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현 금학동 시절 학교 전경사진이다. 1951년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저학년의 공주봉황중학교와 고학년의 공주농업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나 교사는 함께 사용하였다. 1938년 신관리 점막에 새로운 교사를 확장이전하여…
자료제공자가 단기4287년(1954년)에 4월 8일에 마곡사에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과학관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교 교문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별관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교 본관의 모습이다.
1960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말 학내 정원 풍경이다.
1950년대 후반, 공주사범학교 학생들의 경주 수학여행을 기념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은 교복을 착용하였고, 불국사 내의 다보탑과 석가탑을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1950년대 영명고등학교 신입생이 수령한 각 과목별 교과서 내용이다. 표로 작성하여 도서명, 발행사, 저자 등이 적혀 있다.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수증에 의하면 11,12월의 납부금으로, 일금 이만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하단에는 영수받은…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수업료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수증에 의하면 청구한 수업료는 8월분으로, 일금 만칠천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하단에는…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신탄비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탄비는 땔나무와 숯의 구입에 지출되는 일종의 연료비용으로 일금 일만원을 영수하였다.…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신탄비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탄비는 땔나무와 숯의 구입에 지출되는 일종의 연료비용으로 일금 일만삼천원을 영수하였다.…
1950년대 유구읍 문금리 전경사진이다. 초가집들과 밭이 보이고, 그 뒤에 있는 산은 금계산으로 추정된다. 이문호가 본인의 저서에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 파일로 저장한 것으로 원본의 위치는 파악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