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사학연구' 제60호, 한국사학회에서 투고한 2000년 5월 발행한 글을 프린트하여 스테이플러로 찍어서 편철한 것이다. 백제 무령왕의 출생에 관한 글이다.
한국의 역사의 개괄이 적힌 문서이다. 위에 '송 선생의 강연'이 적힌 것으로 보아 홍보글에서 추가로 알렸던 '한국의 역사'를 주제로 당시 오사카한국종합교육원부원장인 송재홍 씨가 강연한 내용의 줄거리인 것으로 추정된다.
문경현 씨의 소개가 실린 자료이다. 안타깝게도 어디에 실린 건지는 모른다.
일본국 사가현 가라쓰시 소재의 가카라시마에 무령왕 탄생기념비를 설치하는 공사의 계획안이다.
몇 가지 문서가 혼합된 문서군이다. 제1쪽~제2쪽은 가카라시마 무령왕 탄생기념비를 설치하는 공사에 관한 계획안과 그림이고, 제3쪽은 공주와 가카라시마의 결연을 주제로 한일교류의 성과를 보도한 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글이다. 제4쪽은 무령왕을 둘러싼 한일교류라는 주제로…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윤여헌 교수가 1994년 9월 9일 야마구치현 교육회관에서 강연한 글이 제1쪽부터 제9쪽까지 있고, 마지막 쪽은 이 강연을 소개한 일본 서경신문의 글이다. '윤여헌 씨(한국 공주사범대학 명예교수) 강연에 감동하다'라고 가운데 크게…
백제제25대무령왕비건립일한공동위원회 설립총회의사록이다. 2005년 1월 22일 14시부터 진행되었다.
北原白秋(기타하라 하쿠슈)의 歸去來(귀거래)라는 작품의 원본과 단어 분석, 작품의 해석이 한 쪽에 담겨있는 자료이다.
사카이 카츠하루(酒井勝治)가 윤여헌에게 일본 공주회의 해산 결정을 보낸 편지이다.
윤여헌 교수에게 안부를 묻는 편지글이다. 제53회 백제문화제의 대성공을 축하한다, 地元佐賀신문에서와 같이 퍼레이드 참가, 4대왕추모제, 무령왕릉. 국립공주박물관 등 백제문화의 대단히 일부를 보여준 한국 사람들의 두터운 인정을 기쁘게 생각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의 차례가 적힌 문건이다. 사가현립 나고야성박물관에서 열렸다. 제2쪽에는 조금의 메모가 적혀있다.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 2004 의사록 등에 대한 송부의 건이다. 포럼의 의사록 5부 및 미니기획전 팜플렛 5부를 송부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백제전 참가해주신 것에 대한 감사와 신문기사 송부의 건이다.
무령왕 교류 진제이정 실행위원회(공식번역)에서 보낸 공문들이다. 제1쪽은 2004년 3월 2일에 보낸 것으로,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에 강사로 오시는 것을 승낙하며, 프로필을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제2쪽은 2004년 4월 30일에 보낸 것으로,…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의 기록의 교정에 대한 공지문이다. 교정을 부탁하는 글이며, 교정 한 후 8월 3일까지 반송해달라는 내용이다.
무령왕과 백제문화'라는 제명의 교재용 자료이다. 무령왕의 출생에 대한 3가지 설, 무령왕의 신체, 일본과의 교류, 부장품을 중심으로 한 무령왕과 백제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자료가 제1쪽부터 제7쪽까지 있으며, 제8쪽은 '무령왕교류진제이정실행위원회'의 자료를 인용해…
무령왕과 백제(문화)'라는 제명의 교재용 자료이다. 무령왕의 출생에 대한 3가지 설, 무령왕의 신체, 일본과의 교류, 부장품을 중심으로 한 무령왕과 백제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자료가 제1쪽부터 제5쪽까지 있다. 제명의 '문화'라는 글자는 수정테이프로 지워져 있다.
2004년 당시 공주시장 오영희 씨가 '무령왕을 통한 한일문화교류의 증진을 기대하면서'라는 제목 아래 일본측에 보내려는 서신의 초안으로 보인다. [근거] 윤여헌 교수가 글에 대해 퇴고를 봐 준 흔적이 있다.
파평 윤씨 세계도이다. [근거] 창세(참판공)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검색해보니 파평 윤씨 노종파 윤창세 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