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제목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 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24
감영을 그대로 둘 것을 요청하다 = 24
판관을 다시 둘 것을 요청하다 = 24
문관수령을 보낼 것을 요청하다 = 25
공주목을 강등하여 공산현으로 삼다 = 26
공주의 승호 = 26
고을 판관을 혁파하다 = 26
가족과 함께 가기를 청하다 = 26
공주의 영장을 가려서 보낼 것 = 27
공주 목사를 공산현감으로 하다 = 27
삼정의 폐단이 심하다 = 28
3. 군사 = 28
공주를 중익에 편성하다 = 28
중익이 혁파되고 거진이 설치되다 = 29
인을 주조하는 공주 = 29
공주의 군을 한성부에 예속시키다 = 29
군무기를 신청하다 = 30
명나라에 보낼 무사를 징발하다 = 30
공주 군액을 감소하다 = 30
공주군사 북정에 나서다 = 31
무재가 탁월한 공주 판관 = 31
방축쌓기에 승군 동원 금지 = 31
진관체제 = 31
공주를 지킬 것을 건의 = 32
공주의 수군 = 33
산성안의 병영을 옮기자 = 33
공주의 속오군 4천명 = 33
공주선비 윤필은의 군사개혁 십조 = 34
공주선비 송기창이 군민의 폐해를 알리다 = 35
공주토포군관 변득태(邊得泰)와 역리 신종필(申從必)에게 미포를 제급하다 = 35
화약이 없어지다 = 35
군액을 회피하려고 한 자에 대해서 엄단하다 = 36
4. 역원 = 37
역원의 정비 = 37
역의 운영 = 40
유구역에 머문 왕세자 = 41
이도역을 이인역으로 고치다 = 41
5. 공주에 왔던 관리들의 모습 = 42
공주에 파견되었던 관리들의 인사기록 = 42
수령의 직임에 대해서 당부하다 = 43
공주목사 함우치와 충청도절제사 이종효의 승진문제 = 44
공주품관 이득신의 형벌을 청하다 = 44
면포를 빼돌려 연회를 즐긴 공주목사 이종효 = 45
공주기생에게 빠져버린 이중을 임용하지 말 것 = 45
경력을 능욕한 공주판관 송염 = 45
공주목사 이숙생의 좌상 = 46
전공주목사 김정간의 일을 상소하다 = 46
공주목사가 어사를 소홀히 대함 = 47
술맛이 나쁘다고 하리를 죽인 공주판관 = 47
굶는 양반을 구하지 않아 죄를 받는 공주판관 = 48
도망간 공주판관 = 48
터무니없이 조세를 거둔 정문부 = 49
사람됨이 경망한 공주 목사 여유길 = 49
읍이 잔폐하다고 교체운동한 공주목사 김상준 = 50
강제로 첩을 취하기 위하여 관권을 동원한 공주판관 윤길 = 51
뇌물을 받는 공주목사 신설의 파직을 청함 = 52
내노비를 납부하지 않은 공주수령 추고하다 = 52
술에 빠진 공산현감 박안제 = 52
산성주필도를 올리다 = 52
공주목사 홍우원의 사직을 청함 = 53
공주현감의 어사 접대에 대한 시비 = 53
양일한이 다스린 강도가 죽다 = 55
공산현감 정영한의 가자 환수논의 = 56
등급을 뛰어 넘어 서용하지 말 것을 아뢰다 = 56
공주목사 손만응의 파직을 건의하다 = 57
가혹한 세금징수 = 57
이만선은 목사로 자격이 없다 = 59
술을 좋아하는 공주목사 이광조의 교체를 청하다 = 59
김시발을 정죄할 것을 청하다 = 59
난민이 출장관원을 욕하자 현감을 죄주다 = 60
파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음 = 60
머리채를 잡고 싸운 관리 = 61
군자금을 사사로이 쓴 황간 = 61
공주의 전 영장을 잡아다가 신문하다 = 62
어사의 보고로 승급을 취소하다 = 62
치정을 잘못한 구지정 = 63
薪智島에 유배된 구순 = 63
곤산성의 우물을 팔 것 = 66
금강과 계룡산 = 67
1. 계룡산의 형세 = 69
계룡산에 봉작을 내리다 = 69
정씨가 도읍할 형세인 계룡사 = 69
2. 신도읍 건설기사 = 73
신도후보지인 계룡산의 지도를 바치다 = 73
왕의 계룡산 행차 = 73
천도에 대한 찬반 = 73
계룡산 밑에 이르러 신도 건설을 감독하게 하다 = 75
신도 건설 중지 = 75
3. 계룡산 제사 = 76
내시를 보내어 계룡산신에게 제사 = 76
예조에서 제사에 대한 규정을 정함 = 76
계룡산에서 예에 따라 제사 = 78
왕의 병이 낫게 해달라고 계룡산에 기도하다 = 79
역적의 무리들이 계룡산에서 제사지내다 = 79
4. 금강 = 81
지리지에 보이는 금강 = 81
홍수가 나다 = 81
금강하류의 흉년과 진흥대책 = 81
금강하류의 구휼 = 85
금강에서 영정을 옮기는 폐해를 줄일 것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 102
진홀 = 102
역적의 땅을 나누어 주다 = 103
중흥사와 장안사 중의 전세 침탈 = 104
구리가 생산되던 공주 = 104
정선근이 환자곡 거두는 것을 살피다 = 104
공주에 창고를 설치하다 = 104
소의 도살이 심했던 공주 = 105
공주에서도 동전을 주조할 것을 청하다 = 105
공물징수의 경중이 고르지 못하다 = 106
역이 혹심한 공주의 조세를 감면하도록 하다 = 107
양전을 실시하다 = 108
경제관련 폐단 = 108
대동미의 폐단 = 109
감사의 지공에 대한 논의 = 110
사간 허옥의 권이진 논박 = 111
'공주'로 승격시키고 어염세를 주다 = 112
어린아이도 군역에 동원 = 112
군자금을 전용한 김홍제를 잡아들여라. = 113
암행어사가 다녀가다 = 114
나리포 = 114
3. 온천 = 115
태종의 유성 온천거동 = 115
영조의 온천거동으로 일어난 살인사건 = 115
현종의 온천거동시의 호위병 = 116
방연수를 유성온천에 보내다 = 116
온정이 공주의 경계위에 있다 = 116
한명회의 목욕과 폐해 = 116
임진왜란·정유재란과 공주지역 = 119
1. 전략요충지로서의 공주 = 121
공주로 오는 길을 차단해야 충청도를 지킬수 있다 = 121
포루의 설치가 시급하다. = 122
적이 공주를 통과할지도 모른다. = 122
적이 호남에 오면 공주에서 막는다. = 123
경성에서 공주를 경유하여 부산으로… = 124
공주에서 백마강을 따라 가는 해로 = 126
공산성을 잃다 = 126
공산성의 형세가 나쁘다는 보고 = 127
공주에 유격병을 두어 전라의 길을 막아야 한다. = 127
공산성은 요충지이니 관리를 보내서 순찰하도록 하라. = 127
혼란기에 감사를 바꾸는 것은 옳지않다. = 128
산성을 지킬만한 인물은… = 129
2. 왜란의 피해상황과 민심동향 = 129
왕이 공주에 나아가 직접 독전하다 = 129
왜적 80명이 몰래 금강의 깊이를 살피고 가다 = 130
정유재란 - 공주에 주둔해있던 왜적이 패퇴하다 = 131
중국군과의 연합작전으로 적의 선봉을 차단하다 = 131
공주에 주둔한 장군 = 132
아군의 전선을 왕께 아뢰다 = 132
적에게 침탈당한 우리땅 = 133
왜적이 공주에 이르렀다는 소식 = 133
중국군대에게 보호받아야 하는 실정 = 134
곡식을 걷어야 하는 조정, 숨기는 백성 = 135
3. 의병모집과 곤량의 조달 = 135
전라관찰사 이광이 근왕병을 이끌고 공주에서 멈추다 = 135
조헌, 영규대사와 공주병사들의 활약 = 136
군량을 적소에 옮기다 = 139
공주에 머물고 있는 한효순은 전라도로 돌아가라 = 139
활과 화살보다는 새로운 병기인 화약을… = 139
군량을 모아 금강에 대도록 한다 = 140
금강에 군량을 실은 배를 띄운다 = 140
공주에 쌀을 저장하려 했으나 사세가 불편하다 = 142
별상 한명련이 왜적의 귀를 베어 올리다 = 142
중국군을 위해 아산의 군량을 공주로 조달하도록 한다 = 143
군량을 노리는 흉적이 공주에 출몰하다 = 143
군량이 있는 공주에 중국군대를 머물게 한다 = 144
군량을 모아야 한다 = 145
적이 이미 궤멸된 후 도착한 이시발 = 145
4. 정유재란시 명나라 군사의 공주주둔 = 147
중국인 심유경 = 147
마도독의 군사를 나우어 공주를 지킨다 = 147
오총병이 공주로, 마도독은 호남을… = 148
5. 임진왜란중 공주를 거쳐간 왕과 세자 = 149
왕세자를 공주로 내려보낸다 = 149
왕세자의 거취 = 149
기타 전란과 공주 = 151
1. 이몽학의 난과 공주 = 153
이시언과 이시발은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 = 153
첫번째 서계를 가져왔던 정병 박군세 = 154
2. 이괄의 난 = 155
왕자가 공주 공산성으로 피난할것을 결정했다 = 155
왕을 호종했던 포수 50인의 포상문제 = 156
이괄의 군대가 진압되다 = 156
왕이 공주땅에 이르다 = 157
왕이 서울을 떠단 후에 = 157
공주까지 왕을 호종했던 이원익 = 157
이괄의 난 이후의 일들 = 158
쌍수정 아래에 신흠이 지은 비를 세우다 = 159
3. 병자호란 = 159
공주는 서울과 너무 가까우니 피난처로 적합하지 않다 = 159
4. 삼남지방의 적도 = 160
공주에 기마병을 출동시킴 = 160
5. 이인좌의 난과 공주 = 161
이인좌의 처가집은 공주였다 = 161
공주에 숨어사는 역적의 자손을 찾아내라 = 162
6. 임술민란과 공주 = 163
공주의 초군들이 무리져 소란을 일으키다 = 162
난을 일으킨 백성을 잡아 목을 베다 = 163
역적들의 목을베어 대중들 앞에 걸어두다 = 163
공주의 인물 = 165
1. 청백리·충신 = 167
공주목사의 주찬을 돌려보낸 충청도 관찰사 김연수 = 167
이존오 공주 유허지에 표창을 건의하다 = 167
청렴하고 탐욕이 없는 공주의 호장 이순권등 7인 = 169
공주목사 허백기의 선정 = 169
공주교수 조헌이 이이와 성혼의 충성심을 진술하다 = 170
자신의 곡식으로 기민을 구제한 사람들 = 170
유형의 서자인 유지걸에게 정려를 내리다 = 170
2. 효자·효부 = 171
열녀 정자구의 처 고씨와 효자 임모의 행적 = 171
왕순례가 양어머니를 뵙고자 하여 말과 약을 내리다 = 171
늙은 어미를 봉양하고자 하는 공조참판 = 171
신씨집안에 2대 정려를 내림 = 172
유생들의 상언으로 포상받다 = 172
3. 정절을 지킨 공주의 여인들 = 173
남편으로부터 버림받았으나 정절을 지킨 박한생의 아내 정씨 = 173
겁탈당하고 자살한 양한필의 아내 고씨 = 174
칼에 찔려 죽더라도 = 175
천인신분으로부터 벗어나게한 매덕의 열행 = 175
겁탈을 피해 죽음을 택하다 = 175
4. 공주에 머문사람 = 176
고려왕족의 후손 왕거을오미 = 176
본집이 공주인 중국사신 강옥 = 179
계성군 이내 = 184
임도의 행적 = 185
김종서와 아들 김승벽 = 185
민폐를 끼쳤던 왕족 이성 = 186
계룡산으로 유배된 이목 = 188
공주 교수였던 의병장 조헌 = 190
충현서원과 고청 서기 = 191
유일 선비 성제원 = 192
효종때의 호서산림 초려 이유태 = 193
탄웅 권시 = 195
포술에 능한 이귀 = 196
오룡동의 숭선군 = 196
무고로 몰린 이광좌 = 197
농서 올린 공주생원 유진목과 임박유 = 198
사찰 관련기사 = 205
1. 갑사 = 207
역모의 주모자 중 공주사람과 갑사의 중이 있다 = 207
2. 동학사(숙모전) = 208
을사년(1665) 송시열, 윤선거, 이유태가 동학사에 모였다 = 209
동학사 숙모전에 제향되는 충신 = 210
정규홈의 거짓 통문 사건 = 211
동학사 숙모전의 예를 따르라 = 212
3. 마곡사 = 212
보령사람 이산겸이 의병을 모아 마곡사에 진을 결성하다 = 212
4. 계룡산 절(계룡사) = 213
불교의 혁파 = 213
철의 청동 복죽을 녹여 총을 만들도록 하다 = 214
주요 사건·일화·이변 = 217
1. 공주의 주요사건들 = 219
나무에 씌여진 괘서 = 219
모의하는 박양한 = 219
난을 기도했던 공주사람 권첨 = 220
금강가의 도인 이야기 = 222
선비 권홍징의 흉악한 상소 = 223
역변을 고한 이세직 = 225
서형을 독살한 최예원 = 227
정경세 모함사건 = 228
잘못 잡혀간 김경복 = 229
한설이 역적모의를 고변하다 = 229
왕의 옥새를 몰래 주조한 사건 = 241
공주의 명화적 = 242
충현서원 유생들이 송시열의 위판을 내치다 = 243
숙종태봉 = 244
용감하게 상소를 올린 승지 신기현을 찾아라 = 244
서학을 신봉한 사학죄인 김정득 = 245
괘서는 모함이었다 = 245
살인 및 묘지 산송 = 246
2. 재미있는 일화 = 248
은 19냥을 바친 안부개 = 248
무익한 코끼리 = 249
은단지 한 쌍 = 249
공주에 남은 일본인들 = 249
야인의 땅에 돌아가고자 하는 김오미 = 250
공주 관기와 간통한 비인현감 = 250
두집 살림을 차린 충청도 수군절도사 = 250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인가 = 251
호랑이를 죽인 사람들 = 252
마패를 부순 스님 = 253
100세가 넘은 부부 = 253
3. 이변과 기이한 현상 = 253
세 쌍둥이를 낳다 = 253
머리가 둘인 송아지 = 254
물오리 싸움 = 254
땅이 꺼지다 = 254
다리가 네 개인 병아리 = 254
36인의 탈옥수 = 254
황적색 강물 = 255
4개월 만에 태어난 아이 = 255
자연재해표 = 255
공주관련기사 연대별 목록


유형도서/간행물류


주제역사,유적,인물


시대현대


출처기관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키워드공주실록; 조선왕조실록; 공주; 조선


태그보기

등록번호100000088


제목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 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24
감영을 그대로 둘 것을 요청하다 = 24
판관을 다시 둘 것을 요청하다 = 24
문관수령을 보낼 것을 요청하다 = 25
공주목을 강등하여 공산현으로 삼다 = 26
공주의 승호 = 26
고을 판관을 혁파하다 = 26
가족과 함께 가기를 청하다 = 26
공주의 영장을 가려서 보낼 것 = 27
공주 목사를 공산현감으로 하다 = 27
삼정의 폐단이 심하다 = 28
3. 군사 = 28
공주를 중익에 편성하다 = 28
중익이 혁파되고 거진이 설치되다 = 29
인을 주조하는 공주 = 29
공주의 군을 한성부에 예속시키다 = 29
군무기를 신청하다 = 30
명나라에 보낼 무사를 징발하다 = 30
공주 군액을 감소하다 = 30
공주군사 북정에 나서다 = 31
무재가 탁월한 공주 판관 = 31
방축쌓기에 승군 동원 금지 = 31
진관체제 = 31
공주를 지킬 것을 건의 = 32
공주의 수군 = 33
산성안의 병영을 옮기자 = 33
공주의 속오군 4천명 = 33
공주선비 윤필은의 군사개혁 십조 = 34
공주선비 송기창이 군민의 폐해를 알리다 = 35
공주토포군관 변득태(邊得泰)와 역리 신종필(申從必)에게 미포를 제급하다 = 35
화약이 없어지다 = 35
군액을 회피하려고 한 자에 대해서 엄단하다 = 36
4. 역원 = 37
역원의 정비 = 37
역의 운영 = 40
유구역에 머문 왕세자 = 41
이도역을 이인역으로 고치다 = 41
5. 공주에 왔던 관리들의 모습 = 42
공주에 파견되었던 관리들의 인사기록 = 42
수령의 직임에 대해서 당부하다 = 43
공주목사 함우치와 충청도절제사 이종효의 승진문제 = 44
공주품관 이득신의 형벌을 청하다 = 44
면포를 빼돌려 연회를 즐긴 공주목사 이종효 = 45
공주기생에게 빠져버린 이중을 임용하지 말 것 = 45
경력을 능욕한 공주판관 송염 = 45
공주목사 이숙생의 좌상 = 46
전공주목사 김정간의 일을 상소하다 = 46
공주목사가 어사를 소홀히 대함 = 47
술맛이 나쁘다고 하리를 죽인 공주판관 = 47
굶는 양반을 구하지 않아 죄를 받는 공주판관 = 48
도망간 공주판관 = 48
터무니없이 조세를 거둔 정문부 = 49
사람됨이 경망한 공주 목사 여유길 = 49
읍이 잔폐하다고 교체운동한 공주목사 김상준 = 50
강제로 첩을 취하기 위하여 관권을 동원한 공주판관 윤길 = 51
뇌물을 받는 공주목사 신설의 파직을 청함 = 52
내노비를 납부하지 않은 공주수령 추고하다 = 52
술에 빠진 공산현감 박안제 = 52
산성주필도를 올리다 = 52
공주목사 홍우원의 사직을 청함 = 53
공주현감의 어사 접대에 대한 시비 = 53
양일한이 다스린 강도가 죽다 = 55
공산현감 정영한의 가자 환수논의 = 56
등급을 뛰어 넘어 서용하지 말 것을 아뢰다 = 56
공주목사 손만응의 파직을 건의하다 = 57
가혹한 세금징수 = 57
이만선은 목사로 자격이 없다 = 59
술을 좋아하는 공주목사 이광조의 교체를 청하다 = 59
김시발을 정죄할 것을 청하다 = 59
난민이 출장관원을 욕하자 현감을 죄주다 = 60
파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음 = 60
머리채를 잡고 싸운 관리 = 61
군자금을 사사로이 쓴 황간 = 61
공주의 전 영장을 잡아다가 신문하다 = 62
어사의 보고로 승급을 취소하다 = 62
치정을 잘못한 구지정 = 63
薪智島에 유배된 구순 = 63
곤산성의 우물을 팔 것 = 66
금강과 계룡산 = 67
1. 계룡산의 형세 = 69
계룡산에 봉작을 내리다 = 69
정씨가 도읍할 형세인 계룡사 = 69
2. 신도읍 건설기사 = 73
신도후보지인 계룡산의 지도를 바치다 = 73
왕의 계룡산 행차 = 73
천도에 대한 찬반 = 73
계룡산 밑에 이르러 신도 건설을 감독하게 하다 = 75
신도 건설 중지 = 75
3. 계룡산 제사 = 76
내시를 보내어 계룡산신에게 제사 = 76
예조에서 제사에 대한 규정을 정함 = 76
계룡산에서 예에 따라 제사 = 78
왕의 병이 낫게 해달라고 계룡산에 기도하다 = 79
역적의 무리들이 계룡산에서 제사지내다 = 79
4. 금강 = 81
지리지에 보이는 금강 = 81
홍수가 나다 = 81
금강하류의 흉년과 진흥대책 = 81
금강하류의 구휼 = 85
금강에서 영정을 옮기는 폐해를 줄일 것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 102
진홀 = 102
역적의 땅을 나누어 주다 = 103
중흥사와 장안사 중의 전세 침탈 = 104
구리가 생산되던 공주 = 104
정선근이 환자곡 거두는 것을 살피다 = 104
공주에 창고를 설치하다 = 104
소의 도살이 심했던 공주 = 105
공주에서도 동전을 주조할 것을 청하다 = 105
공물징수의 경중이 고르지 못하다 = 106
역이 혹심한 공주의 조세를 감면하도록 하다 = 107
양전을 실시하다 = 108
경제관련 폐단 = 108
대동미의 폐단 = 109
감사의 지공에 대한 논의 = 110
사간 허옥의 권이진 논박 = 111
'공주'로 승격시키고 어염세를 주다 = 112
어린아이도 군역에 동원 = 112
군자금을 전용한 김홍제를 잡아들여라. = 113
암행어사가 다녀가다 = 114
나리포 = 114
3. 온천 = 115
태종의 유성 온천거동 = 115
영조의 온천거동으로 일어난 살인사건 = 115
현종의 온천거동시의 호위병 = 116
방연수를 유성온천에 보내다 = 116
온정이 공주의 경계위에 있다 = 116
한명회의 목욕과 폐해 = 116
임진왜란·정유재란과 공주지역 = 119
1. 전략요충지로서의 공주 = 121
공주로 오는 길을 차단해야 충청도를 지킬수 있다 = 121
포루의 설치가 시급하다. = 122
적이 공주를 통과할지도 모른다. = 122
적이 호남에 오면 공주에서 막는다. = 123
경성에서 공주를 경유하여 부산으로… = 124
공주에서 백마강을 따라 가는 해로 = 126
공산성을 잃다 = 126
공산성의 형세가 나쁘다는 보고 = 127
공주에 유격병을 두어 전라의 길을 막아야 한다. = 127
공산성은 요충지이니 관리를 보내서 순찰하도록 하라. = 127
혼란기에 감사를 바꾸는 것은 옳지않다. = 128
산성을 지킬만한 인물은… = 129
2. 왜란의 피해상황과 민심동향 = 129
왕이 공주에 나아가 직접 독전하다 = 129
왜적 80명이 몰래 금강의 깊이를 살피고 가다 = 130
정유재란 - 공주에 주둔해있던 왜적이 패퇴하다 = 131
중국군과의 연합작전으로 적의 선봉을 차단하다 = 131
공주에 주둔한 장군 = 132
아군의 전선을 왕께 아뢰다 = 132
적에게 침탈당한 우리땅 = 133
왜적이 공주에 이르렀다는 소식 = 133
중국군대에게 보호받아야 하는 실정 = 134
곡식을 걷어야 하는 조정, 숨기는 백성 = 135
3. 의병모집과 곤량의 조달 = 135
전라관찰사 이광이 근왕병을 이끌고 공주에서 멈추다 = 135
조헌, 영규대사와 공주병사들의 활약 = 136
군량을 적소에 옮기다 = 139
공주에 머물고 있는 한효순은 전라도로 돌아가라 = 139
활과 화살보다는 새로운 병기인 화약을… = 139
군량을 모아 금강에 대도록 한다 = 140
금강에 군량을 실은 배를 띄운다 = 140
공주에 쌀을 저장하려 했으나 사세가 불편하다 = 142
별상 한명련이 왜적의 귀를 베어 올리다 = 142
중국군을 위해 아산의 군량을 공주로 조달하도록 한다 = 143
군량을 노리는 흉적이 공주에 출몰하다 = 143
군량이 있는 공주에 중국군대를 머물게 한다 = 144
군량을 모아야 한다 = 145
적이 이미 궤멸된 후 도착한 이시발 = 145
4. 정유재란시 명나라 군사의 공주주둔 = 147
중국인 심유경 = 147
마도독의 군사를 나우어 공주를 지킨다 = 147
오총병이 공주로, 마도독은 호남을… = 148
5. 임진왜란중 공주를 거쳐간 왕과 세자 = 149
왕세자를 공주로 내려보낸다 = 149
왕세자의 거취 = 149
기타 전란과 공주 = 151
1. 이몽학의 난과 공주 = 153
이시언과 이시발은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 = 153
첫번째 서계를 가져왔던 정병 박군세 = 154
2. 이괄의 난 = 155
왕자가 공주 공산성으로 피난할것을 결정했다 = 155
왕을 호종했던 포수 50인의 포상문제 = 156
이괄의 군대가 진압되다 = 156
왕이 공주땅에 이르다 = 157
왕이 서울을 떠단 후에 = 157
공주까지 왕을 호종했던 이원익 = 157
이괄의 난 이후의 일들 = 158
쌍수정 아래에 신흠이 지은 비를 세우다 = 159
3. 병자호란 = 159
공주는 서울과 너무 가까우니 피난처로 적합하지 않다 = 159
4. 삼남지방의 적도 = 160
공주에 기마병을 출동시킴 = 160
5. 이인좌의 난과 공주 = 161
이인좌의 처가집은 공주였다 = 161
공주에 숨어사는 역적의 자손을 찾아내라 = 162
6. 임술민란과 공주 = 163
공주의 초군들이 무리져 소란을 일으키다 = 162
난을 일으킨 백성을 잡아 목을 베다 = 163
역적들의 목을베어 대중들 앞에 걸어두다 = 163
공주의 인물 = 165
1. 청백리·충신 = 167
공주목사의 주찬을 돌려보낸 충청도 관찰사 김연수 = 167
이존오 공주 유허지에 표창을 건의하다 = 167
청렴하고 탐욕이 없는 공주의 호장 이순권등 7인 = 169
공주목사 허백기의 선정 = 169
공주교수 조헌이 이이와 성혼의 충성심을 진술하다 = 170
자신의 곡식으로 기민을 구제한 사람들 = 170
유형의 서자인 유지걸에게 정려를 내리다 = 170
2. 효자·효부 = 171
열녀 정자구의 처 고씨와 효자 임모의 행적 = 171
왕순례가 양어머니를 뵙고자 하여 말과 약을 내리다 = 171
늙은 어미를 봉양하고자 하는 공조참판 = 171
신씨집안에 2대 정려를 내림 = 172
유생들의 상언으로 포상받다 = 172
3. 정절을 지킨 공주의 여인들 = 173
남편으로부터 버림받았으나 정절을 지킨 박한생의 아내 정씨 = 173
겁탈당하고 자살한 양한필의 아내 고씨 = 174
칼에 찔려 죽더라도 = 175
천인신분으로부터 벗어나게한 매덕의 열행 = 175
겁탈을 피해 죽음을 택하다 = 175
4. 공주에 머문사람 = 176
고려왕족의 후손 왕거을오미 = 176
본집이 공주인 중국사신 강옥 = 179
계성군 이내 = 184
임도의 행적 = 185
김종서와 아들 김승벽 = 185
민폐를 끼쳤던 왕족 이성 = 186
계룡산으로 유배된 이목 = 188
공주 교수였던 의병장 조헌 = 190
충현서원과 고청 서기 = 191
유일 선비 성제원 = 192
효종때의 호서산림 초려 이유태 = 193
탄웅 권시 = 195
포술에 능한 이귀 = 196
오룡동의 숭선군 = 196
무고로 몰린 이광좌 = 197
농서 올린 공주생원 유진목과 임박유 = 198
사찰 관련기사 = 205
1. 갑사 = 207
역모의 주모자 중 공주사람과 갑사의 중이 있다 = 207
2. 동학사(숙모전) = 208
을사년(1665) 송시열, 윤선거, 이유태가 동학사에 모였다 = 209
동학사 숙모전에 제향되는 충신 = 210
정규홈의 거짓 통문 사건 = 211
동학사 숙모전의 예를 따르라 = 212
3. 마곡사 = 212
보령사람 이산겸이 의병을 모아 마곡사에 진을 결성하다 = 212
4. 계룡산 절(계룡사) = 213
불교의 혁파 = 213
철의 청동 복죽을 녹여 총을 만들도록 하다 = 214
주요 사건·일화·이변 = 217
1. 공주의 주요사건들 = 219
나무에 씌여진 괘서 = 219
모의하는 박양한 = 219
난을 기도했던 공주사람 권첨 = 220
금강가의 도인 이야기 = 222
선비 권홍징의 흉악한 상소 = 223
역변을 고한 이세직 = 225
서형을 독살한 최예원 = 227
정경세 모함사건 = 228
잘못 잡혀간 김경복 = 229
한설이 역적모의를 고변하다 = 229
왕의 옥새를 몰래 주조한 사건 = 241
공주의 명화적 = 242
충현서원 유생들이 송시열의 위판을 내치다 = 243
숙종태봉 = 244
용감하게 상소를 올린 승지 신기현을 찾아라 = 244
서학을 신봉한 사학죄인 김정득 = 245
괘서는 모함이었다 = 245
살인 및 묘지 산송 = 246
2. 재미있는 일화 = 248
은 19냥을 바친 안부개 = 248
무익한 코끼리 = 249
은단지 한 쌍 = 249
공주에 남은 일본인들 = 249
야인의 땅에 돌아가고자 하는 김오미 = 250
공주 관기와 간통한 비인현감 = 250
두집 살림을 차린 충청도 수군절도사 = 250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인가 = 251
호랑이를 죽인 사람들 = 252
마패를 부순 스님 = 253
100세가 넘은 부부 = 253
3. 이변과 기이한 현상 = 253
세 쌍둥이를 낳다 = 253
머리가 둘인 송아지 = 254
물오리 싸움 = 254
땅이 꺼지다 = 254
다리가 네 개인 병아리 = 254
36인의 탈옥수 = 254
황적색 강물 = 255
4개월 만에 태어난 아이 = 255
자연재해표 = 255
공주관련기사 연대별 목록


소장위치자료실 B-6


발행처공주문화원


생산자/생산기관공주문화원


생산일자1997


기증자/수집처이해준


주제분류번호01-415-000003.C2


주제분류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형태분류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시대분류현대


출처분류기관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원본여부원본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물리적 특성특이사항 없음


쪽수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