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백제 사원유적 탐색

제목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 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분석과 기능 검토 = 57
Ⅳ. 승역의 성격 = 70
Ⅴ. 맺음말 = 75
제3장 扶餘 佳塔里寺址 百濟 石燈의 編年과 造成 位置 = 77
Ⅰ. 머리말 = 77
Ⅱ. 가탑리사지 조사 현황과 출토 유물 = 79
Ⅲ. 석등의 편년 = 82
Ⅳ. 가람배치상의 석등 위치 = 90
Ⅴ. 맺음말 = 97
제4장 益山 彌勒寺址 東·西院 僧房址의 姓格 檢討 = 99
Ⅰ. 머리말 = 99
Ⅱ. 일명 동ㆍ서원 승방지의 발굴자료 검토 = 102
Ⅲ. 승방의 의미와 구성 요소 = 107
Ⅳ. 일명 승방지 유구의 성격 = 115
Ⅴ. 맺음말 = 129
제5장 百濟寺刹의 比較 硏究 = 131
Ⅰ. 머리말 = 131
Ⅱ. 일본 사지의 가람배치와 축조기법 = 133
Ⅲ. 백제사지의 축조기법과 토목ㆍ건축기술의 일본 전파 = 157
Ⅳ. 맺음말 = 180
제2부
제1장 百濟 瓣端尖形式 蓮花文의 形式과 編年 = 187
Ⅰ. 머리말 = 187
Ⅱ.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 = 189
Ⅲ.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편년적 검토 = 204
Ⅳ. 맺음말 = 221
제2장 기와로 본 百濟 態津期의 泗沘經營 = 225
Ⅰ. 머리말 = 225
Ⅱ. 백제 웅진기 사비지역 기와유적 현황 = 227
Ⅲ. 백제 웅진기 부여지역 출토 와당 형식 및 편년 = 238
Ⅳ. 부여지역 웅진기 기와 출토 유적의 성격과 의미 = 247
Ⅴ. 맺음말 = 253
제3장 蓮花文으로 본 百濟 金銅大香爐의 製作時期 檢討 = 255
Ⅰ. 머리말 = 255
Ⅱ. 백제 금동대향로의 문양 구성 = 258
Ⅲ. 백제 금동대향로의 중판 연화문과 기타 사례 검토 = 260
Ⅳ. 중판 연화문으로 본 금동대향로의 제작시기 = 275
Ⅴ. 맺음말 = 284
제3부 寺刹建築으로 본 架構基壇의 變遷 硏究 = 291
Ⅰ. 머리말 = 291
Ⅱ. 가구기단의 축조 사례 검토 = 294
Ⅲ. 가구기단의 시기적 변천 = 330
Ⅳ. 가구기단의 건축고고학적 특성 = 355
Ⅴ. 맺음말 = 359
참고문헌 = 361
도판, 도면 인용 목록 = 373
찾아보기 = 391


유형도서/간행물류


주제역사,유적,인물


시대현대


출처개인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키워드백제; 사원; 불교


태그보기

등록번호100000998


제목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 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분석과 기능 검토 = 57
Ⅳ. 승역의 성격 = 70
Ⅴ. 맺음말 = 75
제3장 扶餘 佳塔里寺址 百濟 石燈의 編年과 造成 位置 = 77
Ⅰ. 머리말 = 77
Ⅱ. 가탑리사지 조사 현황과 출토 유물 = 79
Ⅲ. 석등의 편년 = 82
Ⅳ. 가람배치상의 석등 위치 = 90
Ⅴ. 맺음말 = 97
제4장 益山 彌勒寺址 東·西院 僧房址의 姓格 檢討 = 99
Ⅰ. 머리말 = 99
Ⅱ. 일명 동ㆍ서원 승방지의 발굴자료 검토 = 102
Ⅲ. 승방의 의미와 구성 요소 = 107
Ⅳ. 일명 승방지 유구의 성격 = 115
Ⅴ. 맺음말 = 129
제5장 百濟寺刹의 比較 硏究 = 131
Ⅰ. 머리말 = 131
Ⅱ. 일본 사지의 가람배치와 축조기법 = 133
Ⅲ. 백제사지의 축조기법과 토목ㆍ건축기술의 일본 전파 = 157
Ⅳ. 맺음말 = 180
제2부
제1장 百濟 瓣端尖形式 蓮花文의 形式과 編年 = 187
Ⅰ. 머리말 = 187
Ⅱ.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 = 189
Ⅲ.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편년적 검토 = 204
Ⅳ. 맺음말 = 221
제2장 기와로 본 百濟 態津期의 泗沘經營 = 225
Ⅰ. 머리말 = 225
Ⅱ. 백제 웅진기 사비지역 기와유적 현황 = 227
Ⅲ. 백제 웅진기 부여지역 출토 와당 형식 및 편년 = 238
Ⅳ. 부여지역 웅진기 기와 출토 유적의 성격과 의미 = 247
Ⅴ. 맺음말 = 253
제3장 蓮花文으로 본 百濟 金銅大香爐의 製作時期 檢討 = 255
Ⅰ. 머리말 = 255
Ⅱ. 백제 금동대향로의 문양 구성 = 258
Ⅲ. 백제 금동대향로의 중판 연화문과 기타 사례 검토 = 260
Ⅳ. 중판 연화문으로 본 금동대향로의 제작시기 = 275
Ⅴ. 맺음말 = 284
제3부 寺刹建築으로 본 架構基壇의 變遷 硏究 = 291
Ⅰ. 머리말 = 291
Ⅱ. 가구기단의 축조 사례 검토 = 294
Ⅲ. 가구기단의 시기적 변천 = 330
Ⅳ. 가구기단의 건축고고학적 특성 = 355
Ⅴ. 맺음말 = 359
참고문헌 = 361
도판, 도면 인용 목록 = 373
찾아보기 = 391


소장위치자료실 D-2


발행처서경문화사


생산자/생산기관조원창


생산일자2014


기증자/수집처고순영


주제분류번호01-426.6-000001


주제분류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형태분류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시대분류현대


출처분류개인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원본여부원본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물리적 특성특이사항 없음


쪽수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