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1679건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4_11_v0004_113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5_02_v0004_102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2_07_24_v0004_083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3_06_v0004_104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6_07_11_v0004_108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5_05_29_v0003_090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0_03_19_v0007_124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2_21_v0004_091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4_04_v0004_1070
1971년 무령왕릉 발굴 당시 촬영한 사진으로 금동경과 금제 뒤꽂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71년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경의 실측도이다.
1971년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제 다리미의 실측도이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신수경으로 청동거울이다. 국보로 지정되었다. 무령왕릉에서 총 3개의 청동 거울이 발견되었는데 이 외에 의자손수대경과 손수경이 있다. 이 사진을 촬영한 故 유보근씨는 공주 출신으로 송산리고부군 주변에서 무령왕릉이 발견되었을 때 무령왕릉과 출토유물을…
1990년 발행된 공주여고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현대에 신축된 공주여고 강당인 청란관의 외경이다.
1990년 발행된 공주여고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현대에 신축된 청란 동창회관의 모습이다.