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신문사 기자를 지낸 송형섭이 수집한 1970년 생활상이 담긴 슬라이드 필름이다.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월송동 쉼터"이다.
1999.11.11, 국도일보에 게재된 삼흥고속의 친절봉사운동 개시를 알리는 기사이다. 당시 삼흥고속에서는 여객운수업체 최초로 고객유치를 위한 친절봉사운동을 진행했다.
공주여사범학교 본관 수리공사에 관한 도면으로 추정된다. 1층과 2층의 배치를 유추할 수 있다.
1972년 제27회 졸업앨범 뒷편에 실린 사진으로, 거주지에 따라 나뉜 우성면 애향단끼리 담임선생님과 촬영하였다. 목천리 2구 애향단 일동은 귀산국민학교 정문을 배경으로 담임선생님과 사진을 찍었다.
공주농업고등학교 1957년도 재학생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김매기 작업 중 발생한 잡초더미의 모습이다. 제초제가 보급되기 이전 김매기 작업의 고단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춘산 메밀꽃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있음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1979년 혹은 1980년도에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교내 정원을 가꾸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2007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오카리나 공연 (5)
교내에서 진행한 새마을운동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여자중학교는 1928년에 공주고등여학교로 개교하였고, 두 차례의 학제 개편 후 1977년에 공주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79년에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학생증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농업활동(72)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1959.12.16~20동안 다방 곰나루에서 진행한 공주문화원 개원 5주년 기념 향토작가 미술전을 관람하는 시민의 모습이다.
2007년 포상추천 심사 기초자료(지회장)
아시아일인극연극제에서 신원미상의 연극자가 공연을 하고 있다. 인형의 복장을 보아 일본문화를 표현한 연극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