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를 신축했는데, 본 자료에는 신축 공사비를 모금할 방법을 계획한 내역이 담겨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4년 8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6년 9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전야제행사, 개막식, 제전, 위령제, 문화예술행사, 민속행사 등 구체적인 행사일정계획서와 함께 성화봉송식 배치도 및 대본을 수록함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집행위원명단, 행사집행기간, 행사소요예산판단, 행사개요, 20회 백제문화제의 문제점 및 대책과 집행현황을 수록함
1995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1970년대 공주군 일대에서 진행된 새마을 운동 중 밤나무 단지 조성사업이 한창인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단기 4887년(1554), 대한민국정부가 발행한 이백환권의 오분리 건국국채증서이다. 재무부장관 명의로 발행되었으며, 앞면에는 채권에 대한 이자, 원리금, 효력 등 안내사항이 기재되어 있고 후면에는 원리금상환지불액표가 기입되어 있다.
52회 백제문화제 회의 안내 공문이다. 일시, 장소, 회의내용, 참석대상이 적혀있다. 뒷장에는 백제문화제 선양위원회 명단이 첨부되어있다.
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1929년 공주면세일람편의 공주시가도
마곡사 풍마등의 모습이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로 제작되어 발행되었다.
파평 윤씨 시조부터 자신의 대인 36대까지의 직계가 적혀있다. 물리적으로 묶인 것은 아니지만 자료군으로 간주한다.
공주군 이인면 오리(현 공주시 오곡동)에 사는 이건표가 이인면사무소에 세금을 내고 받은 납세고지서이다. 세종은 토지세로서 1959년 제2기분으로 1섬(石) 3말(斗) 2되(升)를 냈다. 2叭에 24킬로그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이인면장은 박승식(朴承植)이다.
1956년 영명고등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2,3월 분의 사친회비 일금 800환을 납입하였다는 영수증이다. 영수증에는 수업료, 호국단비, 사친회비 명목이 인쇄되어 각각 기재할 수 있도록 분류하였으나 사친회비만 청구하고 납입한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1989년 우성국민학교에서 주관한 통일안보 웅변대회 지역 예선에서 귀산국민학교 6학년 1반 노은실 학생이 최우수 상장을 수여받았다.
1987년 자유탐구부문 대회에서 우성초등학교가 입상하여 공주시교육장으로부터 표창받은 은상 상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