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994건 졸업앨범
1968년 2월 7일자에 발행된 공주교대부속국민학교 졸업장이다. 본 자료는 해당 졸업연도에 발행된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졸업장 내용은 '이 사람은 본교 6개년의 전 과정을 졸업하였기로 본장을 수여함'이다. 공주교대부설초는 1938년 4월 23일에…
1989년 제35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고등학교'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병사들로 분장한 학생들이 행진에 참여했다. 시민들이 퍼레이드를 보기 위해 도로와 건물 옥상에서도 고개를 내밀고 있다.
1989년 제35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으로, 학교운동장에서 '제35회 백제문화제서모식전'이 진행 중이다. 병사들로 분장한 학생들 뿐만 아니라 구경온 공주사람들로 운동장은 이미 만석이다.
1989년 제35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1989년 제35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계백장군으로 분장한 학생이 모형말 위에서 칼을 쳐들고 있으며, 병사들이 이를 호위하며 공주시내를 행진하고 있다.
1989년에 열린 제44회 전한국 학생테니스선수권에서 공주고등학교 테니스부가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금의환향했다. 복식조가 우승하고 단식 3위에 오르는 등 대회를 제패한 기념으로, 공주시내에서 이를 환영하는 기념행진과 카퍼레이드가 열렸다. 웅진교차로를 지나 중동교차로…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본교사 개축 준공식 당일의 모습이다. 1988년 본교사 개축완공 기념 행사에 학교 관계자 및 내빈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본관 건물 입구에는 '본관 개축 준공'이라는 커다란 플랜카드가 붙어 있다. 한편, 공주고등학교는…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2반 학생들이 교내에 있는 졸업생 기증기념비석에서 사진을 촬영하였다. 맨 앞의 비석에는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석모 졸업생의 이름도 보인다. 비석들 뒤쪽으로는 공주를 상징하는 대웅상(大熊像)과 포호상(咆虎像)도 서 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1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금강철교 옆 둔치에 사복차림의 학생들이 서 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8반 학생들이 공주박물관 나들이를 기념하기 위해 촬영한 사진이다. 사복차림의 학생들이 중동성당 건물과 첨탑이 보이는 구도에 앉아 포즈를 취하였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8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금강변에서 사진을 찍어, 철교 트러스트의 일부가 보인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7반 학생들이 송산리고분군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교복자율화시기의 자유로운 사복차림을 볼 수 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5반 학생들이 공주박물관 나들이를 기념하기 위해 촬영한 사진이다. 사복차림의 학생들이 중동성당 건물과 첨탑의 일부가 보이는 구도에 앉아 포즈를 취하였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2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는 충남역사박물관이 위치한 공주박물관에 소풍간 모습으로, 박물관의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교복자율화시기의 자유로운 사복차림을 확인할 수 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2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금강공원에서 철교가 보이도록 촬영하였으며, 교복대신 사복차림을 하고 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의 충남역사박물관이 위치한 공주박물관에 소풍간 기념사진으로, 사진 오른쪽으로 중동성당건물과 첨탑의 모습이 보인다. 교복자율화 시기의 자유로운 복장을 한 학생들의 모습이 눈에 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제63회 졸업앨범에 실린 본교사의 모습이다. 정문 위에는 '미래사회에 적응하는 인간교육'이라는 구호가 걸려있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제63회 졸업앨범에 실린 교사와 교문의 모습이다. 본교사 정문 위에는 '미래사회에 적응하는 인간교육'이라는 구호가 걸려있다.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약 3개월 간의 수업이 끝난 후 공주농협건물에서 수료식을 진행하고 있다. 강단에서 축하사를 하고 있는 학장의 모습과 수강생들은 졸업모와 졸업가운을 입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수강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