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101건
반포면 학봉리에 위치한 계룡산한우마을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2-092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모습으로, 행렬단은 중동사거리를 지나 산성동 방면으로 향하고 있다.
계룡산 동학사의 숙모전 입구인 인재문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2008 충청남도 도비지원축제 선정 신청서 및 제5회 계룡산 분청사기 축제 사업계획서
1967년 10월 14일 대전일보에 게재된 ‘향기 그윽한 백제제 찬란했던 옛 문화 되새기면서 공주서 서막’ 신문 기사

향기 그윽한 백제제 찬란했던 옛 문화 되새기면서 공주서 서막
규모는 줄었지만 관심은 배가
제13회 백제문화제가 13일 오후 1시 공주읍 공산성…
1989년 공주문화원에서 배포한 결과보고서 작성요령이다.
2018년 4월 28일 열린 유불무가 함께하는 2018 계룡산산신제의 제 21회 계룡산 무가식 산신제 진행 모습이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2_10_21_v0002_0290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2005년 5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학생들과 공주 공산성에 소풍가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뒷편으로 조망되는 금강을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대 초중엽 공주중학교 본관의 풍경이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학생들이 학교 체육대회 당시에 종이비행기 던지기 놀이를 하며 즐겁게 웃고 있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사진촬영 추정연대(1950년대). 기증자가 30대인 시절 마곡사 대광보전 앞에서 찍은 사진. 가운데에서 검은 자켓에 넥타이를 멘 사람이 기증자이며, 그 외의 인물들은 알 수 없다.
계룡면 중장리 중장공소의 주출입구에 설치된 실내화 진열대이다. 실내화에는 각 신도들의 이름이 직접 씌여 있다.
1934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1930년대의 공주시가지 모습으로 사진 우측에 공주고등학교 교사가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