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396
-
500007854 일제강점기 공주 시가지 전경 엽서 4 |
|
500007853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
500007852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
|
50000785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
|
500007850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
|
500007849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
500007847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
|
500007846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
500007844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
|
500007843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
|
600000543 1:200,000 공주지도(1918) |
|
600000538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7 1:15,000 공주지도(1915) |
|
600000536 1:15,000 공주지도(1914) |
|
600000535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4 1:15,000 공주지도(1917) |
|
600000533 1:15,000 공주지도(1915) |
|
600000532 1:15,000 공주지도(1914) |
|
600000531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0 1:15,000 공주지도(1915) |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785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853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쉽게 금강을 건널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기도 하여 나무로 가설한 목교가 설치되었다. 엽서…
등록번호50000785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시장이 들어서 성안마을이 형성되었다. 초가지붕이 켜켜이 조성된 마을의 모습이 옛 고성과 일상생활의 대비를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785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8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847
생산일자1915.04.02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4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등록번호50000784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입은 사람과 흰색의 전통 한복 차람의 조선인의 대비가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843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범위와내용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등록번호600000543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8
생산일자1936.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7
생산일자1936.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6
생산일자1922.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5
생산일자1918.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4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3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2
생산일자1940.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1
생산일자1917.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0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