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7450건 백제문화제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국민학교 교정에서 열린 농악경연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국민학교 교정에서 개최된 농악경연대회의 우승기 모습이다. 우승기에는 '국회의원 정석모 증'이라는 문구와 함께 農者天下之大本(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이는 농사가 천하의 큰 근본이라는 뜻으로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국민학교 교정에서 열린 농악경연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국민학교 교정에서 열린 농악경연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국민학교 교정에서 열린 농악경연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열린 공연 모습이다. 공연 장소는 600석이상의 규모를 갖춘 중앙극장으로 추정된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공주박물관(현 충남역사박물관 자리) 강당에서 열린 백제문화학술세미나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열린 공연 모습이다. 공연 장소는 600석이상의 규모를 갖춘 중앙극장으로 추정된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공주박물관(현 충남역사박물관 자리) 강당에서 열린 백제문화학술세미나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진행된 공연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기간에 진행된 전국시조경창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기간에 진행된 전국시조경창대회의 모습이다. 참가자 뒤로 회순과 박정희 전대통령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진행된 공연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5일) 진행된 음악의 밤 모습으로, 지휘자의 지휘에 맞추어 합주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연이 열린 장소는 당시 600석 이상의 규모를 갖춘 중앙극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첫째날(10월 13일) 열린 문학의 밤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5일) 진행된 음악의 밤 모습으로, 지휘자의 지휘에 맞추어 합주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연이 열린 장소는 당시 600석 이상의 규모를 갖춘 중앙극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5일) 진행된 음악의 밤 모습으로, 한 성악가가 피아노 반주에 맞춰 노래를 하고 있다. 공연이 열린 장소는 당시 600석 이상의 규모를 갖춘 중앙극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기간에 열린 서도경연대회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14일) 중동국민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탈춤 공연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당시 진행된 백제공예전의 출품작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