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꽃의 공주 엽서 1

제목| 꽃의 공주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15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0815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등록번호|5000081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0815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제목|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무렵,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와 비교했을 때, 불과 몇 년 사이에 듬성듬성 자리잡은 민가가 늘어 났음을 볼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으로,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곳이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병영 우영으로서…

등록번호|50000815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5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제목|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 500008153과 비교했을 때, 몇 년 사이 늘어난 수많은 민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으로,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곳이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병영 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등록번호|50000815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제목|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윗편의 제민천 하류지대에 시장 형성 이전의 제민천 저습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4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 일제강점기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산성 웅심각의 전망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산성 웅심각의 전망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 상류를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에 기반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4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등록번호|50000814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본 엽서의 특이점은 좌우가 반전된 촬영사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오늘날 사진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자신이 바라보는 것과 같이 상이 형성되지만, 당시에는 유리건판과 같이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상이 촬영되었다. 다른 엽서 속 모습은 후편집을 통해 인화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나,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0814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본 엽서의 특이점은 좌우가 반전된 촬영사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오늘날 사진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자신이 바라보는 것과 같이 상이 형성되지만, 당시에는 유리건판과 같이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상이 촬영되었다. 다른 엽서 속 모습은 후편집을 통해 인화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나, 본 자료는 그 과정이 생략되었는지 좌우가 반전된 채로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 공북루 앞 금강에서 채방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금강에서 채빙된 얼음은 가까운 공산성 잠종냉장고(舊 석빙고)에 보관되었다. 채빙 작업자 뒤로 금강을 가로지르는 배다리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1932년 사이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4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3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상수도 공급을 위한 수도저수지(정수장)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에서는 인구가 급증하자 수인성 전염병의 방지를 위한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대두했다. 따라서 일찍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시내 곳곳에 보급되었다. 엽서 속 장소는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언덕 옛 충령탑이 위치한 곳으로, 정상부근에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배수탑이 희미하게…

등록번호|5000081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의 상수도 공급을 위한 수도저수지(정수장)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에서는 인구가 급증하자 수인성 전염병의 방지를 위한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대두했다. 따라서 일찍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시내 곳곳에 보급되었다. 엽서 속 장소는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언덕 옛 충령탑이 위치한 곳으로, 정상부근에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배수탑이 희미하게 보인다.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송산리고분군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송산리고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공주고등보통학교 일본어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은 공주 곳곳의 백제유적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고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때 송산리고분군 1~6호분이 발굴되었다.

등록번호|50000813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꽃의 공주 엽서 1

꽃의 공주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1910년대 초반무렵,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와 비교했을 때, 불과 몇 년 사이에 듬성듬성 자리잡은 민가가 늘어 났음을 볼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 500008153과 비교했을 때, 몇 년 사이 늘어난 수많은 민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산성 웅심각의 전망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산성 웅심각의 전망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 상류를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에 기반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본 엽서의 특이점은 좌우가 반전된 촬영사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오늘날 사진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자신이 바라보는 것과 같이 상이 형성되지만, 당시에는 유리건판과…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공산성 공북루 앞 금강에서 채방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금강에서 채빙된 얼음은 가까운 공산성 잠종냉장고(舊 석빙고)에 보관되었다. 채빙 작업자 뒤로 금강을 가로지르는 배다리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1932년 사이의 모습으로…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의 상수도 공급을 위한 수도저수지(정수장)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에서는 인구가 급증하자 수인성 전염병의 방지를 위한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대두했다. 따라서 일찍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시내 곳곳에 보급되었다.…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송산리고분군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송산리고분군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송산리고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공주고등보통학교 일본어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은 공주 곳곳의 백제유적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고적조사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꽃의 공주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등록번호|50000815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신사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0815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등록번호|5000081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대신궁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0815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일제강점기

제목|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무렵,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와 비교했을 때, 불과 몇 년 사이에 듬성듬성 자리잡은 민가가 늘어 났음을 볼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으로,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곳이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병영 우영으로서…

등록번호|50000815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5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1
  • 일제강점기

제목|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 500008153과 비교했을 때, 몇 년 사이 늘어난 수많은 민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으로,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곳이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병영 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등록번호|50000815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2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윗편의 제민천 하류지대에 시장 형성 이전의 제민천 저습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4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4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3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814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전경 엽서 1
  • 일제강점기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산성 웅심각의 전망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 상류를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에 기반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4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등록번호|50000814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본 엽서의 특이점은 좌우가 반전된 촬영사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오늘날 사진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자신이 바라보는 것과 같이 상이 형성되지만, 당시에는 유리건판과 같이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상이 촬영되었다. 다른 엽서 속 모습은 후편집을 통해 인화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나,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0814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과 금강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광복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본 엽서의 특이점은 좌우가 반전된 촬영사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오늘날 사진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자신이 바라보는 것과 같이 상이 형성되지만, 당시에는 유리건판과 같이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상이 촬영되었다. 다른 엽서 속 모습은 후편집을 통해 인화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나, 본 자료는 그 과정이 생략되었는지 좌우가 반전된 채로 남아있다.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 공북루 앞 금강에서 채방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금강에서 채빙된 얼음은 가까운 공산성 잠종냉장고(舊 석빙고)에 보관되었다. 채빙 작업자 뒤로 금강을 가로지르는 배다리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1932년 사이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4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금강에서의 채빙작업 엽서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3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상수도 공급을 위한 수도저수지(정수장)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에서는 인구가 급증하자 수인성 전염병의 방지를 위한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대두했다. 따라서 일찍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시내 곳곳에 보급되었다. 엽서 속 장소는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언덕 옛 충령탑이 위치한 곳으로, 정상부근에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배수탑이 희미하게…

등록번호|5000081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상수도 저수지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의 상수도 공급을 위한 수도저수지(정수장)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에서는 인구가 급증하자 수인성 전염병의 방지를 위한 깨끗한 수돗물 공급이 대두했다. 따라서 일찍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시내 곳곳에 보급되었다. 엽서 속 장소는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언덕 옛 충령탑이 위치한 곳으로, 정상부근에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배수탑이 희미하게 보인다.

제목|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송산리고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공주고등보통학교 일본어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은 공주 곳곳의 백제유적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고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때 송산리고분군 1~6호분이 발굴되었다.

등록번호|50000813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