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717건 영명학교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중동성당과 충남역사박물관, 영명학교 주변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봄날을 맞아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중동성당과 충남역사박물관, 영명학교 주변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봄날을 맞아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중동성당과 충남역사박물관, 영명학교 주변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봄날을 맞아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1921년 10월 3층 양옥 벽돌 구조의…
영명학당 초대 우리암 교장의 송별식에 학생들과 선생님들을 촬영한 단체사진의 뒷면이다. 우리암교장은 1940년 태평양 전쟁 직전 일제에 의해 강제 추방 당하였다. 사진 뒷면에는 촬영날자(소화15년 11월 22일) 및 '오선생과 우교장선생' '학생전체 기념사진'이라는…
영명학당 초대 우리암 교장의 송별식에 학생들과 선생님들을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우리암교장은 1940년 태평양 전쟁 직전 일제에 의해 강제 추방 당하였다. 좌측은 남학생들과 우측에는 여학생들이 교사(校舍)를 배경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맨 앞줄에는 기모노와 제복을…
사진 상단에 '공주영명심상소학교 제12회졸업기념, 소화14년 3월'이라는 상황과 시간이 명시되어 있다. 여학생들 앞으로 선생님들이 앉아 정면을 보는데, 맨 앞줄에는 사애리시 여사의 모습도 보인다.
영명실수학교 시절 여학생들의 양잠 실습 장면을 촬영한 사진의 뒷면이다. '광명(光明)한 봄, 광명날'을 통해 연대를 추정할 수 있으며, '실수학교' 및 '실수,실습날 기념으로 박은…'이라는 문구와 '마즈막이영명동산을마지하며' 등 소장자가 자필로 기록한 글자가 보이며,…
영명실수학교 시절 여학생들의 양잠 실습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1921년 준공한 서양식 교사와 학생들이 열을 맞추어 서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영명실수학교 시절 여학생운동회의 모습이다.
영명실수학교 시절 남녀합동예배시간을 촬영하였다. 예배는 선교사가 진행하였으며, 교사로 보이는 어른도 동석하여 예배를 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예배시간임에도 찬송가 외에 교가를 제창한 것으로 보이며, 남/여학생이 따로 자리를 잡은 것을 볼 수 있다.
1930년에 초가에서 양옥으로 건립한 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우산을 쓴 신사가 선교를 위해 헌금한 사연을 따와 공주읍교회 예배당의 이름을 '협산자예배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1903년 공주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인 공주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1903년 맥길 선교사가 이용주 전도사와 함께 공주읍 내 하리동에 초가집 두 채를 구입하여 공주 최초의 공주읍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우리암(Williams) 선교사의 선교활동 모습이다. 그는 감리교 선교사로 1906년 공주에 현재 영명중고교의 전신인 영명(永明)학당을 설립하여 교육에 힘썼다.
공주역사영상관에도 전시되어 있는 서원보(W. C. Swearer) 선교사의 전도여행 사진으로, 양복을 입고 자전거에 탄 선교사와 삿갓을 쓰고 노새에 짐을 싣고 가는 조선 사람의 모습이 대비된다. 인물들 뒤로는 공산성이며, 정상부근에 있는 정자는 광복루이다.
사진 상단에 '공주영명심상소학교 제12회졸업기념, 소화14년 3월'이라는 상황과 시간이 명시되어 있다. 여학생들 앞으로 선생님들이 앉아 정면을 보는데, 맨 앞줄에는 사애리시 여사의 모습도 보인다.
1940년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의 경주수학여행을 가서 불국사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1939년 영명심상소학교 제12회 졸업생의 졸업기념사진이다. 우리암 교장의 출국으로 학교는 폐교되었지만 공주 지역사회에서는 소학교만이라도 살려보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소학교는 폐교의 위기를 극복하는가 싶었으나 영명실수학교와 함께 이듬해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