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안내문, 상세 식순가 함께 행사별안내와 대회임원, 집행부서를 소개하고 공주와 부여의 고적 및 행사안내도를 수록함
1964년 공주군 교육청에서 군내 국민학교 주산경기대회에서 3등의 성적을 거둔 반포국민학교 5학년 남신현 학생에게 상장과 상품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63년 공주군농업협동조합에서 발부한 대출금이자계산서이다. 본 자료는 앞선 채용금 납입 안내장과 연관된 자료로 추정된다.
2013년 11월 7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회의자료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개최개요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보고 및 심의 안건
참고
1961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군경원호비 영수증으로, 일금 삼백삼십원을 대한군경원호회비로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1972년 정안국민학교는 개교50주년을 맞아 개교기념식 및 고 원종국회장의 공적비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정안국민학교장의 기념사로 참석자 내빈에 대한 감사와 반백년의 찬란한 역사를 자랑하는 정안국민학교의 발전을 약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공주문화원에서 1984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심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해 발송한 서면결의문과 서면결의 투표용지이다.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를 신축했는데, 해당 과정에서 공사비 지출과 관련된 계획서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당시 공사비는 2차례로 나누어 지급했으며 총액은 3,483,380원이다.
이문호의 모친 '장분희'의 초상 시 작성된 부의록이다. 첫 장에는 '계묘 11월 18일', '부의록'이 적혀있다. 본문을 보며 마을이름과 부의객의 이름, 부의품목, 수량이 적혀있다. 품목에는 돈, 계란, 백미 등이 있다. 12쪽과 20~21쪽에는 초상 시 사용된…
호남고속철도 오송분기역 결정 총력저지 범공주대책위원회 출정 준비 시민사회단체 대표자회의 결과
덕성교육과 연계한 교원양성을 위한 자연과학교육과정의 모델'을 주제로 윤세중 씨가 작성한 연구서이다. 덕성교육에 대하여, 덕성교육과 자연과학, 한국에 있어 자연과학의 현상과 문제점, 자연과학교육과정의 주요한 요소, 자연과학교육과정의 내용, 자연과학교육과정의 모델(서론,…
윤여헌이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신제 참가 인사말을 적은 것이다. 총 2장으로 단면에만 메모가 적혀 있고, 두번째 장은 이면지이다. 첫장은 무령왕 생탄제와 그 포럼에 참가하여 한 마디 할 수 있게 하여 주심에 감사한다고 시작하는 인사말이다.…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앞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방법원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충청학과 충청문화에 실린 글을 기증자가 발췌한 것이다. 이세장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였으나, 사가와 묘소는 모두 공주에 있으며 그를 존숭하는 의미에서 설치한 괴석과 괴석비 또한 공주에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머리말
2. 이세장의 생애
3. 청백리…
1962년 반포국민학교에서 서병상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반포국민학교 6개년의 전 과정을 졸업하였기에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으며, 학생 성명과 출생연도 등이 적혀있다. 상장 발행 호수가 하단에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