번호5000082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