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101건
1951년 생산된 인분매도증이다. 문서에 따르면 계룡국민학교로 추정되는 학교의 인분을 다음과 같이 매도한다는 내용으로, 1951년 11월13일부터 4월 15일까지 사용기간으로, 사용료는 일금 삼만원을 영수하였다.
웅진문화 제32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전 대전대학교 교수 남궁운 님의 원고이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지리적 위치 2. 자연환경 3. 현황 4. 마을 명칭 유래 5. 이야기풍경
1965.02.26, 공주문화원에서 공주의 교육문화 발전을 도모하고자 미 공보원 서울지부의 주선으로 대한교육연합회 방순동 선생을 초빙하여 교육강연회를 개최한다는 내용의 문서이다. 공민회관에서 강연이 진행되었고, 방순동 선생이 본 미국의 어린이 생활이 주제였다.
1975년 의당면장이 의당면 송학2리의 이용빈 씨를 이장으로 임명으로 한다는 내용의 임명장이다.
꽃길④ 아니면 능소화가 피어 있는 집에 사는 사람일까? 가을이면 깔끔하게 뽑아 정리하고 봄이면 새로 씨를 뿌리는 것 같다.
유구읍 석남리에 위치한 별미회관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반포면 봉곡리에 위치한 음식점 싸리골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중동에 위치한 맛깔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공주군 계룡면 향지리에 거주하는 주민의 인감증명서이다. 문서에 의하면 농협 영농자금 융자 대출을 위해 계룡면사무소에서 당사자가 발행을 요청하였다. 공주군수입인지가 부착되어 있다.
충청남도 역사박물관 주차장에 설치된 사람과 동물의 얼굴모양 분수가 작동되는 모습이다.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759693&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제73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1989년 관불산 가을소풍 사진이다. 관불산은 유구읍 녹천리에 위치한 유구국민학교의 뒷산으로, "관불산 높이 솟아 구름 두르고"로 시작하는 유구국민학교 교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학교 방향으로 하산하는…
공산성 공북루 쪽 성벽의 모습과 공산정 부근으로 올라가는 길목의 모습이다.
1990.05.10자 대전일보에 게재된 홍성주민들의 소망이 담긴 기사이다. 당시 홍성지역 주민은 공주와 청양-홍성을 이어주는 직통버스 개설을 바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