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남쪽 성벽에 올라 공주시가지를 내려본 사진으로 추정된다. 한국전쟁 이후 시가지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한국전쟁으로 단교된 금강교는 1952년 복구를 시작하여 1956년 9월에 재개통하는데, 다리가 복구되기 전까지는 본 자료의 모습과 같이 나룻배를 이용하여 도강했다. 나룻배 앞에 서있는 인물은 제2대 공주문화원 이관용 원장이다.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1950년대 중엽 금강의 고마나루를 오가는 나룻배가 배에 차를 싣고 가고 있다. 사진 속의 마을은 고마나루 건너편 우성면 신웅리인데, 집 아래 왼쪽의 나무가 지금도 존재한다. 금강교가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면서…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현 금학동 시절 학교 전경사진이다. 1951년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저학년의 공주봉황중학교와 고학년의 공주농업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나 교사는 함께 사용하였다. 1938년 신관리 점막에 새로운 교사를 확장이전하여…
자료제공자가 단기4287년(1954년)에 4월 8일에 마곡사에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과학관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교 교문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별관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교 본관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내 정원 풍경이다.
1950년대 후반, 공주사범학교 학생들의 경주 수학여행을 기념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은 교복을 착용하였고, 불국사 내의 다보탑과 석가탑을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1950년대 유구읍 문금리 전경사진이다. 초가집들과 밭이 보이고, 그 뒤에 있는 산은 금계산으로 추정된다. 이문호가 본인의 저서에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 파일로 저장한 것으로 원본의 위치는 파악되지 않았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교무실의 모습이다. 업무에 열중하는 선생님의 모습과 당시 선생님이 사용하던 비품 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교무실의 모습이다. 업무에 열중하는 선생님의 모습과 당시 선생님이 사용하던 비품 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재학생의 등교장면이다. 해당사진을 통해 당시 학교가는 길의 모습과 초가지붕이 얹힌 가옥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 도입부에 수록된 1950년대 중반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해당 사진은 봉황산에서 촬영한 것으로 중심부에는 공주제일교회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반대편의 선교사 가옥도 보인다.
1957학년도 공주영명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 중엽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교의 모습이다. 금강교가 한국전쟁 때 단교된 후 1956년 09월에 복구됨으로 본 사진은 적어도 복구 이후에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1957학년도 공주영명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 중엽 공주시가지의 전경 모습이다.
1950년대 중반 영명학교 교장인 황인식 선생이 소유한 대추골 일대의 전답 풍경을 촬영한 것이다. 당시 황인식 교장은 대추골 일대에 논과 밭에 학생을 동원해 작물을 경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