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3155
-
![]() |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등록번호600000830 생산일자191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통계자료이다. / 1. 충남 각 지역 간 거리표 / 2. 경찰통계 / 3. 기상통계 / 4. 토지통계 / 5. 호구통계 / 6. 교육통계 / 7. 종교통계 / 8. 각종 산업 통계(농업-임업-광업-수산업-상공업-금융기관) / 9.… 등록번호600000829 생산일자191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 |
제목 강구양조장 상표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의 강구양조장에서 장유(醬油)를 선전하는 광고라벨이다. 야마히사라는 업체에서 장유를 생산했는데, 그것을 판매하는 강구양조장에서 해당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단에 광고라벨을 제작한 '일동인촌주식회사'가 적혀있는데, 이 회사는 경성을 중심으로 활동한 인촌 김성수가 설립한 회사이다. 일제강점기 경성과 평양의 소주, 장유 등의… 등록번호60000074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제목 1921년 공주지도 범위와내용충청남도 공주군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충북, 경북, 전북의 일부 지역 등이 인쇄된 지도이다. 1921년 1월 15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발행했으며, 가격은 30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8253700000 등록번호600000745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
![]() |
제목 공주군 잠견매수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군농회에서 잠업을 통해 생산한 산물을 수매하기 위해 발급한 전표이다. 등록번호5000093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산업>1차 산업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의당면에 거주하는 양광정이란 인물이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매도하며 계약한 근저당권설정계약서와 부동산 목록, 경지감정서, 토지등기 일체의 문서이다. 매도인은 금성금융조합에 본인 소유의 토지를 바탕으로 일금 1,200원을 대부한 것으로 확인된다. 등록번호500009314 생산일자1944.02.0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우성면에 거주하는 강촌신일(岡村新一)이 금성금융조합을 통해 일금 270엔 상당의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계약서 일체이다. 계약서 작성을 위해 첨부한 서류로는 부동산목록과 매도증서, 저당권증서, 자작농 현황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동산목록에 따르면 계약인은 공주군 우성면 일대에 전답을 보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13 생산일자1943.08.2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31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3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주소지인 봉정동은 조선 말기 공주군 남부면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우금티 고개 너머에 위치한 장소이다. 등록번호500009307 생산일자1941.08.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제목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등록번호20005474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제목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등록번호200054745 생산일자1926.03.24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4704 생산일자1941.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정안초등학교로 남아있다. 등록번호200054957 생산일자193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정안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
![]() |
1917년 충청남도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통계자료이다. / 1. 충남 각 지역 간 거리표 / 2. 경찰통계 / 3. 기상통계 / 4. 토지통계 /… |
![]() |
1930년대 공주의 강구양조장에서 장유(醬油)를 선전하는 광고라벨이다. 야마히사라는 업체에서 장유를 생산했는데, 그것을 판매하는 강구양조장에서 해당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단에 광고라벨을 제작한 '일동인촌주식회사'가… |
![]() |
충청남도 공주군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충북, 경북, 전북의 일부 지역 등이 인쇄된 지도이다. 1921년 1월 15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발행했으며, 가격은 30전이다. /… |
![]() |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
![]() |
일제강점기 공주군농회에서 잠업을 통해 생산한 산물을 수매하기 위해 발급한 전표이다. |
![]() |
공주군 의당면에 거주하는 양광정이란 인물이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매도하며 계약한 근저당권설정계약서와 부동산 목록, 경지감정서, 토지등기 일체의 문서이다. 매도인은 금성금융조합에 본인 소유의 토지를 바탕으로 일금 1,200원을 대부한… |
![]() |
공주군 우성면에 거주하는 강촌신일(岡村新一)이 금성금융조합을 통해 일금 270엔 상당의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계약서 일체이다. 계약서 작성을 위해 첨부한 서류로는 부동산목록과 매도증서, 저당권증서, 자작농 현황 등이 수록되어 있다.… |
![]() |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
![]() |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
![]() |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
![]() |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
![]() |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
![]() |
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
![]() |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
![]() |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
![]() |
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
![]() |
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
![]() |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
![]() |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
600000830; 600000830; 600000830 1:400,000 충청남도약도 |
|
600000829; 600000829; 600000829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
|
600000748; 600000748; 600000748 강구양조장 상표 |
|
600000745; 600000745; 600000745 1921년 공주지도 |
|
600000744; 600000744; 600000744 공주조선주주조조합 누룩틀 |
|
500009315; 500009315; 500009315 공주군 잠견매수증 |
|
500009314; 500009314; 500009314 1944년 금성금융조합 부동산 계약서 |
|
500009313; 500009313; 500009313 1943년 금성금융조합 근저당권설정계약서 |
|
500009312; 500009312; 500009312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
500009311; 500009311; 500009311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
|
500009310; 500009310; 500009310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
|
500009309; 500009309; 500009309 명국삼장비 엽서 |
|
500009308; 500009308; 500009308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
|
500009307; 500009307; 500009307 1941년 공주 봉정동 경지감정서 |
|
200054746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
|
200054745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
|
200054704 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기념 사진 |
|
200054957 1937년 정안심상소학교 졸업 기념 사진 |
|
200053558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
|
200053557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등록번호600000830
생산일자191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통계자료이다. / 1. 충남 각 지역 간 거리표 / 2. 경찰통계 / 3. 기상통계 / 4. 토지통계 / 5. 호구통계 / 6. 교육통계 / 7. 종교통계 / 8. 각종 산업 통계(농업-임업-광업-수산업-상공업-금융기관) / 9.…
등록번호600000829
생산일자191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제목 강구양조장 상표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의 강구양조장에서 장유(醬油)를 선전하는 광고라벨이다. 야마히사라는 업체에서 장유를 생산했는데, 그것을 판매하는 강구양조장에서 해당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단에 광고라벨을 제작한 '일동인촌주식회사'가 적혀있는데, 이 회사는 경성을 중심으로 활동한 인촌 김성수가 설립한 회사이다. 일제강점기 경성과 평양의 소주, 장유 등의…
등록번호60000074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제목 1921년 공주지도
범위와내용충청남도 공주군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충북, 경북, 전북의 일부 지역 등이 인쇄된 지도이다. 1921년 1월 15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발행했으며, 가격은 30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8253700000
등록번호600000745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제목 공주군 잠견매수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군농회에서 잠업을 통해 생산한 산물을 수매하기 위해 발급한 전표이다.
등록번호5000093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산업>1차 산업
범위와내용공주군 의당면에 거주하는 양광정이란 인물이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매도하며 계약한 근저당권설정계약서와 부동산 목록, 경지감정서, 토지등기 일체의 문서이다. 매도인은 금성금융조합에 본인 소유의 토지를 바탕으로 일금 1,200원을 대부한 것으로 확인된다.
등록번호500009314
생산일자1944.02.0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범위와내용공주군 우성면에 거주하는 강촌신일(岡村新一)이 금성금융조합을 통해 일금 270엔 상당의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계약서 일체이다. 계약서 작성을 위해 첨부한 서류로는 부동산목록과 매도증서, 저당권증서, 자작농 현황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동산목록에 따르면 계약인은 공주군 우성면 일대에 전답을 보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13
생산일자1943.08.2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31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3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주소지인 봉정동은 조선 말기 공주군 남부면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우금티 고개 너머에 위치한 장소이다.
등록번호500009307
생산일자1941.08.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제목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등록번호20005474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제목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등록번호200054745
생산일자1926.03.24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4704
생산일자1941.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정안초등학교로 남아있다.
등록번호200054957
생산일자193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정안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