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1년 공주중동국민학교에서 발행한 1950년도 성적통지표와 수료증서이다. 성적통지표는 교장, 교감, 담임과 아동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고 각 과목별 점수와 석차, 가정에서 학교로 발송하는 통신, 출석 일수 등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수료증서는 국민학교 2학년…
충청남도 새마을회 임원(제13차 이사회 참석대상) 명부
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청련암 인법당에 걸린 청련암 편액에 대한 것이다. 본 편액에는 우측면에 도광 29년이라는 연대가 기록된 것이 특징이다.
2009년 11월 20일 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에서 진행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개원 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초청장과 봉투이다. 일시, 장소, 진행일정이 적혀있다.
1959년 남궁화가 38세 되던 해에 보령과 공주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 부분에 "우라마루(浦丸) 회장 이하 일본인 모두에게"라고 쓰여 있는데, 어떤 행사의 인사말로 추정된다. 작년에 공주측에서 일본을 방문했다는 말과 함께, 일본서기를 근거로 공주지명, 백제역사 등 공주에 대해 소개하는…
2009 계룡산 산신제 충청도 전통 앉은굿 및 작두 굿 사진첩
공주 우금치 전적지 정비 기본계획 중간보고서이다.
2008년 3월 14일에 광복회장으로부터 지회설치를 승인받은
1955년 공주중학교 재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제1기분 수업료 및 납부금으로 일금 삼천칠백오십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문서이다. 공주금융조합에서 영수하였으며, 하단에 수납을 증빙하는 도장이 찍혀 있다.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이 좌측에 기재되어 있고, 상단에는…
계룡국민학교에서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5년 6월 24일에 발행한 영수증이다. 이천원을 청구한 것으로 보이며, 월분 및 종별을 기입하는 곳을 기재하지 않아 금액을 청구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담임성명 대신 도장을 찍었다.
레인보우7도섬실행위 마에다지카모토(前田晶樣)의 서신과 이에 답하는 윤여헌의 답장 서신이다. 레인보우7도섬실행위원회의 위원장은 타카바노부유키(高場信行)이다. 백제 무령왕릉묘 견학을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가 보낸 감사의 편지이다. 한국을 방문해 느낀 감상과 백제문화에 대한…
기획위원회 회의 개최
일제강점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일본 구마모토현 아소시 오구니마치에 소재한 소국실과(小國實科) 고등여학교에 보낸 홍보지의 봉투이다. 봉투의 전면에는 공주우편국의 소인도 찍혀있고, 후면에는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이름도 인쇄되어있다. 수신처의 학교는 현재…
일제강점기 차부가 기재된 윤여헌 기억 속의 공주시가지 지도이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자필로 그린 것으로, 당시 공주면 본정통에 있던 일제강점기 차부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논산-공주간 순환자동차부, 공주-조치원간 자동차부, 마루쥬운송점 등이 표기되어 있다. 첫번째…
충청남도에서 주관한 백제문화제에 대한 관계관 회의 서류로 대전시와 공주시, 부여군의 행사계획을 수록함
2010년 10월 8일부터 9일까지 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에서 진행한 제12회 한국 향토사연구 전국 대회 계획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개최 목적
2. 충남(공주) 유치의 기대효과
3. 학술회의 주제
4. 개최방안
5. 발표주제 및 발표자
6.…
서기, 천황, 기사가 적혀있다. 뒷장에는 일본고성우회(日本古城友会) 30주년 기념으로 진행한 한국의 고대산성 찾아가는 여행(韓国の古代山城を訪ねる旅)에 대한 정보 문서가 첨부되어있다. 1994년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의 일정으로 수원, 공주를 방문하는 일정이다.
2013년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신년을 맞이하여 발행한 교육수첩이다. 내부에는 각종 교육청의 전화번호와 고관의 연락처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