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297건

제목| 공주의 전통마을 06

범위와내용|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부곡리의 인구/마을 조직/산업/교통 = 16 부곡리의 땅이름 = 22 마을 신앙과 국사봉 = 24 산제당과 산신제…

등록번호|100000037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 마을 = 77 분청사기와 맺은 인연, 아랫사기소 '인화분청 축제' = 80 온천리의 석천 샘 우물제 = 82 전해오는 온천리의 마을민속 = 84 공생하며 살아 온 지혜 = 85 4계절 행사 가득한 축제의 마을 = 87 공주시 5도 2촌의 선도마을 = 89 청백리 설봉의 마을 : 의당면 도신리/이걸재[공주시청] = 93 지리저 여견과 지명의 유래 = 95 청백리 설봉(雲峰) 강배련(姜百련)과 도신리 = 99 도자기와

제목| 공주의 전통마을 06

범위와내용|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부곡리의 인구/마을 조직/산업/교통 = 16 부곡리의 땅이름 = 22 마을 신앙과 국사봉 = 24 산제당과 산신제…

등록번호|100000036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 마을 = 77 분청사기와 맺은 인연, 아랫사기소 '인화분청 축제' = 80 온천리의 석천 샘 우물제 = 82 전해오는 온천리의 마을민속 = 84 공생하며 살아 온 지혜 = 85 4계절 행사 가득한 축제의 마을 = 87 공주시 5도 2촌의 선도마을 = 89 청백리 설봉의 마을 : 의당면 도신리/이걸재[공주시청] = 93 지리저 여견과 지명의 유래 = 95 청백리 설봉(雲峰) 강배련(姜百련)과 도신리 = 99 도자기와

제목|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계의 검토

범위와내용|머리말 一. 百濟王系에 對한 異說의 檢討 1. 5世紀 百濟王系에 대한 問題點 2. 19代 久尓辛王과 20代 毗有王과의 관계 3. 21代 盖鹵王과 22代 文周王과의 관계 4. 24代 東城王과 25代 武寧王과의 관계 二. 《三國史記》百濟王系 生成의 背景 맺음말

등록번호|100012421

생산일자|198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머리말 一. 百濟王系에 對한 異說의 檢討 1. 5世紀 百濟王系에 대한 問題點 2. 19代 久尓辛王과 20代 毗有王과의 관계 3. 21代 盖鹵王과 22代 文周王과의 관계 4. 24代 東城王과 25代 武寧王과의 관계 二. 《三國史記》百濟王系 生成의 背景 맺음말

제목| 공주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Ⅱ. 발굴조사된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 8 1. 임류각지 = 8 2. 추정왕궁지 = 12 3. 서문지후면 초석 건물지 = 17 4. 28칸 건물지 = 19 5. 12각 건물지1 = 21 6. 12각 건물지2 = 22 7. 12칸 건물지 = 24 8. 만아루지 = 25 9. 중군영지 =…

등록번호|100000682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Ⅱ. 발굴조사된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 8 1. 임류각지 = 8 2. 추정왕궁지 = 12 3. 서문지후면 초석 건물지 = 17 4. 28칸 건물지 = 19 5. 12각 건물지1 = 21 6. 12각 건물지2 = 22 7. 12칸 건물지 = 24 8. 만아루지 = 25 9. 중군영지 = 26 Ⅲ. 공산성내 건물지 기단부 분석 = 30 1. 기단석의 축조방향 : 편축기단과 협축기단

제목| 백제 문화의 원형

범위와내용|들어가며: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총론 = 15 제1부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개념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필요성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현황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전망 = 24 (2) 백제 음원 재현 및 콘텐츠 개발사업의…

등록번호|100011556

생산일자|200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들어가며: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총론 = 15 제1부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개념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필요성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현황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전망 = 24 (2) 백제 음원 재현 및 콘텐츠 개발사업의 추진 배경 = 25 백제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개요 = 25 백제 음원

제목| 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

등록번호|100000998

생산일자|201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제목|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범위와내용|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表井里 支石墓 = 14 7) 表井里 立石 = 15 2. 古墳遺蹟 = 15 1) 菊谷里 古墳群 = 15 2) 점골 古墳群 =…

등록번호|100000434

생산일자|199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淑眞里 古墳 = 16 7) 德巖里 古墳 = 17 8) 表井里 古墳群 = 17 9) 음절 古墳群 = 18 10) 香芝里 古墳 = 19 3. 佛敎遺蹟 = 19 1) 山鶴里 寺址 = 19 2) 鳳谷里 寺址 = 19 3) 九龍 寺址 = 20 4) 정골 逸名 寺址 石塔材 = 22 5) 東鶴里 = 22 6) 文殊庵址 = 33 7) 전각골 逸名寺址 = 34 8) 전각골 金石文 = 34 9) 淸凉寺址 = 34 10) 직멸 절터 = 35 11) 간이적골 石塔材

제목|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범위와내용|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表井里 支石墓 = 14 7) 表井里 立石 = 15 2. 古墳遺蹟 = 15 1) 菊谷里 古墳群 = 15 2) 점골 古墳群 =…

등록번호|100000433

생산일자|199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淑眞里 古墳 = 16 7) 德巖里 古墳 = 17 8) 表井里 古墳群 = 17 9) 음절 古墳群 = 18 10) 香芝里 古墳 = 19 3. 佛敎遺蹟 = 19 1) 山鶴里 寺址 = 19 2) 鳳谷里 寺址 = 19 3) 九龍 寺址 = 20 4) 정골 逸名 寺址 石塔材 = 22 5) 東鶴里 = 22 6) 文殊庵址 = 33 7) 전각골 逸名寺址 = 34 8) 전각골 金石文 = 34 9) 淸凉寺址 = 34 10) 직멸 절터 = 35 11) 간이적골 石塔材

제목|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등록번호|100000681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총론(혼합)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14 2. 문화관 16 3. 국가관 19 4. 사회관 22 5. 정서적 영역 25 Ⅳ. 공주와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등록번호|10002016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세계의 역사도시 古都를 가다 23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교토 | 이상원 공주 이야기

제목|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12,0 4. 頭枕(王妃)·木鳥(Wooden head-rest) = ,14,0 5. 足座(Foot-rest) =…

등록번호|100000596

생산일자|198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총론(혼합)

  • (Pottery Jar with Stand) = ,79,0 85. 陶棺(Ceramic Coffin) = ,79,0 86. 土器壺(Pottery Jar) = ,86,0 87. 異形土器壺(Pottery Fancy Jar) = ,81,0 88. 把手附土器(Pottery Jar with Handle) = ,81,0 89. 土器壺(Pottery Jar) = ,81,0 90. 三足土器(Pottery Tripod Vessels) = ,81,0 91. 異形土器壺

제목|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12,0 4. 頭枕(王妃)·木鳥(Wooden head-rest) = ,14,0 5. 足座(Foot-rest) =…

등록번호|100000595

생산일자|198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총론(혼합)

  • (Pottery Jar with Stand) = ,79,0 85. 陶棺(Ceramic Coffin) = ,79,0 86. 土器壺(Pottery Jar) = ,86,0 87. 異形土器壺(Pottery Fancy Jar) = ,81,0 88. 把手附土器(Pottery Jar with Handle) = ,81,0 89. 土器壺(Pottery Jar) = ,81,0 90. 三足土器(Pottery Tripod Vessels) = ,81,0 91. 異形土器壺

제목| 남혈사지

범위와내용|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등록번호|100000763

생산일자|1993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26 7) 第7建物址 = 27 Ⅳ. 遺物 = 32 1. 土·磁器類 = 32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2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1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제57회 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 36 2. 백제문화제의 연혁 = 36 제2장 조직과 지원체계 제1절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재단법인 설립 =…

등록번호|100008979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74 제3장 제57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 제1절 백제문화의 현주소와 개최배경 = 85 1. 백제문화의 현주소 = 85 2. 개최배경 = 86 3. 추진경과 = 87 제2절 행사개요 및 개최방향 = 87 1. 행사개요 = 87 2. 개최방향 및 목표 = 87 3. 운영체계 및 현황 = 88 4. 대표 프로그램 운영 = 94 5. 분야별 홍보계획 = 97 6. 수익사업 추진

제목| 제57회 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 36 2. 백제문화제의 연혁 = 36 제2장 조직과 지원체계 제1절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재단법인 설립 =…

등록번호|100000938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74 제3장 제57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 제1절 백제문화의 현주소와 개최배경 = 85 1. 백제문화의 현주소 = 85 2. 개최배경 = 86 3. 추진경과 = 87 제2절 행사개요 및 개최방향 = 87 1. 행사개요 = 87 2. 개최방향 및 목표 = 87 3. 운영체계 및 현황 = 88 4. 대표 프로그램 운영 = 94 5. 분야별 홍보계획 = 97 6. 수익사업 추진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제목|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범위와내용|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등록번호|10001906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공주의 두레 소리 = 130 / 공주의 두레 농기 = 151 / 두레 싸움 = 158

제목| 공주와 동학농민혁명

범위와내용|머리말 = 4 1부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박맹수 = 9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11 1. 교조신원운동 단계 = 12 2. 사발통문 모의와 고부농민봉기 단계 = 15 3. 제1차 기포 단계 = 17 4. 전주화약과 집강소 통치 단계 = 18 5. 제2차 기포 단계 = 19 6. 농민군 진압 및…

등록번호|100000152

생산일자|20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머리말 = 4 1부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박맹수 = 9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11 1. 교조신원운동 단계 = 12 2. 사발통문 모의와 고부농민봉기 단계 = 15 3. 제1차 기포 단계 = 17 4. 전주화약과 집강소 통치 단계 = 18 5. 제2차 기포 단계 = 19 6. 농민군 진압 및 학살단계 = 22 7. 동학농민혁명의 지방사적 전개 = 23 8. 농민군학살과

제목|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내용|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등록번호|100012354

생산일자|2012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무령왕릉

  • = 66 3. 망국의 한을 품고 웅진으로 = 69 4. 왕족들의 피로 얼룩진 웅진 = 71 5. 비로소 재기하는 백제 = 73 |sb| 백제국의 사신이 그려진 (梁職貢圖) = 78 |sb| 한ㆍ일 고고학의 뜨거운 논쟁,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 = 80 제4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사회 풍습 1. 묘지와 매지권 = 84 두 장의 석판이 전해 준 진실 = 84 묘지인가 매지권인가? = 86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297건

공주의 전통마을 06

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

공주의 전통마을 06

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계의 검토

머리말 一. 百濟王系에 對한 異說의 檢討 1. 5世紀 百濟王系에 대한 問題點 2. 19代 久尓辛王과 20代 毗有王과의 관계 3. 21代 盖鹵王과 22代 文周王과의 관계 4. 24代 東城王과 25代 武寧王과의 관계 二.…

공주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Ⅱ. 발굴조사된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 8 1. 임류각지 = 8 2. 추정왕궁지 = 12 3. 서문지후면 초석 건물지 = 17 4. 28칸 건물지 = 19 5. 12각…

백제 문화의 원형

들어가며: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총론 = 15 제1부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개념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필요성 = 22 문화원형…

백제 사원유적 탐색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남혈사지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

소라실 장승제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소라실 장승제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제57회 백제문화제

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제57회 백제문화제

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공주와 동학농민혁명

머리말 = 4 1부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박맹수 = 9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11 1. 교조신원운동 단계 = 12 2. 사발통문 모의와 고부농민봉기 단계 = 15 3. 제1차 기포 단계 =…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297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297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297건

제목| 공주의 전통마을 06

범위와내용|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부곡리의 인구/마을 조직/산업/교통 = 16 부곡리의 땅이름 = 22 마을 신앙과 국사봉 = 24 산제당과 산신제…

등록번호|100000037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 마을 = 77 분청사기와 맺은 인연, 아랫사기소 '인화분청 축제' = 80 온천리의 석천 샘 우물제 = 82 전해오는 온천리의 마을민속 = 84 공생하며 살아 온 지혜 = 85 4계절 행사 가득한 축제의 마을 = 87 공주시 5도 2촌의 선도마을 = 89 청백리 설봉의 마을 : 의당면 도신리/이걸재[공주시청] = 93 지리저 여견과 지명의 유래 = 95 청백리 설봉(雲峰) 강배련(姜百련)과 도신리 = 99 도자기와

제목| 공주의 전통마을 06

범위와내용|발간사 : 정재욱[공주문화원장] = 2 청정장수마을로 거듭나는 천탑마을 : 사곡면 부곡리/장길수[봉황중학교 교장] = 11 부곡리의 자연환경 = 13 부곡리의 마을연혁 = 15 부곡리의 또다른 이름 - 고비을 = 16 부곡리의 인구/마을 조직/산업/교통 = 16 부곡리의 땅이름 = 22 마을 신앙과 국사봉 = 24 산제당과 산신제…

등록번호|100000036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총론(혼합)

  • 마을 = 77 분청사기와 맺은 인연, 아랫사기소 '인화분청 축제' = 80 온천리의 석천 샘 우물제 = 82 전해오는 온천리의 마을민속 = 84 공생하며 살아 온 지혜 = 85 4계절 행사 가득한 축제의 마을 = 87 공주시 5도 2촌의 선도마을 = 89 청백리 설봉의 마을 : 의당면 도신리/이걸재[공주시청] = 93 지리저 여견과 지명의 유래 = 95 청백리 설봉(雲峰) 강배련(姜百련)과 도신리 = 99 도자기와

제목|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계의 검토

범위와내용|머리말 一. 百濟王系에 對한 異說의 檢討 1. 5世紀 百濟王系에 대한 問題點 2. 19代 久尓辛王과 20代 毗有王과의 관계 3. 21代 盖鹵王과 22代 文周王과의 관계 4. 24代 東城王과 25代 武寧王과의 관계 二. 《三國史記》百濟王系 生成의 背景 맺음말

등록번호|100012421

생산일자|198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머리말 一. 百濟王系에 對한 異說의 檢討 1. 5世紀 百濟王系에 대한 問題點 2. 19代 久尓辛王과 20代 毗有王과의 관계 3. 21代 盖鹵王과 22代 文周王과의 관계 4. 24代 東城王과 25代 武寧王과의 관계 二. 《三國史記》百濟王系 生成의 背景 맺음말

제목| 공주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Ⅱ. 발굴조사된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 8 1. 임류각지 = 8 2. 추정왕궁지 = 12 3. 서문지후면 초석 건물지 = 17 4. 28칸 건물지 = 19 5. 12각 건물지1 = 21 6. 12각 건물지2 = 22 7. 12칸 건물지 = 24 8. 만아루지 = 25 9. 중군영지 =…

등록번호|100000682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Ⅱ. 발굴조사된 공산성내 건물지 검토 = 8 1. 임류각지 = 8 2. 추정왕궁지 = 12 3. 서문지후면 초석 건물지 = 17 4. 28칸 건물지 = 19 5. 12각 건물지1 = 21 6. 12각 건물지2 = 22 7. 12칸 건물지 = 24 8. 만아루지 = 25 9. 중군영지 = 26 Ⅲ. 공산성내 건물지 기단부 분석 = 30 1. 기단석의 축조방향 : 편축기단과 협축기단

제목| 백제 문화의 원형

범위와내용|들어가며: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총론 = 15 제1부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개념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필요성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현황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전망 = 24 (2) 백제 음원 재현 및 콘텐츠 개발사업의…

등록번호|100011556

생산일자|200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들어가며: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총론 = 15 제1부 백제문화원형의 콘텐츠화 (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개념 = 21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필요성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현황 = 22 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의 전망 = 24 (2) 백제 음원 재현 및 콘텐츠 개발사업의 추진 배경 = 25 백제문화원형 콘텐츠화 사업개요 = 25 백제 음원

제목| 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

등록번호|100000998

생산일자|201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제목|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범위와내용|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表井里 支石墓 = 14 7) 表井里 立石 = 15 2. 古墳遺蹟 = 15 1) 菊谷里 古墳群 = 15 2) 점골 古墳群 =…

등록번호|100000434

생산일자|199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淑眞里 古墳 = 16 7) 德巖里 古墳 = 17 8) 表井里 古墳群 = 17 9) 음절 古墳群 = 18 10) 香芝里 古墳 = 19 3. 佛敎遺蹟 = 19 1) 山鶴里 寺址 = 19 2) 鳳谷里 寺址 = 19 3) 九龍 寺址 = 20 4) 정골 逸名 寺址 石塔材 = 22 5) 東鶴里 = 22 6) 文殊庵址 = 33 7) 전각골 逸名寺址 = 34 8) 전각골 金石文 = 34 9) 淸凉寺址 = 34 10) 직멸 절터 = 35 11) 간이적골 石塔材

제목| 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

범위와내용|목차 發刊辭 序 Ⅰ. 머리말 = 11 Ⅱ. 遺蹟과 遺物 槪要 1. 先史遺蹟 = 12 1) 石壯里 舊石器遺蹟 = 12 2) 菊谷里 支石墓 = 13 3) 菊谷里 立石 = 13 4) 上신里 立石 = 14 5) 香芝里 立石 = 14 6) 表井里 支石墓 = 14 7) 表井里 立石 = 15 2. 古墳遺蹟 = 15 1) 菊谷里 古墳群 = 15 2) 점골 古墳群 =…

등록번호|100000433

생산일자|199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淑眞里 古墳 = 16 7) 德巖里 古墳 = 17 8) 表井里 古墳群 = 17 9) 음절 古墳群 = 18 10) 香芝里 古墳 = 19 3. 佛敎遺蹟 = 19 1) 山鶴里 寺址 = 19 2) 鳳谷里 寺址 = 19 3) 九龍 寺址 = 20 4) 정골 逸名 寺址 石塔材 = 22 5) 東鶴里 = 22 6) 文殊庵址 = 33 7) 전각골 逸名寺址 = 34 8) 전각골 金石文 = 34 9) 淸凉寺址 = 34 10) 직멸 절터 = 35 11) 간이적골 石塔材

제목|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등록번호|100000681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총론(혼합)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14 2. 문화관 16 3. 국가관 19 4. 사회관 22 5. 정서적 영역 25 Ⅳ. 공주와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등록번호|10002016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세계의 역사도시 古都를 가다 23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교토 | 이상원 공주 이야기

제목|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12,0 4. 頭枕(王妃)·木鳥(Wooden head-rest) = ,14,0 5. 足座(Foot-rest) =…

등록번호|100000596

생산일자|198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총론(혼합)

  • (Pottery Jar with Stand) = ,79,0 85. 陶棺(Ceramic Coffin) = ,79,0 86. 土器壺(Pottery Jar) = ,86,0 87. 異形土器壺(Pottery Fancy Jar) = ,81,0 88. 把手附土器(Pottery Jar with Handle) = ,81,0 89. 土器壺(Pottery Jar) = ,81,0 90. 三足土器(Pottery Tripod Vessels) = ,81,0 91. 異形土器壺

제목| 공주박물관도록 : 공주박물관과 공주의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표지 = ,1,0 표제지 = ,2,0 序 / 崔淳雨 = ,4,0 目次(CONTENTS) = ,5,0 1. 石獸(Stone Animal-guardian) = ,10,0 2, 3. 買地券(Stone Epitaph-plaque) = ,12,0 4. 頭枕(王妃)·木鳥(Wooden head-rest) = ,14,0 5. 足座(Foot-rest) =…

등록번호|100000595

생산일자|198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총론(혼합)

  • (Pottery Jar with Stand) = ,79,0 85. 陶棺(Ceramic Coffin) = ,79,0 86. 土器壺(Pottery Jar) = ,86,0 87. 異形土器壺(Pottery Fancy Jar) = ,81,0 88. 把手附土器(Pottery Jar with Handle) = ,81,0 89. 土器壺(Pottery Jar) = ,81,0 90. 三足土器(Pottery Tripod Vessels) = ,81,0 91. 異形土器壺

제목| 남혈사지

범위와내용|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등록번호|100000763

생산일자|1993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26 7) 第7建物址 = 27 Ⅳ. 遺物 = 32 1. 土·磁器類 = 32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2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1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제57회 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 36 2. 백제문화제의 연혁 = 36 제2장 조직과 지원체계 제1절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재단법인 설립 =…

등록번호|100008979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74 제3장 제57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 제1절 백제문화의 현주소와 개최배경 = 85 1. 백제문화의 현주소 = 85 2. 개최배경 = 86 3. 추진경과 = 87 제2절 행사개요 및 개최방향 = 87 1. 행사개요 = 87 2. 개최방향 및 목표 = 87 3. 운영체계 및 현황 = 88 4. 대표 프로그램 운영 = 94 5. 분야별 홍보계획 = 97 6. 수익사업 추진

제목| 제57회 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제1장 백제문화제에 대한 이해 제1절 백제의 역사와 문화 개관 = 33 1. 백제의 건국과 흥망성쇠 = 33 2. 백제의 찬란한 문화 = 35 제2절 백제문화제 유래와 연혁 = 36 1. 백제문화제의 유래 = 36 2. 백제문화제의 연혁 = 36 제2장 조직과 지원체계 제1절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재단법인 설립 =…

등록번호|100000938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74 제3장 제57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 제1절 백제문화의 현주소와 개최배경 = 85 1. 백제문화의 현주소 = 85 2. 개최배경 = 86 3. 추진경과 = 87 제2절 행사개요 및 개최방향 = 87 1. 행사개요 = 87 2. 개최방향 및 목표 = 87 3. 운영체계 및 현황 = 88 4. 대표 프로그램 운영 = 94 5. 분야별 홍보계획 = 97 6. 수익사업 추진

제목|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범위와내용|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등록번호|10001906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공주의 두레 소리 = 130 / 공주의 두레 농기 = 151 / 두레 싸움 = 158

제목| 공주와 동학농민혁명

범위와내용|머리말 = 4 1부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박맹수 = 9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11 1. 교조신원운동 단계 = 12 2. 사발통문 모의와 고부농민봉기 단계 = 15 3. 제1차 기포 단계 = 17 4. 전주화약과 집강소 통치 단계 = 18 5. 제2차 기포 단계 = 19 6. 농민군 진압 및…

등록번호|100000152

생산일자|20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머리말 = 4 1부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박맹수 = 9 동학농민혁명과 우금티전투 = 11 1. 교조신원운동 단계 = 12 2. 사발통문 모의와 고부농민봉기 단계 = 15 3. 제1차 기포 단계 = 17 4. 전주화약과 집강소 통치 단계 = 18 5. 제2차 기포 단계 = 19 6. 농민군 진압 및 학살단계 = 22 7. 동학농민혁명의 지방사적 전개 = 23 8. 농민군학살과

제목|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내용|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등록번호|100012354

생산일자|2012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무령왕릉

  • = 66 3. 망국의 한을 품고 웅진으로 = 69 4. 왕족들의 피로 얼룩진 웅진 = 71 5. 비로소 재기하는 백제 = 73 |sb| 백제국의 사신이 그려진 (梁職貢圖) = 78 |sb| 한ㆍ일 고고학의 뜨거운 논쟁,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 = 80 제4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사회 풍습 1. 묘지와 매지권 = 84 두 장의 석판이 전해 준 진실 = 84 묘지인가 매지권인가? =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