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백제문화사대계 개설서 : 백제 역사와 문화

제목백제문화사대계 개설서 : 백제 역사와 문화


범위와 내용목차
제1편 총론
제1장 지리적 환경과 산물 = 21
1. 지리적 환경 = 21
2. 해항로와 교통로 = 28
3. 산물 = 36
제2장 백제인의 형성과 문화기반 = 40
1. 백제인의 형성 = 40
2. 문화기반 = 46
제3장 백제사의 특징 = 49
1. 빈번한 국호의 개칭과 천도 = 49
2. 활발한 해상 활동과 東아시아 共有문화권의 형성 = 51
3. 대왕의식과 문화 우월의식 = 53
4. 공존의 천하관과 사상의 융합 = 54
5. 토목ㆍ건축기술의 발달 = 56
6. 치열한 저항정신과 '백제의식' = 58
제2편 한성도읍기
제1장 건국과 성장 = 63
1. 건국 = 63
2. 성장 = 70
제2장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확립 = 79
1. 왕정의 물적기반 확대 = 79
2.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 84
3. 정복활동의 전개 = 90
4. 중국과의 교섭과 대倭교역의 확대 = 94
제3장 왕족 부여씨ㆍ왕비족 진씨 중심의 정치운영 = 96
1. 진씨세력의 대두와 왕비 배출 = 96
2. 근구수왕의 활동 = 98
3. 불교의 공인과 그 성격 = 100
4. 고구려와의 공방과 가야 및 왜세력과의 연합 = 101
제4장 집권세력의 교체와 정치운영의 변화 = 104
1. 진씨에서 해씨로의 집권세력의 교체 = 104
2. 왕ㆍ후ㆍ장군호제의 운영 = 106
3. 제라동맹 결성 = 108
제5장 한성 함락과 개로왕의 패사 = 110
1. 개로왕 초기의 정치정세 = 110
2. 왕권강화와 대고구려 포위망의 형성 = 112
3. 고구려의 백제 공격과 한성함락 = 113
제3편 웅진도읍기
제1장 웅진천도 = 119
1. 문주왕의 즉위와 웅진천도 = 119
2. 천도초기의 정치적 상황 = 121
제2장 왕권의 안정과 국력 회복 = 124
1. 동성왕의 즉위와 신진세력의 등용 = 124
2. 왕실 권위의 회복 = 127
제3장 중흥 기반의 확립과 강국 선언 = 129
1. 무령왕의 출자와 즉위 = 129
2. 중흥 기반의 확립 = 134
3. 영토 확장과 강국 선언 = 137
제4장 웅진도읍기 한강유역의 상황 = 139
1. 웅진도읍기 영역 관련 기사의 성격 = 139
2.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 = 141
제4편 사비도읍기
제1장 사비천도와 체제정비 = 147
1. 사비천도 단행과 왕실 권위의 고양 = 147
2. 체제정비 = 151
3. 유교적 지배이념의 확립과 불교교단의 정비 = 157
4. 대외관계의 전개 양상 = 158
제2장 관산성 패전과 집권세력의 변화 = 160
1. 성왕의 한강 유역 회복 = 160
2. 관산성 전투와 패배 = 162
3. 위덕왕대 정치운영의 변화와 대외관계 = 166
제3장 무왕의 즉위와 권력 강화 = 173
1. 혜왕과 법왕의 단명과 정치운영의 변화 = 173
2. 무왕의 즉위와 익산 경영 = 175
3. 미륵사 창건과 그 의미 = 178
제4장 의자왕대의 정치 = 180
1. 친위정변의 단행과 고구려와의 연결 = 180
2. 정치의 파행 운영과 재정 파탄 = 182
3. 대외정책의 변화 = 185
4. 백제의 멸망 과정 = 190
제5편 백제부흥운동과 유민들의 활동
제1장 부흥군의 봉기와 활동 = 197
1. 부흥백제국의 성립 = 197
2. 부흥군과 나당점령군과의 전투 = 200
3. 부흥백제국의 멸망 = 203
제2장 재당ㆍ재왜 백제 유민들의 활동 = 207
1. 당으로 들어간 백제 유민 = 207
2. 재왜 백제 유민의 활동 = 212
제6편 지배체제
제1장 중앙과 지방 통치조직 = 223
1. 중앙통치조직 = 223
2. 지방 지배조직 = 231
3. 도성제 = 241
제2장 군사조직 = 249
1. 소국 및 부체제 단계의 군사조직 = 249
2. 한성기의 군사조직과 운용 = 251
3. 웅진 및 사비도읍기의 군사조직과 운용 = 252
4. 군사훈련과 병력충원 = 254
제3장 신분제와 법률 = 257
1. 신분제 = 257
2. 율령의 반포와 그 내용 = 259
제4장 경제제도 = 262
1. 토지제도 = 262
2. 조세제도 = 264
3. 수공업과 상업 = 267
제7편 대외 문물교류
제1장 고구려ㆍ신라ㆍ가야와의 문물교류 = 277
1. 고구려와의 문물교류 = 277
2. 신라와의 문물교류 = 279
3. 가야와의 문물교류 = 284
제2장 중국과의 문물교류 = 288
1. 낙랑ㆍ대방군과의 문물교류 = 288
2. 동진ㆍ송과의 문물교류 = 291
3. 제ㆍ양과의 문물교류 = 297
4. 남북조와의 등거리 교류 = 302
5. 수ㆍ당과의 문물교류 = 304
제3장 왜와의 문물교류 = 305
1. 왜와의 교섭 전개 = 305
2. 백제계 주민의 일본열도 이주 = 307
3. 왜와의 문물교류 = 313
제8편 생활ㆍ생산과 토목ㆍ건축
제1장 농업생산 = 321
1. 경작유적 = 321
2.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달 = 323
제2장 의식주 = 324
1. 복식문화 = 324
2. 식료와 조리문화 = 327
3. 주거문화 = 332
제3장 생산 = 337
1. 토기의 생산 = 337
2. 기와의 생산과 유통 = 342
3. 금속기 생산 = 346
4. 기타 생산 = 348
제4장 토목과 건축 = 352
1. 산성 = 352
2. 묘제 = 355
3. 사지와 원지 = 365
4. 토목기술 = 368
제5장 공동체 조직 = 370
1. 두레와 부락제 = 370
2. 사회분화의 진전과 공동체의 재편 = 372
제9편 사상과 종교
제1장 유교ㆍ불교ㆍ도가 사상 = 379
1. 유교 = 379
2. 불교 = 384
3. 도가사상 = 395
제2장 신앙과 제의 = 404
1. 토착신앙과 제의 = 404
2. 토착신앙 체계의 변화 = 407
제3장 유교적 의례체계 = 409
1. 유교적 예제 정비 = 409
2. 시조묘와 종묘ㆍ사직 = 412
3. 교사제와 오제신앙 = 416
4. 산천 제의 = 420
제10편 문화와 예술
제1장 백제어와 한문자 = 427
1. 백제어 = 427
2. 한문자의 사용 = 429
3. 역사서의 편찬 = 432
제2장 문학 = 435
1. 한문학 = 435
2. 문학 = 439
3. 망국 예조담의 형성과 성격 = 444
제3장 불교미술 = 446
1. 탑 = 446
2. 불상 = 449
제4장 장신구와 위세품 = 454
1. 한성기 = 454
2. 웅진기 = 457
3. 사비기 = 464
제5장 토기와 기와ㆍ전돌 = 465
1. 토기 = 465
2. 기와 = 477
3. 전돌 = 483
제6장 회화와 서예 = 485
1. 회화 = 485
2. 서예 = 486
보론
제1장 백제의 중국대륙 진출 = 491
1. 요서 지역 진출 = 491
2. 산동ㆍ오월 지역 진출설 = 494
제2장 무령왕릉의 세계 = 497
1. 무령왕릉의 묘제 = 497
2.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외래유물 = 499
3.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왕실의 장제 = 503
4. 무령왕릉에 나타난 대외교류의 양상 = 508
제3장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전방후원분 = 513
1. 영산강유역 영역화를 둘러싼 논쟁 = 513
2. 옹관고분의 발달 = 514
3. 전방후원분의 구조와 유물 = 515
4. 전방후원분의 피장자 논쟁 = 516
5. 영산강유역의 백제 영역화 = 519
제4장 백제 금동대향로 = 521
1. 금동대향로와 사리감의 발견 = 521
2. 향로의 형태와 제작지 = 523
3. 향로가 등장한 시대배경 = 525
4. 향로의 사상적 지형 = 527


유형도서/간행물류


주제역사,유적,인물


시대현대


출처단체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키워드공주; 백제; 웅진; 문화사; 공산성; 제민천; 금강; 연미산; 정지산; 송산리고분군; 송산리; 왕릉; 구도; 양직공도; 양나라; 전축분; 벽돌무덤; 횡혈식; 무령왕; 무령왕릉


태그보기

등록번호100000918


제목백제문화사대계 개설서 : 백제 역사와 문화


범위와 내용목차
제1편 총론
제1장 지리적 환경과 산물 = 21
1. 지리적 환경 = 21
2. 해항로와 교통로 = 28
3. 산물 = 36
제2장 백제인의 형성과 문화기반 = 40
1. 백제인의 형성 = 40
2. 문화기반 = 46
제3장 백제사의 특징 = 49
1. 빈번한 국호의 개칭과 천도 = 49
2. 활발한 해상 활동과 東아시아 共有문화권의 형성 = 51
3. 대왕의식과 문화 우월의식 = 53
4. 공존의 천하관과 사상의 융합 = 54
5. 토목ㆍ건축기술의 발달 = 56
6. 치열한 저항정신과 '백제의식' = 58
제2편 한성도읍기
제1장 건국과 성장 = 63
1. 건국 = 63
2. 성장 = 70
제2장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확립 = 79
1. 왕정의 물적기반 확대 = 79
2.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 84
3. 정복활동의 전개 = 90
4. 중국과의 교섭과 대倭교역의 확대 = 94
제3장 왕족 부여씨ㆍ왕비족 진씨 중심의 정치운영 = 96
1. 진씨세력의 대두와 왕비 배출 = 96
2. 근구수왕의 활동 = 98
3. 불교의 공인과 그 성격 = 100
4. 고구려와의 공방과 가야 및 왜세력과의 연합 = 101
제4장 집권세력의 교체와 정치운영의 변화 = 104
1. 진씨에서 해씨로의 집권세력의 교체 = 104
2. 왕ㆍ후ㆍ장군호제의 운영 = 106
3. 제라동맹 결성 = 108
제5장 한성 함락과 개로왕의 패사 = 110
1. 개로왕 초기의 정치정세 = 110
2. 왕권강화와 대고구려 포위망의 형성 = 112
3. 고구려의 백제 공격과 한성함락 = 113
제3편 웅진도읍기
제1장 웅진천도 = 119
1. 문주왕의 즉위와 웅진천도 = 119
2. 천도초기의 정치적 상황 = 121
제2장 왕권의 안정과 국력 회복 = 124
1. 동성왕의 즉위와 신진세력의 등용 = 124
2. 왕실 권위의 회복 = 127
제3장 중흥 기반의 확립과 강국 선언 = 129
1. 무령왕의 출자와 즉위 = 129
2. 중흥 기반의 확립 = 134
3. 영토 확장과 강국 선언 = 137
제4장 웅진도읍기 한강유역의 상황 = 139
1. 웅진도읍기 영역 관련 기사의 성격 = 139
2.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 = 141
제4편 사비도읍기
제1장 사비천도와 체제정비 = 147
1. 사비천도 단행과 왕실 권위의 고양 = 147
2. 체제정비 = 151
3. 유교적 지배이념의 확립과 불교교단의 정비 = 157
4. 대외관계의 전개 양상 = 158
제2장 관산성 패전과 집권세력의 변화 = 160
1. 성왕의 한강 유역 회복 = 160
2. 관산성 전투와 패배 = 162
3. 위덕왕대 정치운영의 변화와 대외관계 = 166
제3장 무왕의 즉위와 권력 강화 = 173
1. 혜왕과 법왕의 단명과 정치운영의 변화 = 173
2. 무왕의 즉위와 익산 경영 = 175
3. 미륵사 창건과 그 의미 = 178
제4장 의자왕대의 정치 = 180
1. 친위정변의 단행과 고구려와의 연결 = 180
2. 정치의 파행 운영과 재정 파탄 = 182
3. 대외정책의 변화 = 185
4. 백제의 멸망 과정 = 190
제5편 백제부흥운동과 유민들의 활동
제1장 부흥군의 봉기와 활동 = 197
1. 부흥백제국의 성립 = 197
2. 부흥군과 나당점령군과의 전투 = 200
3. 부흥백제국의 멸망 = 203
제2장 재당ㆍ재왜 백제 유민들의 활동 = 207
1. 당으로 들어간 백제 유민 = 207
2. 재왜 백제 유민의 활동 = 212
제6편 지배체제
제1장 중앙과 지방 통치조직 = 223
1. 중앙통치조직 = 223
2. 지방 지배조직 = 231
3. 도성제 = 241
제2장 군사조직 = 249
1. 소국 및 부체제 단계의 군사조직 = 249
2. 한성기의 군사조직과 운용 = 251
3. 웅진 및 사비도읍기의 군사조직과 운용 = 252
4. 군사훈련과 병력충원 = 254
제3장 신분제와 법률 = 257
1. 신분제 = 257
2. 율령의 반포와 그 내용 = 259
제4장 경제제도 = 262
1. 토지제도 = 262
2. 조세제도 = 264
3. 수공업과 상업 = 267
제7편 대외 문물교류
제1장 고구려ㆍ신라ㆍ가야와의 문물교류 = 277
1. 고구려와의 문물교류 = 277
2. 신라와의 문물교류 = 279
3. 가야와의 문물교류 = 284
제2장 중국과의 문물교류 = 288
1. 낙랑ㆍ대방군과의 문물교류 = 288
2. 동진ㆍ송과의 문물교류 = 291
3. 제ㆍ양과의 문물교류 = 297
4. 남북조와의 등거리 교류 = 302
5. 수ㆍ당과의 문물교류 = 304
제3장 왜와의 문물교류 = 305
1. 왜와의 교섭 전개 = 305
2. 백제계 주민의 일본열도 이주 = 307
3. 왜와의 문물교류 = 313
제8편 생활ㆍ생산과 토목ㆍ건축
제1장 농업생산 = 321
1. 경작유적 = 321
2.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달 = 323
제2장 의식주 = 324
1. 복식문화 = 324
2. 식료와 조리문화 = 327
3. 주거문화 = 332
제3장 생산 = 337
1. 토기의 생산 = 337
2. 기와의 생산과 유통 = 342
3. 금속기 생산 = 346
4. 기타 생산 = 348
제4장 토목과 건축 = 352
1. 산성 = 352
2. 묘제 = 355
3. 사지와 원지 = 365
4. 토목기술 = 368
제5장 공동체 조직 = 370
1. 두레와 부락제 = 370
2. 사회분화의 진전과 공동체의 재편 = 372
제9편 사상과 종교
제1장 유교ㆍ불교ㆍ도가 사상 = 379
1. 유교 = 379
2. 불교 = 384
3. 도가사상 = 395
제2장 신앙과 제의 = 404
1. 토착신앙과 제의 = 404
2. 토착신앙 체계의 변화 = 407
제3장 유교적 의례체계 = 409
1. 유교적 예제 정비 = 409
2. 시조묘와 종묘ㆍ사직 = 412
3. 교사제와 오제신앙 = 416
4. 산천 제의 = 420
제10편 문화와 예술
제1장 백제어와 한문자 = 427
1. 백제어 = 427
2. 한문자의 사용 = 429
3. 역사서의 편찬 = 432
제2장 문학 = 435
1. 한문학 = 435
2. 문학 = 439
3. 망국 예조담의 형성과 성격 = 444
제3장 불교미술 = 446
1. 탑 = 446
2. 불상 = 449
제4장 장신구와 위세품 = 454
1. 한성기 = 454
2. 웅진기 = 457
3. 사비기 = 464
제5장 토기와 기와ㆍ전돌 = 465
1. 토기 = 465
2. 기와 = 477
3. 전돌 = 483
제6장 회화와 서예 = 485
1. 회화 = 485
2. 서예 = 486
보론
제1장 백제의 중국대륙 진출 = 491
1. 요서 지역 진출 = 491
2. 산동ㆍ오월 지역 진출설 = 494
제2장 무령왕릉의 세계 = 497
1. 무령왕릉의 묘제 = 497
2.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외래유물 = 499
3.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왕실의 장제 = 503
4. 무령왕릉에 나타난 대외교류의 양상 = 508
제3장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전방후원분 = 513
1. 영산강유역 영역화를 둘러싼 논쟁 = 513
2. 옹관고분의 발달 = 514
3. 전방후원분의 구조와 유물 = 515
4. 전방후원분의 피장자 논쟁 = 516
5. 영산강유역의 백제 영역화 = 519
제4장 백제 금동대향로 = 521
1. 금동대향로와 사리감의 발견 = 521
2. 향로의 형태와 제작지 = 523
3. 향로가 등장한 시대배경 = 525
4. 향로의 사상적 지형 = 527


소장위치자료실 B-2


발행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생산자/생산기관백제문화사대계 편찬위원회


생산일자2008


기증자/수집처이해준


주제분류번호01-412-000001


주제분류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형태분류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시대분류현대


출처분류단체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원본여부원본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물리적 특성특이사항 없음


쪽수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