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번호100005093
제목백제의 조각과 미술
범위와 내용목차
표지 = 1,1,1
표제지 = 2,2,1
판권지 = 3,3,2
發刊辭 / 洪善基[忠清南道知事] = 5,5,2
序文 / 尹龍爀[공주대학교 박물관장] = 7,7,1
목차 = 8,8,2
집필자 = 10,10,1
화보 = 11,11,16
제1장 백제 美術文化의 형성 배경 = 27,27,2
百濟 歷史의 展開 / 梁起錫 = 29,29,1
Ⅰ. 百濟의 成立과 發展 = 29,29,1
1. 百濟의 建國과 文化背景 = 29,29,4
2. 百濟國의 發展 = 33,33,3
3. 古爾王系의 등장과 체제개혁 = 36,36,2
Ⅱ. 貴族聯合體制의 展開와 王權强化 = 37,37,1
1. 貴族聯合體制의 形成 = 37,37,3
2. 貴族聯合體制의 矛盾과 王權의 强化試圖 = 39,39,4
Ⅲ. 專制王權의 確立 = 43,43,1
1. 東城·武寧王代의 王權强化 = 43,43,5
2. 泗沘遷都와 專制王權의 확립 = 47,47,3
Ⅳ. 執權體制의 矛盾과 百濟滅亡 = 49,49,1
1. 專制王權의 再確立 試圖 = 49,49,4
2. 百濟의 滅亡과 復興運動 = 52,52,3
백제 불교미술의 사상적 배경 / 辛鍾遠 = 55,55,1
머리말 = 55,55,1
Ⅰ. 漢城時代의 불교 = 55,55,2
Ⅱ. 熊津時代의 불교(475~538) = 57,57,2
Ⅲ. 泗沘時代의 佛敎 = 58,58,5
맺음말 = 62,62,3
제2장 百濟의 彫刻 = 65,65,2
百濟佛像의 形式과 内容 / 文明大 = 67,67,1
Ⅰ. 尊像의 形式 = 67,67,1
1. 佛像 = 67,67,1
2. 菩薩像 = 68,68,1
Ⅱ. 配置構圖形式 = 68,68,1
1. 獨尊式 = 68,68,2
2. 二佛竝存式 = 69,69,1
3. 三尊式 = 69,69,1
4. 四方佛式 = 69,69,1
5. 群像式 = 70,70,1
Ⅲ. 材料에 따른 形式 = 70,70,1
1. 磨崖佛像 = 70,70,8
2. 石佛像 = 77,77,8
3. 金銅佛像 = 84,84,19
4. 塑佛像 = 102,102,3
百濟彫刻의 樣式變遷 / 文明大 = 105,105,1
1. 前期(漢城期)의 彫刻 = 105,105,3
2. 中期 : 熊津期(475~538)의 彫刻 = 107,107,5
3. 後期 : 泗沘期(538~660)의 彫刻 = 111,111,18
百濟彫刻과 日本彫刻 / 金理那 = 129,129,1
Ⅰ. 百濟佛像의 日本傳來와 止利樣式 = 129,129,4
Ⅱ. 佛立像 = 132,132,9
Ⅲ. 佛坐像 = 140,140,7
Ⅳ. 菩薩像 = 146,146,12
Ⅴ. 半跏思惟形 菩薩像 = 157,157,6
Ⅵ. 기타 일본에 있는 한국계 불상 = 162,162,9
제3장 百濟彫刻의 後代 계승 = 171,171,2
燕岐地方의 佛碑像 / 郭東錫 = 173,173,1
머리말 = 173,173,2
Ⅰ. 形式과 圖像特徵 = 174,174,2
1. 石碑型 = 175,175,12
2. 光背型 = 186,186,7
Ⅱ. 樣式的 特徵과 系譜 = 192,192,2
1. 百濟 樣式의 繼承과 그 系譜 = 193,193,7
2. 一光三尊佛 形式의 繼承과 그 系譜 = 199,199,6
Ⅲ. 銘文의 内容과 意義 = 204,204,5
맺음말 = 208,208,3
百濟地域의 後期彫刻에 대한 考察 : 忠清地方의 羅末麗初 石佛을 중심으로 / 崔聖銀 = 211,211,1
Ⅰ. 머리말 = 211,211,1
Ⅱ. 羅末麗初 忠清地方의 時代的 背景 = 211,211,3
Ⅲ. 高麗初期 忠清地方의 石佛 = 213,213,14
Ⅳ. 맺는말 = 226,226,1
百濟의 石塔과 그 傳播 / 鄭永鎬 = 227,227,1
Ⅰ. 石塔의 意義 = 227,227,3
Ⅱ. 百濟石塔의 建立 = 229,229,9
Ⅲ. 百濟石塔樣式의 東漸 = 238,238,5
Ⅳ. 新羅石塔과의 關係 = 242,242,7
Ⅴ. 日本에서 建立된 百濟石塔 = 248,248,3
제4장 百濟美術의 특성·1 = 251,251,2
百濟 金屬工藝의 樣相과 特性 / 崔應天 = 253,253,1
머리말 = 253,253,2
Ⅰ. 漢城時代의 金屬工藝品 = 254,254,4
Ⅱ. 熊津時代의 金屬工藝品 = 257,257,9
Ⅲ. 泗沘時代의 金屬工藝品 = 265,265,11
맺음말 = 276,276,2
百濟土器의 發達과 그 特徴 / 安承周 = 278,278,1
머리말 = 278,278,2
Ⅰ. 백제토기의 종류 = 279,279,14
Ⅱ. 百濟土器의 發達 過程 = 292,292,6
Ⅲ. 百濟土器의 文樣 = 297,297,2
Ⅳ. 百濟土器의 特徵 = 298,298,4
맺는말 = 302,302,1
百濟의 瓦塼 / 金誠龜 = 303,303,1
Ⅰ. 序言 = 303,303,1
Ⅱ. 瓦塼의 분류 = 304,304,1
1. 기와류 = 304,304,5
2. 전돌류 = 308,308,1
Ⅲ. 瓦塼의 변천 = 308,308,2
1. 수막새 = 309,309,24
2. 文樣塼 = 332,332,10
Ⅳ. 結語 = 341,341,2
제5장 百濟美術의 특성·2 = 343,343,2
百濟의 石塔 / 李殷昌 = 345,345,1
序言 = 345,345,4
Ⅰ. 百濟石塔의 起源 = 348,348,4
Ⅱ. 始源形的인 百濟石塔 = 351,351,1
1. 彌勒寺 石塔 = 351,351,17
2. 定林寺 石塔 = 367,367,5
Ⅲ. 百濟系 石塔의 建築 = 371,371,1
1. 典型的 樣式 石塔과의 關係 = 371,371,4
2. 百濟 樣式系 石塔의 建築 = 374,374,23
3. 百濟 樣式系 石塔의 分布 = 396,396,5
Ⅳ. 百濟 石塔美의 特徵 = 400,400,4
結論 = 403,403,3
百濟의 造苑 / 鄭在鑂 = 406,406,1
머리말 = 406,406,2
Ⅰ. 夢村土城 = 407,407,3
Ⅱ. 熊津城 = 410,410,7
Ⅲ. 扶餘 官北里 百濟王宮址 蓮池 = 417,417,6
Ⅳ. 扶餘 定林寺址 蓮池 = 423,423,3
Ⅴ. 扶餘 東南里寺址 蓮池 = 425,425,4
Ⅵ. 扶餘 宮南池 = 428,428,4
Ⅶ. 益山 彌勒寺址 寺苑 = 431,431,5
맺는말 = 435,435,2
百濟古墳의 造形的 特性 / 李南奭 = 437,437,1
머리말 = 437,437,2
Ⅰ. 백제고분의 검토 = 438,438,5
Ⅱ. 백제 橫穴式 石室墳의 構造的 特性 = 442,442,7
Ⅳ[Ⅲ]. 百濟의 塼築墳 = 448,448,10
Ⅳ. 백제의 壁畫墳 = 457,457,12
맺음말 = 468,468,1
제6장 백제조각의 美意識과 그 현대적 계승 = 469,469,2
百濟彫刻의 美意識 / 文明大 = 471,471,1
머리말 = 471,471,1
Ⅰ. 백제불교의 성격 = 471,471,3
Ⅱ. 백제불상의 상징체계 = 473,473,4
Ⅲ. 백제불상의 아름다움 = 476,476,3
맺음말 = 478,478,1
百濟 石造 彫刻의 石質 : 충남 서부지역 백제마애불의 경우 / 崔錫源 = 479,479,1
머릿말 = 479,479,2
Ⅰ. 泰安 磨崖三尊佛의 石質 = 480,480,4
Ⅱ. 瑞山 磨崖三尊佛의 石質 = 483,483,4
Ⅲ. 禮山 四面石佛의 石質 = 486,486,4
맺는말 = 489,489,2
백제조각과 현대조각 / 兪聖雄 = 491,491,1
Ⅰ. 백제조각에의 접근 = 491,491,2
Ⅱ. 백제조각과 불교조각 = 492,492,3
Ⅲ. 불상은 조각품인가? = 494,494,2
Ⅳ. 전통의 계승을 위한 제언 = 495,495,3
百濟 彫刻의 現代的 繼承 / 趙恩廷 = 498,498,1
머리말 = 498,498,2
Ⅰ. 한국 현대 조각에서 전통의 의미 = 499,499,2
Ⅱ. 김복진과 권진규 = 500,500,2
1. 金復鎭 = 501,501,3
2. 權鎭圭 = 503,503,6
Ⅲ. 조각에서 전통 계승 문제 = 508,508,1
1. 韓國性과 傳統性 = 508,508,3
2. 전통성을 모색하는 현대 조각 = 510,510,7
맺음말 = 516,516,2
뒤표지 = 518,518,1
소장위치자료실 C-5
발행처공주대학교 박물관; 충청남도
생산자/생산기관공주대학교 박물관
생산일자1991
기증자/수집처이해준
주제분류번호01-422.4-000007.C1
주제분류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형태분류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시대분류현대
출처분류기관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원본여부원본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물리적 특성특이사항 없음
쪽수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