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에서 발행한 문서로, 토지소유이전 문제에 대한 건으로 법원 출두 명령을 요구하는 기일호출장이다.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1991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 Soft의 방명록이다. 당시 학교 총장님인 안승주 총장님의 친필이 수록되어 있다.
공주의료원노조 솔선실천캠페인 활동기사와 공주의료원 부정부패와 관련된 기사가 캡쳐복사된 문건이다.

[공주신보] 환자를 내가족같이 캠페인 전개-공주의료원노조 솔선실천, 환자들 호응
[미상]영안실옆서 테니스쳐 빈축-누적된 적자불구 전력낭비하고 상객들 안중에 없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와룡팔경(臥龍八景)에 대한 기록이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와룡팔경(금남면 영치리의 옛 동명)
용강숙우
웅봉호월(영웅봉 정상에 월출)
화사귀운(화사동 방향으로 백운이…
94년 문화유산의 해를 맞은 제 43회 백제문화제의 예산결산 승인건 , 발전방안 , 추진계획안 , 예산안에 대해 수록된 회의자료 / 회의요약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참석명단 수록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 역사 관련한 기록이다. 본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된 내용은 감영과 진영이며 그 휘하 관리와 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3년 7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1964년 반포국민학교에서 제4학년 남신현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학업이 우수하여 상장을 준다는 내용이다.
백제문화제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가장행렬 배치 및 설명을 수록함
1966.11.04, 공주문화원에서 전 문화원장 김영옥씨를 모시고 '내가 본 10년 전 일본의 경제와 오늘'이란 주제의 강연회를 개최함을 알리는 문서이다.
1983년 제1기 중견행정실무자 교육훈련 과정을 이수한 서해만에게 수여한 수료증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 제8평등대왕에 관한 것이다.
백제 와당, 그 시작과 끝(충청문화재연구원 정치영)
파평 윤씨 세계도이다. [근거] 창세(참판공)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검색해보니 파평 윤씨 노종파 윤창세 씨이다.
남궁화가 1976년 서울시 도봉구와 대전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기성품 일기에 작성되었으며, 11월 11일까지 하루 일과를 일자에 맞추어 작성하였다. 부록으로 가족과 지인의 주소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