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929
-
![]() |
범위와내용공주지방법원에서 조선총독부 판사 和田四郞가 선고한 피고인들의 명단과 주문, 선고 이유서가 수기로 적혀있다. 공주군 공주면의 예수회 목사 현 석칠(39세)를 비롯하여 영명학교의 교사와 학생 등 젊은 2~30대의 18인이 보안법 위반으로 평균 징역 1년씩을 선고받는다. 선고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피고 김관회는 대정 8년(1919년) 3월 24일 오후 9시… 등록번호500011028 생산일자1919.08.2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농촌활동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농촌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농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사이로 군복을 입고 지켜보는 교사의 모습이 눈에 띈다. 등록번호200061970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신사에 참배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당시에는 주 1~2회 강제로 신사참배를 하여야 했다. 등록번호20006196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일제강점기 성국거민목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나무로 만들어진 일본도(목검)로 군사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61968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수업과 분열식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칠판에 쓰여 있는 일본어가 눈에 띄며, 분열식은 학생들이 각을 맞추어 걷고 있다. 등록번호200061967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일제강점기 군사훈련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군사제식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61966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한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졸업식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61964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 중이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교기와 당시 교장 그리고 학교 교사의 전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6195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산지 합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을 월당 선생께서 정사년(1977)년에… 등록번호100019739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조선총독부 편제 소화19년(윤년 갑신) 약력(略歷) 범위와내용1943년 12월에 조선총독부 기상대에서 편찬 및 발행하고 조선서적인쇄주식회에서 인쇄한 '소화 19년(1944년) 약력서'이다. 가장 첫 페이지에는 일본의 신문천황제와 같은 중요 기제일이 범례와 함께 기재되어 있으며, 그 뒤에 1월부터 12월까지 약력(略歷)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018 생산일자1943.12.08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41년도에 간행된 『소화 16년도 공주읍 읍세일반』 은 당대 공주읍의 생활상을 자세하게 담고 있다. 전체 구성은 16장인데 제1장 위치, 제2장 지세, 제3장 연혁, 제4장 위치 및 면적, 제5장 기후, 제6장 호구, 제7장 읍, 제8장 관공서학교단체, 제9장 읍재정, 제10장 읍영사업, 제11장 종교, 제12장 사회사업, 제13장 위생, 제14장… 등록번호100019017 생산일자1944년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5717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716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공주지방법원에서 조선총독부 판사 和田四郞가 선고한 피고인들의 명단과 주문, 선고 이유서가 수기로 적혀있다. 공주군 공주면의 예수회 목사 현 석칠(39세)를 비롯하여 영명학교의 교사와 학생 등 젊은 2~30대의 18인이 보안법 위반으로… |
![]() |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농촌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농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사이로 군복을 입고 지켜보는 교사의 모습이 눈에 띈다. |
![]() |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신사에 참배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당시에는 주 1~2회 강제로 신사참배를 하여야 했다. |
![]() |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나무로 만들어진 일본도(목검)로 군사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
![]() |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수업과 분열식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칠판에 쓰여 있는 일본어가 눈에 띄며, 분열식은 학생들이 각을 맞추어 걷고… |
![]() |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군사제식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
![]() |
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한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졸업식 사진이다. |
![]() |
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 중이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교기와 당시 교장 그리고 학교 교사의 전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을 월당 선생께서 정사년(1977)년에… |
![]() |
1943년 12월에 조선총독부 기상대에서 편찬 및 발행하고 조선서적인쇄주식회에서 인쇄한 '소화 19년(1944년) 약력서'이다. 가장 첫 페이지에는 일본의 신문천황제와 같은 중요 기제일이 범례와 함께 기재되어 있으며, 그 뒤에… |
![]() |
1941년도에 간행된 『소화 16년도 공주읍 읍세일반』 은 당대 공주읍의 생활상을 자세하게 담고 있다. 전체 구성은 16장인데 제1장 위치, 제2장 지세, 제3장 연혁, 제4장 위치 및 면적, 제5장 기후, 제6장 호구, 제7장 읍,… |
![]() |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
![]()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
![]()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
![]()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
![]()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
![]() |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
500011028 영명학교 김관회 등의 독립시위운동에 대한 판결문 |
|
200061970 농촌활동 |
|
200061969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
|
200061968 일제강점기 성국거민목식 |
|
200061967 일제강점기의 수업과 분열식 |
|
200061966 일제강점기 군사훈련 |
|
200061964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기념 |
|
200061959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교기와 교장, 교사전경 |
|
200059373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3) |
|
200059372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2) |
|
200059371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1) |
|
100019739 공산지 합본 |
|
100019018 조선총독부 편제 소화19년(윤년 갑신) 약력(略歷) |
|
100019017 소화19년도 공주읍 읍세일반 |
|
200057170; 200057170; 20005717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
|
200057169; 200057169; 20005716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
|
200057168; 200057168; 200057168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
|
200057167; 200057167; 200057167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
|
200057166; 200057166; 200057166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
|
200057165; 200057165; 200057165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
범위와내용공주지방법원에서 조선총독부 판사 和田四郞가 선고한 피고인들의 명단과 주문, 선고 이유서가 수기로 적혀있다. 공주군 공주면의 예수회 목사 현 석칠(39세)를 비롯하여 영명학교의 교사와 학생 등 젊은 2~30대의 18인이 보안법 위반으로 평균 징역 1년씩을 선고받는다. 선고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피고 김관회는 대정 8년(1919년) 3월 24일 오후 9시…
등록번호500011028
생산일자1919.08.2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농촌활동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농촌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농활을 하고 있는 학생들 사이로 군복을 입고 지켜보는 교사의 모습이 눈에 띈다.
등록번호200061970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학생들이 신사에 참배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당시에는 주 1~2회 강제로 신사참배를 하여야 했다.
등록번호20006196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성국거민목식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나무로 만들어진 일본도(목검)로 군사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61968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수업과 분열식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칠판에 쓰여 있는 일본어가 눈에 띄며, 분열식은 학생들이 각을 맞추어 걷고 있다.
등록번호200061967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군사훈련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군사제식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61966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한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졸업식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61964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시절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 중이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의 교기와 당시 교장 그리고 학교 교사의 전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6195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산지 합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을 월당 선생께서 정사년(1977)년에…
등록번호100019739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총류>시,군지
제목 조선총독부 편제 소화19년(윤년 갑신) 약력(略歷)
범위와내용1943년 12월에 조선총독부 기상대에서 편찬 및 발행하고 조선서적인쇄주식회에서 인쇄한 '소화 19년(1944년) 약력서'이다. 가장 첫 페이지에는 일본의 신문천황제와 같은 중요 기제일이 범례와 함께 기재되어 있으며, 그 뒤에 1월부터 12월까지 약력(略歷)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018
생산일자1943.12.08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41년도에 간행된 『소화 16년도 공주읍 읍세일반』 은 당대 공주읍의 생활상을 자세하게 담고 있다. 전체 구성은 16장인데 제1장 위치, 제2장 지세, 제3장 연혁, 제4장 위치 및 면적, 제5장 기후, 제6장 호구, 제7장 읍, 제8장 관공서학교단체, 제9장 읍재정, 제10장 읍영사업, 제11장 종교, 제12장 사회사업, 제13장 위생, 제14장…
등록번호100019017
생산일자1944년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5717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716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